References
-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400.
- 김규한.김옥준.민경덕.이윤수, 1984, "추가령지구대의 지질구조, 고지자기 및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7(3), 215-230.
- 김도정, 1973, "한국의 화산지형," 지리학회보, 7, 1-9.
- 김두일.이형호.한 욱, 1993, "서울-철원간 추가령곡의 군사지리적 분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 김상호, 1964, "추가령 열곡에 대한 고찰," 서울대 사대학보, 6(1), 156-161.
- 김상호, 2016, 한반도 지형의 형성, 두솔.
- 김옥준, 1980, 한반도의 지진지체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 김우관, 1980, 한국지지 총론, III 자연환경(지형), (2) 산지지형, 1) 산과 산맥, 건설부.국립지리원.
- 김정혁, 2016, "임진강 용암대지의 분포와 지형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종규.강경원.손명원 역, 헤르만 라우텐자흐 저, 2014, 코레아; 일제 강점기의 한국지리, 푸른길.
- 김종욱.주경식.엄정훈.강진우.이종식.서민철.심승희.김학희.신동화,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사.
- 김주환, 1997, "추가령 열곡내 의정부-동두천간에 발달한 단층구조의 구조지형적 해석," 지리학연구, 31, 19-26.
- 김주환.홍현철.신현종.김진수,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사.
- 김태호.한국자연지리연구회 편, 2000, 화산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
-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 문화재관리국, 1983, 전곡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 박노식, 1947, 신조선지리, 동지사.
- 박노식, 1970, "한국지형구," 지리학, 6, 1-23.
- 박동원, 1983, "한국의 지형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전망," 지리학논총, 10, 27-40.
- 박희두.박철웅.황의호.도정훈.채기병.김재기.조성호, 이강준,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천재교육.
- 성영배, 2007, "복수의 방사성 우주기원 동위원소를 이용한 매몰 연대측정의 가능성 탐구: 전곡현무암과 백의리층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4(2), 101-107.
- 손일 역, 고토 분지로 저, 2010, 朝鮮기행록, 푸른길.
- 송무영.신광수, 1998, "철원 부근 추가령 지구대의 지질구조 및 지표환경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 영상자료 분석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6), 675-683.
- 신재봉.유강민, 2004,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지인 E55S20-IV 지점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뢰스-고토양 층서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0(4), 369-381.
- 양교석, 1982, "추가령 열곡대 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 양승영 역, 다테이와 이와오 저, 1996, 한반도 지질학의 초기연구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 오경섭.김남신, 1994,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제4기학회지, 8, 43-68.
-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 제4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추가령 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26(1), 70-81.
- 원종관.김윤규.이문원, 1990, "추가령 알카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 70-81.
- 원종관.이문기.이준기, 1987, "추가령 구조대의 지형발달과 화산 활동-민통선 부근을 중심으로 휴전선 일대의 자연 연구," 강원대출판부, 11-45.
- 위수민, 1996, "추가령 열곡대에 분포하는 전곡현무암의 지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29, 171-182.
- 이기화.이영민, 1991, "추가령 지구대의 중력연구(1)," 지질학회지, 27(3), 309-318.
- 이기화.이전희, 1995, "추가령 단층대의 구역화: 경기육괴 주요 단층대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1(2), 116-124.
- 이대성.류기주.김광호, 1983, "추가령곡의 지구조해석," 지질학회지, 19(1), 19-38.
- 이동영, 1999, "한탄강 일대의 지질과 구석기 유적지의 지층 특성," 한국의 제4기학 연구, 452-453, 고이동영박사추모집간행위원회.
- 이민부.김남신, 2002, "Hough 변환과 음영기복을 이용한 추가령 구조곡의 선형구조 분석," 지질학회지, 38(4), 457-469.
- 이민부.김남신.양철수, 한 욱, 2001a, "추가령 구조곡의 하계망의 방향성과 프랙탈 차원 해석," 지질학회지, 37(4), 597-609.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2001b,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요소의 지도화," 대한지리학회지, 36(2), 81-92.
- 이민부.박지훈.이광률, 2006,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 퇴적물 분석: 화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3(2), 13-22.
- 이민부.이광률, 2002,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노두 분석: 철원 율리리 독서당천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9(2), 83-93.
- 이민부.이광률, 2003a,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 이민부.이광률, 2003b,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 이민부.이광률, 2004,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하류 현무암층 하부 점토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3), 97-111.
- 이민부.이광률, 2013,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20(3), 55-63.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학," 한국지역지리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22-23.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b,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844.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a, "추가령 열곡 내 포천 이동 선상지의 지형 형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2), 1-10.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b,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40(6), 716-729.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7,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2(1), 15-26.
- 이민부.이광률.윤순옥.한주엽, 2001c,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 운동과 지형 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 이민부.이광률.윤순옥.황상일.최한성, 2001d,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환경 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 이민부.전종한, 2005, "'楸哥嶺'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 이민부.최한성, 2003,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 율리리 퇴적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1), 19-32.
- 이민부.한주엽.김창환, 2012, "철원군 승일교 인근의 화강암 지형 경관," 한국지형학회지, 19(4), 27-37.
- 이선복, 2005,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형성에 대한 신자료," 한국지형학회지, 12(3), 29-48.
- 이선복, 2010,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방사성탄소연대와 구석기 연구의 문제," 한국구석기학보, 22, 3-20.
- 이순용.김훈기.강용진.서원명.최부현.최유진.이태규,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법문사.
- 이윤수.민경덕.황재하, 2001,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자원환경지질, 34(6), 555-571.
- 이지호.이영택, 1972, 국토와 지도, 보진재.
- 이형호.한 욱.김동진.김두일, 1992, "철원일대 추가령 구조곡의 지질 및 지형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2), 136-144.
- 정장호, 1984, 한국지지 지방편 II, 강원(자연환경과 자연 재해, 지형편), 건설부.국립지리원.
- 정광옥, 2005, "용암대지 개석곡 형태 분석-차탄천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조선향토백과, 11권 강원편, 평화문제연구소.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편, 2012,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소방방재청.
- Hunt, C.B., 1975, Death Valley: Geology, Ecology, Archa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Lee, M.B, Han, U., Yang, C.S., Kin, N.S., and Han, J.Y., 2000, "Geomorphic Responses to the Tectonic Activity in the Chugaryung Rift Valley,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4(special ed.), 93-96.
- Niemi, T.M., Ben-Avraham, Z., and Gat J.R., 1997, The Dead Sea: the Lake and Its Setting, Oxford University Press.
- Quennell, A.M. ed., 1982, Rift Valleys: Afro-Arabian, Huchinson Ross Company.
- 木野崎, 1937, "조선의 제4기 화산에 관하여," 조선박물학회지, 22, 3-8.
- 小藤文次郞,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 Coll. Sci. Imp. Univ. Tokyo, 19, Art.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