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egional Geomorphology 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 연구

  • Lee, Min-Bo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 pook National University)
  • 이민부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이광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6.08.21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research. Though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thought important for the tectonic settings and orographic processes in Korea,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discussions still are sustaining for finding out evidences of the settings. The Chugaryeong valley region has many geomorphic themes such as tectonic structure, volcanics, river, mountain, terrace, lake and sediment layers. The research of the valle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ferences mainly including geomorphic naming, geomorphology and geology, and history of the study for estimating the origin of tectonic valley, formation of the lave plateau, change of river structure by dissection, restoration of the landform before lava eruption, and the processes and age dating of the various landforms. Conclusivel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may be recognized as the linear region of the tectonic and volcanic landforms with other various applied geomorphic settings.

본 연구는 한반도 지형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지역의 하나인 추가령 구조곡에 대한 지역지형학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령 구조곡은 열곡에 의한 단층선대로서 한반도의 지체 구조와 산맥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언급되나 이를 뒷받침하는 지형학 및 지질학적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령 구조곡 전체를 하나의 지역으로 보면서, 구조 지형, 화산 지형, 하천 지형, 산지 지형, 단구 지형, 호소 지형, 퇴적물과 층서 등 다양한 지형 주제들을 통합하여 추가령 구조곡 지역의 지형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그 동안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추가령 구조곡의 명칭과 지형 및 지질 개관, 지형 연구사 등을 제시하고, 구조곡의 기원, 용암대지의 형성과정, 개석에 의한 하천의 구조, 용암대지 이전의 지형 복원, 지형 형성과정과 연대 등을 분석한다. 추가령 구조곡은 구조선을 바탕으로 구조 지형과 화산 지형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지형과 지형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선형의 지역으로 파악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재, 2000, "한국의 산맥," 대한지리학회지, 35(3), 389-400.
  2. 김규한.김옥준.민경덕.이윤수, 1984, "추가령지구대의 지질구조, 고지자기 및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7(3), 215-230.
  3. 김도정, 1973, "한국의 화산지형," 지리학회보, 7, 1-9.
  4. 김두일.이형호.한 욱, 1993, "서울-철원간 추가령곡의 군사지리적 분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5. 김상호, 1964, "추가령 열곡에 대한 고찰," 서울대 사대학보, 6(1), 156-161.
  6. 김상호, 2016, 한반도 지형의 형성, 두솔.
  7. 김옥준, 1980, 한반도의 지진지체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8. 김우관, 1980, 한국지지 총론, III 자연환경(지형), (2) 산지지형, 1) 산과 산맥, 건설부.국립지리원.
  9. 김정혁, 2016, "임진강 용암대지의 분포와 지형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종규.강경원.손명원 역, 헤르만 라우텐자흐 저, 2014, 코레아; 일제 강점기의 한국지리, 푸른길.
  11. 김종욱.주경식.엄정훈.강진우.이종식.서민철.심승희.김학희.신동화,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사.
  12. 김주환, 1997, "추가령 열곡내 의정부-동두천간에 발달한 단층구조의 구조지형적 해석," 지리학연구, 31, 19-26.
  13. 김주환.홍현철.신현종.김진수,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사.
  14. 김태호.한국자연지리연구회 편, 2000, 화산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
  15. 대한지질학회, 1999,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16. 문화재관리국, 1983, 전곡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7. 박노식, 1947, 신조선지리, 동지사.
  18. 박노식, 1970, "한국지형구," 지리학, 6, 1-23.
  19. 박동원, 1983, "한국의 지형연구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전망," 지리학논총, 10, 27-40.
  20. 박희두.박철웅.황의호.도정훈.채기병.김재기.조성호, 이강준,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천재교육.
  21. 성영배, 2007, "복수의 방사성 우주기원 동위원소를 이용한 매몰 연대측정의 가능성 탐구: 전곡현무암과 백의리층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4(2), 101-107.
  22. 손일 역, 고토 분지로 저, 2010, 朝鮮기행록, 푸른길.
  23. 송무영.신광수, 1998, "철원 부근 추가령 지구대의 지질구조 및 지표환경 해석을 위한 인공위성 영상자료 분석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6), 675-683.
  24. 신재봉.유강민, 2004, "전곡리 구석기 유적 발굴지인 E55S20-IV 지점의 미고결 퇴적층에 대한 뢰스-고토양 층서에 관한 고찰," 지질학회지, 40(4), 369-381.
  25. 양교석, 1982, "추가령 열곡대 내 한탄강 하류 지역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 13-25.
  26. 양승영 역, 다테이와 이와오 저, 1996, 한반도 지질학의 초기연구사, 경북대학교 출판부.
  27. 오경섭.김남신, 1994,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제4기학회지, 8, 43-68.
  28. 원종관, 1983, "한반도에서의 제4계 화산활동에 관한 연구-추가령 열곡내에서-," 지질학회지, 26(1), 70-81.
  29. 원종관.김윤규.이문원, 1990, "추가령 알카리 현무암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 70-81.
  30. 원종관.이문기.이준기, 1987, "추가령 구조대의 지형발달과 화산 활동-민통선 부근을 중심으로 휴전선 일대의 자연 연구," 강원대출판부, 11-45.
  31. 위수민, 1996, "추가령 열곡대에 분포하는 전곡현무암의 지화학적 특성," 자원환경지질, 29, 171-182.
  32. 이기화.이영민, 1991, "추가령 지구대의 중력연구(1)," 지질학회지, 27(3), 309-318.
  33. 이기화.이전희, 1995, "추가령 단층대의 구역화: 경기육괴 주요 단층대의 지구물리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31(2), 116-124.
  34. 이대성.류기주.김광호, 1983, "추가령곡의 지구조해석," 지질학회지, 19(1), 19-38.
  35. 이동영, 1999, "한탄강 일대의 지질과 구석기 유적지의 지층 특성," 한국의 제4기학 연구, 452-453, 고이동영박사추모집간행위원회.
  36. 이민부.김남신, 2002, "Hough 변환과 음영기복을 이용한 추가령 구조곡의 선형구조 분석," 지질학회지, 38(4), 457-469.
  37. 이민부.김남신.양철수, 한 욱, 2001a, "추가령 구조곡의 하계망의 방향성과 프랙탈 차원 해석," 지질학회지, 37(4), 597-609.
  38. 이민부.김남신.한균형, 2001b,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요소의 지도화," 대한지리학회지, 36(2), 81-92.
  39. 이민부.박지훈.이광률, 2006,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 퇴적물 분석: 화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3(2), 13-22.
  40. 이민부.이광률, 2002,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노두 분석: 철원 율리리 독서당천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9(2), 83-93.
  41. 이민부.이광률, 2003a, "추가령 구조곡의 하안단구 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2), 157-173.
  42. 이민부.이광률, 2003b,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상류와 독서당천의 고지형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345-358.
  43. 이민부.이광률, 2004, "추가령 구조곡 차탄천 하류 현무암층 하부 점토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1(3), 97-111.
  44. 이민부.이광률, 2013, "추가령 열곡 내 전곡 현무암층 하부 고하성층 노두 층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20(3), 55-63.
  45.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학," 한국지역지리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22-23.
  46.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b,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844.
  47.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a, "추가령 열곡 내 포천 이동 선상지의 지형 형태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2(2), 1-10.
  48.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5b, "추가령 열곡 영평천 하류 단구지형의 형성과정," 대한지리학회지, 40(6), 716-729.
  49.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7,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2(1), 15-26.
  50. 이민부.이광률.윤순옥.한주엽, 2001c,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 운동과 지형 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51. 이민부.이광률.윤순옥.황상일.최한성, 2001d,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에 분포하는 합류 선상지의 퇴적환경 분석," 지질학회지, 37(3), 345-364.
  52. 이민부.전종한, 2005, "'楸哥嶺' 지명에 관한 지형학 및 역사지리적 해석," 문화역사지리, 17(1), 47-65.
  53. 이민부.최한성, 2003, "추가령 구조곡의 철원 율리리 퇴적층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1), 19-32.
  54. 이민부.한주엽.김창환, 2012, "철원군 승일교 인근의 화강암 지형 경관," 한국지형학회지, 19(4), 27-37.
  55. 이선복, 2005,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형성에 대한 신자료," 한국지형학회지, 12(3), 29-48.
  56. 이선복, 2010, "임진강 유역 용암대지의 방사성탄소연대와 구석기 연구의 문제," 한국구석기학보, 22, 3-20.
  57. 이순용.김훈기.강용진.서원명.최부현.최유진.이태규, 2003, 고등학교 한국지리, 법문사.
  58. 이윤수.민경덕.황재하, 2001, "고지자기학적 관점에서 본 추가령단층곡의 생성과 진화," 자원환경지질, 34(6), 555-571.
  59. 이지호.이영택, 1972, 국토와 지도, 보진재.
  60. 이형호.한 욱.김동진.김두일, 1992, "철원일대 추가령 구조곡의 지질 및 지형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13(2), 136-144.
  61. 정장호, 1984, 한국지지 지방편 II, 강원(자연환경과 자연 재해, 지형편), 건설부.국립지리원.
  62. 정광옥, 2005, "용암대지 개석곡 형태 분석-차탄천을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조선향토백과, 11권 강원편, 평화문제연구소.
  6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편, 2012,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 소방방재청.
  65. Hunt, C.B., 1975, Death Valley: Geology, Ecology, Archa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6. Lee, M.B, Han, U., Yang, C.S., Kin, N.S., and Han, J.Y., 2000, "Geomorphic Responses to the Tectonic Activity in the Chugaryung Rift Valley, Central Korea," Geosciences Journal, 4(special ed.), 93-96.
  67. Niemi, T.M., Ben-Avraham, Z., and Gat J.R., 1997, The Dead Sea: the Lake and Its Setting, Oxford University Press.
  68. Quennell, A.M. ed., 1982, Rift Valleys: Afro-Arabian, Huchinson Ross Company.
  69. 木野崎, 1937, "조선의 제4기 화산에 관하여," 조선박물학회지, 22, 3-8.
  70. 小藤文次郞, 1903, "An Orographic Sketch of Korea," Jour. Coll. Sci. Imp. Univ. Tokyo, 19, Art.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