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화산 지형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Geomorphology on the Ulleungdo (울릉도 지형지)

  • Kwon, Dong-H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4
    • /
    • pp.39-57
    • /
    • 2012
  • The volcanic edifice of Ulleungdo is largely divided into a shield volcano underwater and a tholoide above seawater.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volcano above seawater are basically alkali volcanic rocks that are further divided into five geological strata: agglomerates and tuffs trachyte and phonolite trachytic pumice trachyandesite, and sedimentary layer. The topography of Ulleungdo consists of volcanic landform on the whole, and such volcanic landform is weathered and eroded into various weathering landform, stream landform, coastal landform, structural landform, etc. Major volcanic topography includes caldera basin, central cone, and columnar joint, whereas weathering topography features, tafoni, gnamma, tor, weathered cave, talus, etc. In major coastal topography are sea cliff, wave-cut platform, sea stack, sea arch, sea cave, shingle beach, coastal terrace, etc. For stream topography, its development is minimal except for waterfalls.

Volcanic landforms in Korea (한국의 화산지형 연구)

  • Kim, Tae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79-96
    • /
    • 2011
  • Volcanic landforms are classified into the volcanic edifice produced through con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and the crater generated by destructive processes of eruption. Both landforms are distributed around Korean Peninsula including attaching islands. However, only a few regions such as Mt. Baekdu, Jeju Island, Ulleung Island, and Chugaryeong, which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volcanic eruption occurred during the Quaternary, could be considered as a volcanic landform. It results in categorizing the volcanic landform as an unusual topography in Korea. The study of Korean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were regularized in 1970s on Jeju Island, in 1980s on Ulleung Island, and in 1990s on Mt. Baekdu, respectively. Oreums and lava tubes in Jeju Island have been also examined since 1980s. Compared with other fields of geomorphology, researches as well as researchers on the volcanic landform are very few in Korea. Geomorphologists are expected to perform an active research in that the volcanic landform of Korea have diverse values.

A Study of Topography in Billemot Cave, CheJu Island (제주도 빌레못동굴의 지형지물연구)

  • 홍시환;배두안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3
    • /
    • pp.29-38
    • /
    • 1998
  • 화산동굴로서는 한 때 세계 제1이었던 단일 화산동굴인 빌레못굴은 그야말로 세계적인 화산동굴의 대표적인 화산동굴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자랑이다. 본 연구는 이 동굴 속에 간직되어온 화산동굴의 지형, 지물들에 대하여 그 형성과정과 경관적 특성 등을 밝히고자 한다. 여태까지 발표된 연구 중에는 빌레못동굴의 학술적인 가치를 밝힌 연구는 몇 가지 발표된 바 있으나 이 동굴 속의 경관형태는 물론 지형지물에 대한 상세한 연구발표는 학술조사 이외에 거의 없는 실정이다.(중략)

  • PDF

협재굴의 환경 보전

  • 송상훈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88-88
    • /
    • 1996
  • 제주도는 화산섬이므로 각종 화산지형이 잘 발달되어 있는 곳이다. 그 중에서도 세계적인 화산동굴이 80여개가 발달되어 있는데, 빌레못 동굴은 단일 용암굴로서는 세계 제일이며, 만장굴은 용암굴의 규모와 각종 지형지물이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중략)

  • PDF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76-77
    • /
    • 1994
  • 한반도는 지질적으로 안정된 지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활화산이 없고 화산지형도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질사적으로 중생대 이전의 화산활동을 제외하면, 주로 현지 표면상에 나타나는 화산활동의 흔적에 의한 지형들은 대개 신생대 제3기의 주요 화산활동으로써 백두산(2744m), 무두봉(1930m), 대연시봉(2360m), 북포태산(2289m), 남포태산(2435m), 소연지봉(2123m), 관모봉(1387m), 소배산(2174m), 두류산(2309m), 칠보산(906m) 등이 백두산 화산대(그림 1)의 열하를 따라 남동쪽 설령(2442m), 만탑산(2205m) 과거의 일직선상의 수많은 분출공에서 유동성이 큰 현무암의 분출이 있었다.(중략)

  • PDF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 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33-37
    • /
    • 1994
  • 한반도는 지질적으로 안정된 지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활화산이 없고 화산지형도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질사적으로 중생대 이전의 화산활동을 제외하면, 주로 현지 표면상에 나타나는 화산활동의 흔적에 의한 지형들은 대게 신생대 제3기의 주요 화산활동으로써 백두산(2744m), 무두봉(1930m), 대연시봉(2360m), 북포태산(2289m), 남포태산(2435m), 소연지봉(2123m), 관모봉(1387m), 소배산(2174m), 두류산(2309m), 칠보산(906m) 등이 백두산 화산대(그림 1)의 열하를 따라 남동쪽 설령(2442m), 만탑산(2205m) 과 거의 일직선상의 수많은 분출공에서 유동성이 큰 현무암의 분출이 있었다.(중략)

  • PDF

제주도의 형성사

  • 원종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2-7
    • /
    • 1981
  • 제주도는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환태평양조선대 즉, 호상열도에서 벗어난 대륙쪽에 있는 하나의 큰 화산도로서 백두산, 울릉도와 함께 지질학적으로 매우 흥미있는 대상이다. (table omitted) 본도는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부터 제4기에 이르는 동안의 화산활동의 산물로서 형성되었으며 화산지형으로서의 지형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Volcanic Landscape of the Five - Large - Lake, Heukryonggang - Seong (흑룡강성 오대연지의 화산지형)

  • 위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49
    • /
    • pp.67-72
    • /
    • 1997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오대연지 주변에는 제 4기 이래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심부에는 화산의 용암이 흘러 하천을 가로막아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 개의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연구는 오대연지와 그 주변의 화산지형에 대해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본 지역은 국내ㆍ외에서 보기 드문 천연적인 화산 박물관으로서 일반적인 관광지로는 물론 화산에 관한 학술연구 활동을 진행하는 훌륭한 장소로 될 수 있다. 둘째, 본 지역의 개발에 있어서 교통조건을 하루 빨리 개선해야 한다. 하얼빈부터 덕도현성까지의 관광열차를 개통하고 오대연지의 관광서비스 시설을 늘려야 하며, 관광산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재를 많이 양성하여야 한다. 넷째, 생태환경을 잘 보존하여야 하며, 화산지역에서의 건축용 석재 채굴을 하루 빨리 중지시키고, 관광객이 화산석을 마구 채취하는 행위를 방지해야 한다.

  • PDF

A Study of Volcanic Cave and Cave Topography in Cheju Island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1
    • /
    • pp.9-14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 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 홍시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4-59
    • /
    • 1997
  • 제주도는 동아시아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Aspite화산형을 이루는 한라산체를 주체로 하는 동서로 길다란 타원형의 화산섬이다. 이 제주도에는 대소 370개소에 달하는 분석구(기생화산)이 전지역에 산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 80개소에 달하는 화산동굴이 분포되고 있어 세계화산학자들의 학술연구대상지가 되고 있는 섬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