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Distribution in Korea

한국 직업구조의 변화와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

  • Park, So Hyun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16.05.29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employment in Korea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which have transformed from industrialized economy to knowledge-based economy very rapidly as well as having experiences of both IMF and financial crisi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trends occupational distribution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employment since 1980.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Scaling(MDS) methods, we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ed persons by occup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group, educational attainment, industry, region. We found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Korea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In particular, the occupational (job) structure has been highered in general. However, it has also been dualized extremely into two groups, one is the specialized-skilled-white color jobs and the other is the simple-unskilled-blue color job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importation basis for the provision of labour supply and employment policy plan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loca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산업화과정 이후 후기산업화와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과정과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사회경제적 격동기를 거쳐 온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직업구조 및 직업분포에 나타나는 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구조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직업구조의 제속성인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특성과 직업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별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크기와 성격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직업구조는 사회구조 및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속도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된 반면 전문직과 단순직으로의 이원화가 강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속성과 직업과의 대응관계에서 차원1의 비정칙값을 통해 본 직업과의 관계는 산업, 성/학력, 지역(시군구), 성/연령 속성 순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출산율 저하, 인구고령화,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 등으로 취업인구의 구성에 큰 변화가 예견되는 우리사회에서 국가적 차원의 인력의 수급대비 및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고용정책의 방향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택, 1976, "행정조직상의 계층구조와 전문직," 행정논총, 14(2), 2094-2099.
  2. 강영걸, 2012, "공공 민간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1), 86-100.
  3. 권기욱.조주은, 2007, "유비쿼터스 사회의 직업구조에 대한 시론적 전망,"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3, 5-38.
  4. 권상철 2000, "한국의 인구이동과 대도시의 역할: 지리적 이동과 사회적 이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1), 57-68.
  5. 구교준.조광래, 2011, "창의경제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지역경제 분석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45(2), 269-289.
  6. 김기환, 1993, "서비스산업의 성장과 취업구조의 변화," 경제와사회, 17, 263-285.
  7. 김동현.최예술.임업, 2013, "일반화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지역 간 노동이동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8(3), 3-24.
  8. 김승남, 2014, "재택근무는 주거입지 선택에 있어 고용입지에 대한 종속성을 약화시키는가? -수도권의 정보화직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지역연구, 31(1), 35-62.
  9. 김원동, 1992, "정보화사회의 직업과 노동의 성격변화," 한국사회학회 기타간행물, 40-63.
  10. 김재익.전명진, 1996, "직업중심지별 직주분리패턴의 비교분석," 지역연구, 12(1), 77-91.
  11. 김지섭, 1994, "화이트칼라의 내적 분화와 계층론적 함의," 한국사회학, 28, 71-96.
  12. 김헌재, 1989, "도시성장에 따른 직업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장안지리, 4(8), 1-52.
  13. 김형태, 2009, "직주균형이 통근통행에 미치는 영향 (1990-2005):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4(7), 171-184.
  14. 노시학, 2000, "서울시 여성 취업자의 취업형태와 통근통행패턴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1), 43-56.
  15. 노시학.손종아, 1993, "성에 따른 직주분리와 통근통행 패턴의 차이 -서울의 기혼여성과 기혼남성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28(3), 227-246.
  16. 문남철, 2010,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지, 44(4), 581-593.
  17. 문남철, 2011, "구직과 구인, 취업참여의 지역간 차이,"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176-191.
  18. 문남철, 2013, "월경취업 노동이동과 접경지역 노동시장 조절 -유럽연합 Grande Region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2), 167-181.
  19. 박경숙, 2002, "노동시장의 고령화와 업종.직종에서의 연령분리현상," 노동정책연구, 2(2), 69-81.
  20. 박삼옥.진종헌.구양미(2008),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43(3), 337-357.
  21. 박추환.김명수, 2006, "지역 노동력 이동의 결정요인 연구," 지역연구, 22(2), 97-113.
  22. 방하남.김기헌.신인철, 2011, "한국의 직업구조 변화와 직업이동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3. 서문기, 2004, "정보사회와 골드칼라: IT 인적자원의 가능성과 함의," 정보통신정책연구, 11(4), 33-55.
  24. 서종국, 1998, "도시공간구조변화와 통행행태의 변화관계에 관한 연구 -수도권의 산업 및 직업별 인구분포와 통근행태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3(5), 167-182.
  25. 손승호, 2015,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의 변화와 직-주의 공간적 분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97-110.
  26. 신광영.이성균, 1999, "IMF 경제위기 하에서의 계급과 실업,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7-72.
  27. 심규범, 2009, "건설업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정책 방향," 노동리뷰 4월호, 42-59.
  28. 심윤종.양종회.김정탁, 1987, 사무직 근로자의 직업 및 직장생활에 관한 연구 -화이트 칼라의 성격규명을 위하여-," 사회과학, 27(1), 187-274.
  29. 안영진, 2001, "전남대학교 졸업생의 취업구조와 지역발전," 한국경제지리학회지, 4(2), 37-56.
  30. 안영진, 2013, "대학 졸업생의 취업구조 및 취업이동 특성과 지역발전: 전남대학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7(3), 337-350.
  31. 양정미.정기환.최종률, 2011, "관광계열 학생들의 현장 실습 만족이 취업결정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4), 187-203.
  32. 유경희, 1985, "데이터베이스 산업 분야의 신직종, 한국통신학회 심포지움, 111-118.
  33. 유규창.서용구.신도철.안주엽.문주희.한상근, 2005, 호스피털리티 산업의 직업구조 특성과 인적자원 개발 전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4. 이기석, 1990, "후기산업사회의 고용전환과 도시구조," 지역연구, 6(2), 107-121.
  35. 이원호, 2002, "우리나라 광역대도시 지역노동시장의 임금결정과정과 소득격차," 한국경제지리학회지, 5(2), 187-207.
  36. 이원호, 2016,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대한지리학회지, 51(1), 41-56.
  37. 이정현.이희연, 2015, "광역경제권별 구인, 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지역연구, 31(2), 79-100. https://doi.org/10.22669/KRSA.2015.31.2.079
  38. 이중희, 2005, "중국에서의 중간계층의 성장과 구조변화," 국제지역연구, 9(3), 221-250.
  39. 이태희.김려은, 2011, "지리적 격리형 강원랜드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카지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75-85.
  40. 이현욱, 2013, "청년층 여성의 취업이동과 불안정 고용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2), 105-118.
  41. 이현재, 2014, "우리나라의 권역별 기대소득 격차와 노동인구 이동에 관한 실증분석: 5+2 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30(1), 63-80.
  42. 이희연, 1993, "우리나라 정보관련직종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적 격차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9(1), 3-24.
  43. 이헌영.임업.최예술.김민영, 2014 "수도권 임금 근로자의 성별 임금격차: 직종 숙련특성에 따른 직종 간 임금격차와 직종 내 성별 임금격차, 지역연구, 30(4), 3-20.
  44. 임창규.유인진, 2011, "세대 간 직업계층의 계승과 직업지속성 간의 관계,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27-151.
  45. 장창원.이상준, 1999, "지식.정보산업화에 따른 직종변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6. 장홍근, 2007, "직업구조와 직업선호의 변화," 본질과 현상, 7, 71-84.
  47. 정근식, 1984, "화이트칼라의 성격규정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학연구, 7, 83-102.
  48. 정연주, 2001, "외국인 노동자 취업의 공간적 전개 과정 -경인지역을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1), 27-42.
  49. 정이환, 1992, "후기 산업 사회와 직업 구성의 변화," 사회와 역사, 38, 89-114.
  50. 조가원, 2014, "고급 과학기술인력 직업구조의 전환 - 이공계 박사인력의 세대별 분석," 과학기술정책, 24(3/4), 16-28.
  51. 조동기.조희경, 2002,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2. 조현미, 2007, "재일한인 중소규모 자영업자의 직업과 민족 간의 유대관계," 대한지리학회지, 42(4), 601-615.
  53. 진미석.노일경.손유미, 2003, "직업지도에서 나타난 여성직업구조의 특성," 진로교육연구, 16(1), 17-36.
  54. 차종천, 1998, "직업위세와 계층구조," 한국사회학, 32, 737-756.
  55. 최은영.홍장표, 2014, "세대 간 직업계층의 이동성," 지역사회연구, 22(1), 51-70.
  56. 하성규.김재익, 1992,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도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27(1), 51-71.
  57. 한상근 2005, "직업연구의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18(1), 168-186.
  58. 한주성, 1998, "재중.재미.재일동포의 거주지 분포와 직업구성의 공간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4(2), 219-234.
  59. 한주연, 1989, "서울시의 직업별 거주지 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21, 32-70.
  60.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한국의 직업구조,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13. 서울대학교출판부.
  61. Blau, P. M. and O. D. Duncan., 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Wiley, New York.
  62. Bibb, Robert and William H. Form., 1977, The effects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sex stratification on wages in bluecollar markets, Social Forces, 55, 974-996. https://doi.org/10.2307/2577567
  63. Chan, T. W. and J. H. Goldthorpe., 2004, Is There a Status Order in Contemporary British Society? Evidence from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Friendship,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0(5), 383-401. https://doi.org/10.1093/esr/jch033
  64. Crompton, R., 1993, Class and Stratification, Polity Press, Cambridge.
  65. Eric, G. and D, Pager., 2001, The Structure of Disadvantage: Individual and Occupational Determinants of the Black-White Wage Gap,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4), 542-567. https://doi.org/10.2307/3088922
  66. Feser, E., 2002, What regions do rather than make: A proposed set of knowledge-based occupation clusters, Urban Studies, November.
  67. Feathermann, D, L., 1981, Stratification and Social Mobility: Two Cumulative Social Science, The State of Sociology, 79-100, edited by J. F. short, Sage, Beberly Hills.
  68. Freedman, M., 2007, Encore: Finding Work that Matters in the Second Half of Life, 김경숙 옮김(2009) 앙코르: '오래 일하며 사는' 희망의 인생설계, 프런티어.
  69. Freeman, P. and W. Aspray., 1999, The Supply of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s in the United States, Computing Research Association.
  70. Ganzeboom, H. B., Treiman, D. J. and W. C. Ultee., 1991, Comparative Intergenerational Stratification Research: Three Generations and Beyond, Annual Review of Sociology, 17, 277-302. https://doi.org/10.1146/annurev.so.17.080191.001425
  71. Hirsch, B. T., Macpherson, D. A. and M. A. Hardy., 2000, Occupational Age Structure and Access for Older Worker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53(3), 401-418. https://doi.org/10.1177/001979390005300303
  72. Hodson, R., and T. A. Sullivan., 1996, The Social Organization of Work, Belmont, Wadsworth, CA.
  73. Hong Joon, Yoo., Tae In Chung. and Worlhwa Kim., 2014, A Comparative Study of Industry, Occupational Structure and Occupational Prestige Rankings in Korea, China and Japan(한, 중, 일 3개국의 산업, 직업구조 및 직업위세 순위의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 18(1), 83-103.
  74. Kalleberg, A. L., 1988, Comparative Perspectives on Work Structures and Inequ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 203-225. https://doi.org/10.1146/annurev.so.14.080188.001223
  75. King, M., 1992, Occupational Segregation by Race and Sex, 1940-88. Monthly Labor Review, 115, 30-37.
  76. Markusen, A., 2004, Targeting Occupations in Regional and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0(3), 253-268. https://doi.org/10.1080/01944360408976377
  77. Massey, D., 1984, Spatial Divisions of Labour, Social Structures and the Geography of Production, London: Macmillian.
  78. Moretti, E., 2012, The New Geography of Jobs, 송철복 옮김 (2014), 직업의 지리학, 김영사.
  79. Murphy, K. M. and W. Finis., 1994, Industrial Change and the Rising Importance of Skill, Uneven Tides: Rising Inequality in America, edited by S. Danziger and P. Gottschalk,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01-132.
  80. Parkin, F., 1971, Class Inequality and Political Order, Paradin, London.
  81. Reeve, V., 1977, The Occupational Composition of American Classes: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2(4), 783-807. https://doi.org/10.1086/226390
  82. Sewell, William H. and Robert M. Hauser., 1975, Education, Occupation, and Earnings: Achievement in the Early Career, Academic Press, New York.
  83. Tenenhaus, M. and F. W. Young., 1985, An Analysis and Synthesis of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Optimal Scaling, Dual Scaling, Homogeneity Analysis, and Other Methods for Quantityzing Categrocal Multivariate Data, Phychometrika, 50(1), 91-119. https://doi.org/10.1007/BF02294151
  84. Thompson, W. and P. Thompson, 1985, From industries to occupations: Rethinking local economic development, Economic Development Commentary, 9(3), 12-18.
  85. Zawacki, R. A., 1999, Gold-collar Standard, Information Week, 27 September, 3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