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수정.신지연, 2015, "글로벌시대 초국가 기업의 장소 마케팅이 지방도시의 로컬리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스타벅스 코리아'의 로컬화 전략을 사례로," 로컬리티 인문학 14, 257-292.
- 김현호, 2003, "장소판촉적 지역발전을 위한 장소자산형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6, 77-95.
- 김형국, 2002. 고장의 문화판촉: 세계화 시대에 지방이 살길, 학고재.
- 박배균, 2010, "장소마케팅과 장소의 영역화: 본질주의적 장소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3(3), 498-513.
- 백선혜, 2004, "소도시의 문화예술축제 도입과 장소성의 인위적 형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88-906.
- 서귀포신문 2015년 8월 4일, "아시아 CGI창조센터 일대 문화광장 들어선다".
- 서수정, 2007, "지속가능한 개발과 뉴어바니즘 이론의 적용에 의한 영국 버밍험시 도시재생의 특성," 국토계획, 42(7), 125-143.
- 서울역사박물관, 2014,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성수동: 장인, 천번의 두들김.
- 서울특별시, 2014,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2030 서울 플랜.
- 어정연.여홍구, 2010, "장소개념에서의 장소가치에 대한 논의," 국토계획 45(6), 21-34.
- 이무용, 2005,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논형.
- 이무용, 2006,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14(1), 39-57.
- 이범훈.김경배, 2010, "인천 개항장의 장소만들기 실태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5), 95-112.
- 이병민, 2016, "문화자산을 토대로 한 도시재생과 지역발전 -<서울동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51-67.
- 이영민, 2001, "구도심 활성화를 위한 장소의 역사 , 지리적 의미의 재구성 - 인천 구도심지를 사례로 -," 한국도시지리학회지, 4(2), 1-12.
- 이정훈, 2008, "연성軟性) 지역개발의 주요수단으로서 장소브랜딩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3(3), 873-893.
- 장신영, 2008, 서울 도심 역사.문화 환경의 장소자산적 가치와 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수희, 이병민, 2016, "에코뮤지엄의 속성을 통해 본 도시의 문화적 지속가능성 연구: 한국 경기도 광주시와 일본 가나자와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23, 171-192.
- 제주레저신문 2016년 5월 19일, "아시아 CGI애니매이션 센터 드디어 오픈".
- 조명래, 2011,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 공간과 사회, 21(3), 39-65.
- 최강림, 2006, 신도시 개발과정에서의 장소만들기에 관한 연구: 수도권 '평촌신도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강림, 2007, "도시정체성과 장소만들기-'장소만들기'를 통한 도시정체성 확립의 방향," 도시문제 42, 20-30.
- 최강림, 2008, 신도시개발과 장소만들기, 한국학술정보.
- Brenner, Neil, 1999, Globalisation as Reterritorialisation: The Re-scaling of Urban Governance in the European Union, Urban Studies, 36(3), 431-451. https://doi.org/10.1080/0042098993466
- Carmona, M., Heath, T., Oc, T., Tiesdell, S., 2010, Public Places Urban Spaces: The Dimensions of Urban Design, Routledge.
- Govers, R., and Go, F., 2009, Place Branding: Global Virtual and Physical Identities, Constructed, Imagined and Experiences, Palgrave Macmilian.
- Hamdi, N., 2010, The Placemaker's Guide to Building Community (Earthscan Tools for Community Planning), Routledge.
- Harvey, D., 1989, From Managerialism to Entrepreneurialism: The Transformation in Urban Governance in Late Capitalism,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71(1), 3-17. https://doi.org/10.1080/04353684.1989.11879583
- Kavaratzis, M., 2004, From city marketing to city branding; Toward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city brands, Journal of Place Branding. 1, 58-73, Palgrave. https://doi.org/10.1057/palgrave.pb.5990005
- Knox, Paul L. 2005. Creating Ordinary Places: Slow Cities in a Fast World, Journal of Urban Design 10(1), 1-11. https://doi.org/10.1080/13574800500062221
- Markusen, A., 2010, Creative Place Making, Markusen Economic Research Services Metris Arts Consulting.
- Musterd, S., and Kovacs, Z., (ed.), 2013, Place-making and Policies for Competitive Cities, John Wiley & Sons, Ltd.
-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London.
- Tayebi, S., 2006, How to design the brand contemporary city (http://www.urbanitude.com/citybranding.pdf).
- Wyckoff, M. A., 2014, Definition of Placemaking: Four Different Types, MSU Land Policy Institute.
- Zenker, S., and Jacobsen, B. P. (ed.) 2015, Inter-Regional Place Branding Best Practices, Challenges and Solution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