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Social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 Peninsula

남·북한 통일대비 사회통합을 위한 직업교육의 역할 탐구 -통일 독일의 사회적 통합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이성균 (서울디지털대학교 평생교육학과)
  • Received : 2016.05.03
  • Accepted : 2016.07.11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lessons and implications of Germany's measures for the social integration after the reunification, and especially the Germany's measure on labor reproduction for the economic stability of East Germany. This analysis indicates, whether South Korea is going to achieve gradual and peaceful reunification or absorb North Korea due to its sudden collapse, that the reunification, in any case, requires the social integration through economic stability of both North and South. In order to ensure national reconciliation, recovery of homogeneity,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for the economically stable social integration, the new integration of educational system is necessary. Especia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ole and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stability of the North Korea's labor market and economic life in order to socially integrate South Koreans with its Northern counterpart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a priori example of the experiences during West Germany's social integration process, i.e. the vocational education promotion process for the social stability and economic life. It figured out the problem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integrity as well as analyzed the vocational education differences and integration promotion system between East & West Germany. Even though East and West Germany showed their disparities in each vocational education, they corroborated each other by finding one similar system such as bifurcation, which lead to the integration of the labor market and new vocational education policy for the economic stability. Despite the West Germany's support for the socio-economic integration, nevertheless, the East Germany's capacity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which resulted in the failure of the policy. Based on above discussion,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the efficient solutions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internal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by promoting the independence and self-support of North Koreans and leading the stability of labor market and economic for the future reunification.

본 연구는 독일이 통일 후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동독지역의 경제적 안정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노동력 재생산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이 점진적으로 안정된 평화통일을 하든, 갑작스러운 북한의 붕괴로 인한 흡수든, 어떠한 통일 상황에서도 남 북 전체의 경제적 안정을 통한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족의 화합과 동질성 회복, 정체성 확립을 위해 무엇보다도 새로운 교육체제통합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별히 북한 주민과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북한지역 노동시장과 경제생활의 안정화를 위해 직업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통일 후 동 서독의 사회통합과정에서 나타난 경험, 즉 사회적 안정과 경제생활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의 추진과정에 대한 선험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동독과 서독지역의 직업교육의 차이와 통합 추진 체계 과정 분석은 물론, 통합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동 서독 각자 직업교육의 특별한 여러 차이점 속에서도 이원화제도라는 유사한 하나의 체제를 공통점으로 찾아 협력하면서 노동시장의 통합과 경제적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직업교육정책을 이끌었다. 그러나 경제사회적 통합을 위한 서독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동독지역이 이를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나타나 정책실폐의 결과를 보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남 북 통일을 대비한 차원에서 진정한 내적통합을 이루기 위해 북한 주민들의 자립, 자활을 촉진시키고, 노동시장의 안정화와 경제생활을 이끌어갈 수 있는 직업교육의 효과적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영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정책추진방향,"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1-25, 2013.
  2. 서대숙, "민족통합의 개념과 방향," 한림대 민족통합연구소, pp.10-12, 1999.
  3. Etzioni, Political Unification : A Fomparative Study of Leaders and Forces,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p.4-10, 1965.
  4. Everhard Holtmann, Politik-Lexikon, Oldenboug : Muenchen, p.271, 2000.
  5. Deutsche Botschaft Seoul, 10 Schritte zur Wiedervereinigung : Deutschland ist... Wiedervereinigung, pp.4-5, 2015.
  6. D. Wiedemann, "Auf der Suche nach den Posaunen von Jericho," Die Zeitschrift fuer Erwachsenenbildung, Vol.1, No.2, p.18, 1994.
  7. Bruttoinlandsprodukt, Bruttowertschoepfung in den Laender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91 bis 2013. Statistische Bundesamt. (참고 http://www.vgrdl.de/VGRdL/tbls/R0B0.asp?rev=RV2011&tbl=R1B1)
  8. Bruttoinlandsprodukt, Bruttowertschoepfung in den Laender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991 bis 2013. Statistische Bundesamt. (참고 http://www.vgrdl.de/VGRdL/tbls/R0B0.asp?rev=RV2011&tbl=R1B1)
  9. 이종성, "직업교육과정의 종합적 고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p.16, 2005.
  10. R. M. Locke and W. Jacoby, The Dilemmas of Diffusion: Institutional Transfer and the Remaking of Vocational Training Practices in Eastern Germany, Cornell University Press, pp.33-68, 1997.
  11. 이무근, 직업교육학원론, 교육과학사, 1999.
  12. Thessalobiki, Finanzierung der Berufsbildung in Deutschland Finanzierungsportaet, CEDEFOP, 1998.
  13. W. Dostal, Beruflich-soziale Erwartungen und Qualifikationsfordernisse im gesellschaftlichen Wandel : Thesen aus der Arbeitsmarkt- und Berufsforschung, Nuernberg : Institut der Bundesanstalt fuer Arbeit, 1992.
  14. A. Broeker, Die Reorganisation beruflicher Weiterbildung im regionalen Transformationsprozess der Neuen Bundeslaender: Destruktion und Konstruktion im Wechselspiel, Frankfurt/Main: Europaeischer Verlag der Wissenschaften, 1996.
  15. Peter Foerster, Saechische Langsschnittstudie, Liepzig, 2007.
  16. 전성우,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독일통일," 역비논단, pp.262-284, 1994.
  17. IKG, Deutsche Zustaende im 20. Jahr nach dem Fall der Mauer, (Institut fuer interdisziplinaere Konflikt- und Gewaltforschung, Universitaet Bielefeld) 2008(12).
  18. Pollack, Detlef, "Das Beduerfnis nach sozialer Anerkennung. Der Wandel der Akzeptanz von Demokratie und Markwirtschaft in Ostdeutschland," in :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APZ), pp.3-14, 1997.
  19. GMF-Survey, Deutsche Zustaende im 20. Jahr nach dem Fall der Mauer, Presseinfomation zur Praesentation der Langzeituntersuchung Gruppenbezogene Menschenfeindlichkeit, 2008(12).
  20. 한국교육개발원, "북한의 사회문화 변화와 남북한 교육통합," pp.3-23, 2014.
  21. 김명수 외, 북한사회의 이해, 한양대학 출판원, 1997.
  22. 한국교육개발원, "북한의 사회문화 변화와 남북한 교육통합," pp.24-30, 2014.
  23.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제13권, 제2호, pp.51-6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