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Korean Vernacular Script Medical Classic Danbang-Biyo-Gyeongheom-Shinpyeon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일제강점기 언해한의서 『단방비요경험신편』 연구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5.23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Hae-Yong Shin was a renowned merchan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Korean Imperialism to Japanese Occupation, and devoted his lif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s a proponent of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translator. He also authored many medical and scientific works; in particular, he integrated the modern Western medicine into the Korean herbal medicine in his writings. His early works include New Edition of Natural History (1907), Physiology published in six series in the YaRoe, a magazine for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 New Edition of Zoology (1908). These writings are assumed to have deepened Shin's knowledge of and insights into human and animal physiologies and anatomies. In the Danbang-Biyo-Gyeongheom-Shinpyeon (1913), he sought to incorporate the aspects of the Western medicine while mainly adopting the approach of the Korean herbal medicine. While keeping the contents and formations of Donguibogam, he recorded many empirical prescriptions and deleted theories incomprehensible for the general population, shamanic prescriptions, and poisonous and deadly ingredients. Its most salient features are the use of the Korean vernacular script for explications and simple ingredients for prescriptions. As medicinal materials, he presented commonly found low-cost native ingredients easily obtainable and affordable for. In the disciplines of childbirth, childbearing, and first aid, he adopted Western medical treatments. Danbangshinpyeon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d to public health by spreading practical basic medical knowledge in the vernacular script easily applicable at home in difficult situations for obtaining medical service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희. 상업범론. 경성:보성관. 1907.
  2. 신해용 역술. 신편동물학. 경성:경향각서원 및 회동서원. 1908.
  3. 신해용 편저.단방비요경험신편. 초간본. 경성:회동서관. 1913(12월).
  4. 신해용 편저. 단방비요경험신편. 경성:회동서관. 1917(4월).
  5. 신해용 편저. 단방비요경험신편. 경성:회동서관. 1930(10월).
  6. 신해용 편저. 단방비요경험신편. 서울:세창서관. 1952.
  7. 신해용. 생리학. 야뢰. 1907;1-06.
  8. 안국선. 比律賓戰史. 경성:보성관. 1907.
  9. 안국선. 行政法. 경성:보성관. 1908.
  10. 유문상. 은행론. 경성:보성관. 1907.
  11. 유문상. 신찬 화학교과서. 경성:義進社. 1908.
  12. 이필선 역술. 신해용 교열. 신편박물학. 한성:보성관. 1907.
  13. 한병연. 의방신감(醫方新監). 경성:회동서관. 1913.
  14. 도진우. 동서의학요의(東西醫學要義). 경성:동서의학연구회 중앙총부. 1925.
  15. 허준 편. 언해구급방.
  16. 허준 편. 언해태산집요.
  17. 허준 편. 언해두창집요.
  18. 小池正直 저. 鷄林醫事 全. 1887 참조.
  19. L.H.언더우드 저. 신복룡, 최수근 역주. 상투의 나라. 서울:집문당. 1999.
  20. 구현희. 단방비요경험신편. ebook(국역).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5.
  21. 박상영. 단방신편. ebook(국역).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16.
  22. 2면 5단 기사의 일부. 大韓每日申報. 1906.09.25.
  23. 2단 3면 기사. 대한매일신보. 1907.01.31.
  24. 新入會員氏名 第三回. 서우 제3호. 1907.02.01.
  25. 1단 4면 기사. 황성신문. 1907.02.06.
  26. 2단 3면 기사. 대한매일신보. 1907.02.06.
  27. 1단 4면 기사. 황성신문. 1907.02.25.
  28. 4면 6단 기사. 在日本東京大韓留學生太極學會贊助金. 太極學報. 1907.06.24.
  29. 강대민. 송촌 지석영의 재조명. 퇴계학부산연구원 전통문화교양강의자료. 2007.
  30. 구현희. 언해의서 비교고찰을 통한 한의학용어의 번역 표준안 :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언해태산집요를 중심으로.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12;18(3):49-61.
  31. 권두연. 보성관의 출판활동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011.6;44:7-53.
  32. 김성수. 朝鮮後期 私的 醫療의 성장과 醫業에 대한 인식 전환. 의사학. 2009;18(1):43-68.
  33. 김영완, 김영건, 박정환, 이종숙, 이상훈. 전국 市郡誌에 기술된 각 지역 醫療 관련 地域語 사용양상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 2013;23:103-136.
  34. 양승률. 주촌 신만의 保幼新編 편찬과 舟村新方. 장서각. 2011;25:52-77.
  35. 오병건. 방약합편 중 활투침선에 관한 판본학적 고찰. 원광대석사. 2008.
  36. 이요한. 1920-30년대 일제의 장애인정책과 특징. 동국대석사. 2009.
  37. 이정현. 하재일기를 통해 본 구한말 의약생활의 변화.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27(4):39-53. https://doi.org/10.14369/SKMC.2014.27.4.039
  38. 이흥기. 19세기 말 20세기 초 의약업의 변화와 개업의 : 洋藥局과 藥房附屬診療所의 浮沈. 의사학. 2010;19(2):343-384.
  39. 전미경. 1900-1910년대 가정교과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005;17(1):131-515.
  40. 전종욱. 단방신편(單方新編) 이후 문헌전승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4;27(4):1-13. https://doi.org/10.14369/SKMC.2014.27.4.001
  41. 조형근. 일제의 공식의료와 개신교 선교의료간 헤게모니 경쟁과 그 사회적 효과. 사회와역사. 2009;82:123-165.
  42. 채인숙. 17세기 醫書諺解의 국어학적 고찰. 한양대석사. 1986.
  43. 한지원. 일제강점기 單方新編의 편제와 내용. 장서각. 2016.02;33:258-288.
  44.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우학회 [西友學會]" 한국민족문화대백과(2016.02).
  45. 한국학중앙연구원. "회동서관(滙東書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2016.02).
  46. 한국한의학연구원. "동의보감 편제 및 내용" 내손 안에 동의보감(2016.02).
  47. 한국한의학연구원. "단방비요경험신편.해제정보" 한의고전명저총서(2016.02).
  48. "토닉워터의 주성분" 위키백과(2016.02).

Cited by

  1. 서병효(徐丙孝) 연구에 대한 예비적 고찰 vol.33, pp.3, 2016, https://doi.org/10.14369/jkmc.2020.33.3.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