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istorical Study on Treatment Records of Queen Jangyeol's Convulsion - Focusing on Cases Recorded in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承政院日記 (Seungjeongwonilgi)』" -

조선 장렬왕후의 경련에 대한 치병기록 연구 -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중심으로 -

  • Park, Joo-Young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Cha, Wung-Seok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Namil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박주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 김남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16.05.16
  • Accepted : 2016.05.3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Queen Jangyeol was proclaimed as the second wife of King Injo at the age of 15 in 1638.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nfirm if Queen Jangyeol actually came down with epilepsy or if she pretended to do. The keywords, "Jungjeon" and "Junggungjeon" were searched among the articles from "Seungjeongwonilgi" in the 16th reign to the 27th reign of King Injo. After that, articles only related to convulsion were selected. The symptom of convulsion and the therapy were analyzed. King Injo gave an order, and royal doctors diagnosed the queen's illness as epilepsy in August in the 23th reign. The Queen was confined in Gyeongdeok in November, and took herbal drugs for treating the epilepsy. After the death of King Injo, she stopped taking the drugs. As the Queen's epilepsy took place consistently more than 1~2 times in a month, it is the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 Also, it is the epilepsy overlapping reiteration with the brain function disorder because the convulsion lasted throughout 1 hour. However, after King Injo died, she lived for long without the brain function disorder. So it is difficult to judge she actually came down with the epilepsy.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영진, 김홍균, 김훈, 등. 한의학통사. 서울:대성의학사. 2006:1-573.
  2. 강도현. 승정원일기의 의안을 통해 살펴본 효종의 질병과 사인.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 고대원, 김동율, 김태우, 차웅석. 숙종의 두창에 관한 승정원일기의 의안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43-51.
  4. 고대원. 조선 숙종의 치병에 관한 승정원일기의 기록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 곽영롱. 혜경궁 홍씨의 임신 및 출산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 승정원일기내 용약기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6. 김남일. 한국의학사에서의 의안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한국의사학회지. 2005;18(2):189-195.
  7. 김동율, 김태우, 차웅석. 경종의 병력에 대한 연구 I, 승정원일기 약방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11-22.
  8. 김동율, 김남일, 차웅석. 승정원일기의안을 통해 살펴본 경종의 기질에 대한 이해. 한국의사학회지. 2013;26(1):41-53.
  9. 김동율. 장희빈의 죽음이 경종의 건강에 미친 영향 : 승정원일기 의안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0. 김동율, 정지훈. 경종 독살설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1):15-31.
  11. 김선형, 김달래. 정조의 사망원인에 대한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42-161.
  12. 김선형, 김달래. 영조의 질병력과 사망원인 : 승정원 일기를 중심으로. 의사학. 2010;19(2): 299-341.
  13. 김인숙.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별궁 유폐고. 한국인물사연구. 2006;5:129-158.
  14. 김혁규, 김남일, 강도현, 차웅석. 조선 인조의 질병기록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12;25(1):23-41.
  15. 김혁규. 조선 인조의 치병기록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6. 방성혜, 차웅석. 인현왕후의 발병에서 사망까지 승정원일기의 기록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2012;18(1):1-11.
  17. 방성혜, 김남일, 안상우, 차웅석.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장희빈 의안 관련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4;27(2):53-62.
  18. 신명호. 승정원일기를 통해본 소현세자의 질병과 사인.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2010;100:109-137.
  19. 이상원. 조선 현종의 치병기록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예송논쟁이 현종 질병에 미친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0. 이일랑, 김영만. 전간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80;1(1):63-73.
  21. 장정미. 영조의 경덕궁 이어와 왕실 의례의 공간적 의미.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2. 공정현. 만병회춘. 중국:인민위생출판사. 1995.
  23. 이시진. 본초강목. 중국:인민위생출판사. 2008.
  24. 이천. 의학입문. 서울:남산당. 1991.
  25. 허준. 원본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2014.
  26. 홍원식. 정교황제내경소문. 서울:동양의학연구원출판부. 1985.
  27. 국사편찬위원회. 승정원일기(http://sjw.history.go.kr)
  28.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Cited by

  1. 조선 인목왕후의 진료 기록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를 중심으로 - vol.32, pp.2, 2019, https://doi.org/10.15521/jkmh.2019.32.2.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