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tertainment Agencies'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Drama Production Industry

연예기획사가 드라마제작산업 발전에 미친 영향

  • 노동렬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Received : 2016.04.07
  • Accepted : 2016.05.06
  • Published : 2016.06.28

Abstract

The latest development of the Korean drama production industry has been accompanied by the steep rise in the number of players and the contraction of the advertizing market, which have combined to intensify the competition severely. Then, China happened. Entertainment agencies' logical strategic choice to maximize production revenue potential was to secure A-list actors who can sell, pushing up their prices, that process has continued to even compromise the health of the production industry as well as the agencies' financial integrity. The drama production industry, including entertainment agencies, should shift the strategic focus from simple production revenue generation to profit maximization through diversifying revenue sources like securing IP rights.

드라마제작산업의 발달 과정은 지속적인 플레이어의 증가와 광고시장의 위축으로 귀결된다. 플레이어의 증가는 경쟁의 심화를 초래하였으며, 광고시장의 위축으로 인해 제로섬 게임 상황이 유발되었다. 드라마제작산업과 상호작용하면서 자기조직화한 연예기획사의 발달 과정은 지속적인 연기자 시장의 확대와 A급 연기자 쏠림현상으로 요약된다. 드라마제작산업의 경쟁 심화와 광고시장 위축은 연예기획사에게는 인센티브 확대의 기회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연예기획사의 경쟁전략은 A급 연기자 확보이다. 따라서 A급 생산요소로의 인센티브 쏠림현상은 필연이다. A급 연기자 쏠림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예기획사는 매출 규모의 확대, 다양한 수익원 개발, 저작권 확보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향후 드라마제작산업은 제작 중심 전략에서 사업 중심 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F. Machlup, The Economics of Information and Human Capital,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2. 노동렬, 장용호, "드라마산업의 수직적 해체와 생산요소시장의 부상과정,"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1호, pp.155-187, 2008.
  3. M. Piore and C. Sabel,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NY: Basic Books, 1984.
  4. M. Piore, "Coporate Reform in America and the Challenge to Economic Theory," Paper presented to the Industrial Relations Seminar, MIT, 1987(2).
  5. 노동렬, 장용호, "드라마산업의 수직적 해체와 생산요소시장의 부상," 방송문화연구, 제20권, 제1호, pp.155-187, 2008.
  6. R. J. DeFellippi and M. B. Arthur, "Paradox in project-based enterprise: The Case of Film Making,"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0, pp.125-139, 1998. https://doi.org/10.2307/41165936
  7. 소민재, 프로젝트기반조직의 경쟁력: 한국영화산업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 P. Selznick, Leadership in administrati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7.
  9. R. E. Caves, Creative Industry: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0. M. Kremer, "The O-Rings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08, pp.551-575, 1993. https://doi.org/10.2307/2118400
  11. 삼성경제연구소, 복잡성 과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7.
  12. M. Gell-Mann, The Quark and the Jaguar: Adventures in the Simple and Complex, reprint ed. NY: Owl Books, 1995.
  13. 윤영수, 채승병, 복잡계 이론,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9.
  14. W. B. Arthur, "Complexity and the Economy," Science, Vol.284, pp.107-109, 1999. https://doi.org/10.1126/science.284.5411.107
  15. P. A. Corning, "The Re-Emergence of Emergence: A Venerable Concept in Search of a Theory," Complexity, Vol.7, pp.18-30, 2002.
  16. S. Yoshinori, 複雜經濟學入門, ダイヤモンド社, 임채정 외 기술과 진화의 경제학연구회 역, 왜 복잡계 경제학인가: 지식의 패러다임 대전환, 서울:푸른길,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