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Mathematics Anxiety Shown Brain-Based Measurement through a Remedy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심리적 처치프로그램에서 고등학교 학생들의 뇌파반응에 따른 수학불안의 변화

  • Received : 2016.03.21
  • Accepted : 2016.05.10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Nowadays technological instruments are advanced to measure brain waves called EEG. Also, it is important to find some facts that cause students to have mathematic anxiety (MA) and to provide remedy programs to lessen their MA in order to help students cure MA that could contribute to negative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learning. To find how they change the MA level, a small group of 11 high school students in Suwon city participated for ten weeks at the remedy program based on students' levels of MA diagnosed by MASS instrument (Ko, & Yi, 2011) and proofread by 8 advisors who worked in related research area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medy program was effective to lessen students' MA and it should provide a long term period since some negative experiences were accumulated for a long time of his or her past schooling by others such as teachers, peers, and parents. EEG showed that students got better scores on a percent of correct answers and a reaction time and some student' EEG from a group HMA became smaller heights and width in comparison of the other groups.

수학불안은 부정적인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을 형성 하게 할 뿐 아니라 학습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에 수학불안 요인을 찾고 그에 알맞은 처치 방안을 고안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내적 요인, 학습 방법 요인, 시험 및 성적 요인, 수학 외적 요인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심리적 처치프로그램을 개발 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시킴으로써 수학불안 감소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수원에 위치한 S 외국어고등학교 총 11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10주간 심리적 처치 프로그램 실시 후에 수학불안과 뇌파검사를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심리적 처치는 어느 정도 수학불안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학불안에 대해 학생별 진단이 지필 검사지에 의한 일차적 분석에만 근거하지 않고, EEG에 의한 다차원적인 요인 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경, 조성희, 이군현(1996). 수학 불안 감소를 위한 심리학적 전략(대전 과학고등학교 수학 불안 감소 훈련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87-509.
  2. 김은주(2010).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뇌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뇌파분석 연구. 국제 뇌 교육 종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석영민 (2015). 뇌 기반 측정을 통하여 나타난 수학불안증의 특징: 함수적 과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양명희(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윤락경, 전인호 (2010). 수학불안 감소를 위한 수학 친화적 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83-603.
  6.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5.
  7. 이지혜(2013). 수학불안 연구논문 분석을 통한 불안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정은영, 남민우, 김도남, 김혜숙, 박가나, 이봉주, 권점례, 최원호, 이인호, 조보경, 송민영, 최인봉, 김희경, 김소영 (2010).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과별 평가 틀 개발연구, 연구보고서 CRE 2010-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허혜자(1996). 수학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Ko, H. K., & Yi, H. S. (201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student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2(4), 509-521. https://doi.org/10.1007/s12564-011-9150-4
  11. Lazarus, M. (1974). Mathophobia: Some personal speculations. The National Elementary Principal, vol.53, no.(2), pp.16-22.
  12. Mathison, M. A. (1979). Interventions in math anxiety for Adult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ED. 171-560.
  13. Norton. A. (2014). Mind, Mathematics, and Mental Action. 수학교육논총, 46. 7-21.
  14. Thomas, M. O., Wilson, A. J., Corballis, M. C., Lim, V. K., & Yoon, C. (2010). Evidence from cognitive neuroscience for the role of graphical and algebraic representations in understanding function. ZDM, 42(6), 607-619. https://doi.org/10.1007/s11858-010-0272-7
  15. Sheffield, D. & Hunt, T. (2007). How does anxiety influence math performance and what can we do about it? MSOR Connections, 6(4), 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