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a Sense of Social Exclusion on Will to Escape Poverty in Needy Single Mothers: with Priority Given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화명 (경남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
  • 정원철 (신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1.27
  • Accepted : 2016.03.14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produced any mediating effects when needy single mothers' sense of social exclusion affected their own will to escape pover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6 poor single mothers who resided in the cities of Busan, Gimhae and Yangsan and who were in their 20s to 60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ngle mothers who lived in poverty were given less social support when they felt more excluded in the dimensions of health, relationships, production, consump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housing. Second, the needy single mothers had a more will to escape poverty when more social support was provided and less will to escape poverty when they felt more excluded in the dimensions of health, relationships, production, consumpti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housing. Third, social support produced mediating effects when social exclusion affected the will to escape povert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lieve needy single mothers' sense of social exclusion and bolster their will to escape poverty, formal social support from the nation and local community and informal social support from neighbors, friends and relatives should both be strengthened.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 빈곤여성의 사회적 배제감이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광역시와 김해시, 양산시에 거주하는 20세에서 60세까지의 한부모 빈곤여성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한부모 빈곤여성들은 건강차원과 관계차원, 생산차원, 소비차원, 정치참여차원, 그리고 주거 차원에서 배제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 빈 여성들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탈빈곤 의지가 높았고, 건강차원과 관계차원, 생산차원, 소비차원, 정치참여차원, 그리고 주거차원에서 배제감이 높을수록 탈빈곤 의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배제가 탈빈곤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한부모 빈곤여성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감을 완화하고, 탈빈곤 의지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국가와 지역사회에 의한 공식적 사회적 지지와 이웃과 친구, 그리고 친지들의 비공식적 사회적 지지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여성가족부, 한부모 가족지원사업안내, 여성가족부, 2013.
  2. 김종숙, 여성고용활성화를 통한 여성빈곤의 완화와 공생발전 모색,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김수영, 빈곤여성의 역경극복과정: 강점관점 사례관리 참여자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 송은경, 빈곤여성가구주의 아동양육부담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오승환, "결손가족 청소년의 학업성취 결정요인: 일반가족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 제4호, pp.53-80, 2001.
  6. 박영란, 저소득 모자가정의 자립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8.
  7. 고선재, 국민기초수급자의 빈곤탈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서대문구지역 대상자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8. 김영희, 생활보호대상자의 빈곤 탈피여부와 탈피기간에 관한 연구: 중계3동 영구임대아파트 지역의 생활보호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9. 안종순,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자활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동구 저소득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0. D. Pearce, The Feminization of Poverty: Women, Work, and Welfare, Urban and Social Change Review, Vol.11, pp.28-36, 1978.
  11. 김안나, "한국 근로빈곤층의 특성과 결정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정책, 제29호, pp.145-168, 2007.
  12. 석재은, 김태운, 양진운, "취약계층 여성정책의 발전방향 연구: 여성 한부모 가구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국제학술발표대회지, 제2007권, 제2호, pp.715-718, 2007.
  13. A. Aassve, F. C. Billari, S. Mazzuco, and F. Ongaro, "Leaving home: a comparative analysis of ECHP data," Journal of European Social Policy, Vol.12, No.4, pp.259-275, 2003.
  14. 김석순, 자활사업참여자들이 인지하는 '자활'의 의미,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5. 송승숙, 장승옥, "빈곤여성가장의 자활의지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제2013호, pp.1403-1424, 2013.
  16. 신수아, 저소득층 여성가장의 소외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7. 여성가족부, 한부모 가족지원사업안내, 여성가족부, 2014.
  18. 이태진, 김미곤, 김혜승, 박신영, 이영환, 홍인옥, 최현수, 김선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보건복지부, 저소득층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주거급여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19. 구인회, "빈곤의 동태적 분석: 빈곤지속기간과 그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2호, pp.351-374, 2005.
  20. 이정원, 가정의 사회적 자본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1. 조용수, 김기승, "우리나라의 연령별 빈곤실태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사회보장연구회보장학회, 제23권, 제3호, pp.101-124, 2007.
  22. 김교성, "서울시 가구 빈곤의 원인에 관한 다층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1호, pp.215-240, 2010.
  23. 권신영, 빈곤 여성가구주의 사회적 배제가 자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4. 김정현, 가난한 이혼여성의 사회적 배제 경험과 기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5. 정미숙, 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가족경험과 빈곤화 과정에 대한 연구: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6. 박병현, 최선미, "사회적 배제와 하층계급의 개념 고찰과 이들 개념들의 한국빈곤정책에의 함의," 한국사회복지학, 제45호, pp.185-219, 2001.
  27. J. Pierson, Tackling social exclusion, London: Routledge, 2002.
  28. 최종혁, 이연, 유영주, 안태숙, "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문화복지 프로그램의 기능 : 문화복지 실천가 대상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2권, 제1호, pp.291-316, 2010.
  29. 전병주,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37-247, 2012.
  30. 정일영, "사회참여가 노인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164-177, 2013.
  31. 정경택,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12권, 제2호, pp.151-162, 2003.
  32. 김경순, 이혼 한부모 여성가족의 가족레질리언스가 모의 심리적 안녕 및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자보호시설 입소자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3. 박주연, 김경신,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한부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7권, 제1호, pp.23-46, 2012.
  34. 심창학, "사회적 배제 개념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 비교관점에서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44호, pp.178-208, 2001.
  35. 김지혜, 성정현, "빈곤여성 가장의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제22권, 제1호, pp.65-93, 2010.
  36. 박영란, 강철희,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호, pp.91-116, 1999.
  37. 이은희, 최광선, "한부모 여성가족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83-2990,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7.2983
  38. 김혜영, 이은주, 윤홍식, "여성빈곤의 구조적 요인과 빈곤의 여성화," 아시아여성연구, 제4권, 제1호, pp.5-51, 2005.
  39. 김태준,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0. 성낙현,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배제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자본,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연구: 충청북도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1. 박지원,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42.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비앤엠북스, 2005.
  43. 차명화,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4. 박용순, 빈곤과 자립, 학지사, 2001.
  45. M. Barrera,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No.4, pp.413-445, 1986. https://doi.org/10.1007/BF00922627
  46. 이정원, 소득부위 및 부채상환비율에 따른 가계소비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47. 이상록, 진재문, "지역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2호, pp.241-272, 2003.

Cited by

  1. Experiences of Family Resources in Resilience Development Process for Low-Income Families Participating in Asset Building Program vol.55, pp.3, 2017, https://doi.org/10.6115/fer.2017.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