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es of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국제 성인역량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 분석

  • Received : 2015.11.10
  • Accepted : 2015.12.29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To meet the needs of societies that have been suggesting that practical competency is the key factor in the economies and societies of the 21st century, OECD developed the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PIA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upon the premise that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must be assessed before setting up any national strategies to develop adult competency. First,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seem insufficient to objectively measure cognitive and practical competency of adults. Second, the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assess only observable and measurable individual knowledge and functions, despite the fact that adult competency must be viewed as collective competency where various aspects of proficiencies are closely interconnected. Third, the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do not take the nature of humans into consideration: it assesses human beings based only on observable human behaviors. In conclusion, this study maintains that we need to discuss the adult competency that matches well with the societal and industrial needs of Korea and to critically review the validity of any measures assessing adult competency.

실제 작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천능력이 중요하다는 최근 이슈에 부응하여 OECD에서는 국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PIAAC)을 개발하여 24개국 15만 7천 명 성인의 역량을 측정한 바 있다. 이 연구는 성인역량의 구체적인 개발 전략 수립에 앞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PIAAC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문헌을 활용한 개념적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성인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실천력을 측정하기에 타당성이 부족함을 지적한다. 둘째, 성인역량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총체적인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개별 지식이나 기능의 측면만을 강조한다. 셋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가시적인 행동요소를 중심으로 인간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인간의 인격적 속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맥락에 맞는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성인역량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고, 이를 측정하기에 타당성 있는 콘텐츠를 엄밀히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D. S. Rychen and L. H. Salganik, "A holistic model of competence," In D. S. Rychen & L. H. Salganik(Eds.),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pp.41-62, Cambridge, MA: Hogrefe & Huber Publisher, 2003.
  2. G. Miller, "The assessment of clinical skills/competence/performance," Academic Medicine, Vol. 65, No.9, pp.63-67, 1990. https://doi.org/10.1097/00001888-199002000-00001
  3. OECD, DeSeCo Project,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2005.
  4. P. D. Ashworth and J. Saxton, "On competence," Journal of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Vol.14, No.2, pp.3-25, 1990. https://doi.org/10.1080/0309877900140201
  5. R. Margaret and S. Matthew, "Models of competence and teacher training,"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Vol.25, No.3, pp.349-360, 1995. https://doi.org/10.1080/0305764950250306
  6. W. Westera, "Competences in education: A confusion of tongue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33, No.1, pp.75-88, 2001. https://doi.org/10.1080/00220270120625
  7.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Vol.27, No.4, pp.71-94, 2009.
  8.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 (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Vol.25, No.3, pp.1-21, 2007.
  9. 송경오,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Vol.34, No.4, pp.155-182, 2007.
  10. 옥현진, "국제 문식성 평가 분석을 통한 문식성교육 시사점 탐색," 청람어문교육, Vol.49, pp.73-103, 2014.
  11.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Vol.45, No.3, pp.233-260, 2007.
  12. 이광우,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보고서, 2013.
  13. 이종재, 송경오, "핵심역량개발과 마음 계발: 중용의 관점에서," 아시아교육연구, Vol.8, No.4, pp.137-160, 2007.
  14. 이지혜, "문해교육에서 '문해됨'의 의미,"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3, pp.1-24, 2011.
  15. 정영근, "역량개발시대 학업성취의 교육학적 의미,"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pp.1-18, 2013.
  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인의 역량, 학습과 일 -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보고서,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