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llective Minds Formed through North Korea's Documentary Films during the Arduous March Period: Focusing on < Let Us Hold High the Red Banner! >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기록영화에서 조형된 집단적 마음: <내조국 빛내리>를 중심으로

  • 김승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과)
  • Received : 2016.03.28
  • Accepted : 2016.04.22
  • Published : 2016.05.28

Abstract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North Korea overcame its crisis situation of the regime, the Arduous March. What was the driving force, enabling the regime to overcome the situation that could have been collapsed?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what strateg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ok to unite the social minds through its documentary films in the midst of the national cri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ocumentary films emphasize that the people should become heroes in heroic fantasies. These films present the model cases, in which the people break through the hardships with their strong willpower, as an answer. Second, they mind the defeatism and encourage the triumphalism. They stress the importance of uniting collective minds as a breakthrough in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Third, they place an emphasis on creating the harmonized minds. They repeat the recovery of communistic morality, which has been emphasized up to date. Collective minds are eventually the outcome obtained from social experiences. North Korea stresses to convert the arduous march into the march to the paradise by the creation of collective minds through documentary films even in difficult realities.

현재적 관점이지만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체제 위기 상황을 극복했다. 충분히 체제가 전복될 수도 있었던 상황을 극복한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집단적 마음을 형성시키기 위해 기록영화를 통해 어떤 전략을 취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인민에게 영웅적 환타지의 주인공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강한 정신력으로 고난을 돌파한 모범 사례들을 해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둘째, 패배주의를 경계하고 승리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미 닥쳐온 경제문제의 돌파구로 집단적 마음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주민의 동질적 마음 형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도 강조되고 있는 공산주의적 도덕성의 회복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집단적 마음이라는 것도 결국 사회적 경험으로 얻은 결과물이다. 북한은 기록영화를 통해 집단의식의 발현으로 비록 현실은 고단하지만, 고난의 행군을 낙원의 행군길로 전환시킬 것을 역설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갑식, 오유석, "'고난의 행군'과 북한사회에서 나타난 의식의 단층," 북한연구학회보, 제8권, 제2호, pp.91-115, 2004.
  2. 김성경, "북한 청년의 세대적 '마음'과 문화적 실천," 통일연구, 제19권, 제1호, pp.6-40, 2014.
  3. 김홍중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 세대," 한국사회학, 제49권, 제1호, pp.179-212, 2015.
  4. 김정일, 김정일선집 1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5. 리현순, 사회주의영화예술건설,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8.
  6. 블라디미르 프로프, 유영대 옮김, 민담형태론, 새문사, 1987.
  7. 아더 아사버거, 한국사회언론연구회 매체비평분과 옮김, 대중매체비평의 기초, 이론과실천, 2000.
  8. 서명수, "영화에서 환유와 은유," 기호학연구, 제6집, pp.205-237, 1999.
  9. 마이클 래비거, 조재홍, 홍형숙 옮김, 다큐멘터리, 지호, 1998.
  10.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99.
  11. 배희철 외, 주체의 기록영화,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2.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을 이론화하기," 한국사회학회, 제48권, 제4호, pp.179-213, 2014.
  13.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15.
  14. 광명백과사전 6권,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