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Model Verification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적 자의식의 매개모형검증

  • Received : 2016.03.03
  • Accepted : 2016.03.29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on model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Data from 439 boy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that gam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Private self-consciousness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Considering two factor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game addi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with self-reflectiveness factor. Although two factor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game addictio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reflectiven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aggression.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that private self-consciousness, especially self-reflective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influence of game addiction on aggressio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적 자의식의 매개모형을 검증하여 게임중독 청소년을 위한 개입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기 위해 수행되었다. 남자 청소년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중독은 공격성 및 사적 자의식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사적 자의식은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게임중독은 사적 자의식의 두 하위 요인 중 자신에 대한 숙고 요인과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내적 상태에 대한 인식 요인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사적 자의식의 두 하위요인은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내적 상태에 대한 인식 요인은 상대적으로 상관이 낮았고, 공격성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는 자신에 대한 숙고 요인만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포함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사적 자의식, 특히 자신에 대한 숙고는 게임중독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보완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게임백서, 2015a.
  2.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과몰입 종합실태조사, 2015b.
  3. 김진수,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 강희양, 손정락, "중독 :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관련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4호, pp. 733-744, 2008.
  5. 권순희,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환경적 변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 김옥태, "게임중독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pp. 54-62, 2011.
  7. 박승민, 조영미, 김동민,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이해와 상담, 서울: 학지사, 2011.
  8. 임금순 서영희,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인터넷게임중독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21세기 사회복지연구, 제11권, 제1호, pp. 47-68, 2014.
  9. 이추진, 초등학교 저학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유형에 따른 공격성과 자기 통제력에서의 차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0. A. Fenigstein, M. F. Scheier, and A. H. Buss,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3, pp. 522-527, 1975. https://doi.org/10.1037/h0076760
  11. B. Mullen and J. Suls, "Know thyself: Stressful life changes and the ameliorative effect of private self consciousnes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18, pp. 43-45, 1982. https://doi.org/10.1016/0022-1031(82)90080-4
  12. 고소희, 성인애착유형이 자기위로능력과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R. E. Ingram, A. E. Lumry, D. Cruet, and W. Sieber, "Attentional Processes in depressive Disorder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11, No. 3, pp. 351-360, 1987. https://doi.org/10.1007/BF01186286
  14. S. R. Woody and B. F. Rodriguez,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nxiety in social phobics and normal control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4, pp. 473-488, 2000. https://doi.org/10.1023/A:1005583820758
  15. L. Nystedt and A. Ljungberg, "Facets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construct and discriminant validity,"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 16, No. 2, pp. 143-159, 2002. https://doi.org/10.1002/per.440
  16. P. J. Watson, R. J. Morris, A. Ramsey, S. E. Hickman, and M. G. Waddel, "Further Contrasts between Self-Reflectiveness and Internal State Awareness Factor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 130, No. 2, pp. 183-192, 1996. https://doi.org/10.1080/00223980.1996.9915000
  17. P. D. Trapnell and J. D. Campbell,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Distinguishing rumination from refle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6, pp. 284-304, 1999. https://doi.org/10.1037/0022-3514.76.2.284
  18. 김영아, 오경자, 문혜신, 김진관, "사적 자의식 구인의 두 가지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8권, 제1호, pp. 69-78, 1999.
  19. 김미령, "청소년기 사적 자의식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정체성 혼미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3호, pp. 141-169, 2014.
  20. 조은희,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1. R. A. Davis, "A cognitive-behaviou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17, pp. 187-195, 2001. https://doi.org/10.1016/S0747-5632(00)00041-8
  22. M. Workman and J. Beer, "Aggression, Alcohol Dependenc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of Divorced and Nondivorced Parents," Psychological Reports, Vol. 72, pp. 279-286, 1992.
  23. M. F. Scheier, A. H. Buss, and D. M. Buss, "Self-consciousness, self-report of aggressiveness, and aggress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 12, No. 2, pp. 133-140, 1978. https://doi.org/10.1016/0092-6566(78)90089-2
  24. 어기준, 청소년의 컴퓨터 중독 유형과 제반문제점. 한국청소년상담원 토론회 발표 자료집, 2000.
  2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Washington, DC:Author, 2013.
  26. 김희자, "고학력 부모를 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 184-297, 2013.
  27. 박원배, 중학생의 역기능적 신념, 우울, 공격성과 인터넷 게임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이 학교적 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 229-23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229
  29. R. W. Ingram,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Vol. 107, pp. 156-176, 1990.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156
  30. A. Fenigstein, "Self-Consciousness, Self-Attention, and Inter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7, pp. 75-86, 1979. https://doi.org/10.1037/0022-3514.37.1.75
  31. M. F. Scheier, "Effect of public private self-consciousness on the Public expression of personal belie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9, pp. 514-521, 1980. https://doi.org/10.1037/0022-3514.39.3.514
  32. 김미령, "청소년기 공적 자의식과 대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 정체성 성취의 매개 효과와 조절 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2호, pp. 1-17, 2011.
  33. 선주연, 신희천,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5호, pp. 3183-3200, 2013.
  34. 남궁은정, 김은정, 이인희, "대학생의 자의식과 자기애가 갈등관리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pp. 1-25, 2009.
  35. 송유정, 청소년의 사적 자의식과 공감능력이 또 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삭사학위논문, 2013.
  36. 이선주, 사적 자의식과 정서 경험이 신경증적 경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7. 최정아, 자의식과 자존감이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38. T. W. Smith, R. E. Ingram, and D. L. Roth, "Self-focused attention and depression: Self-evaluation, affect, and life stress," Motivation and Emotion, Vol. 9, pp. 381-389, 1985. https://doi.org/10.1007/BF00992207
  39. A. E. Kazdin, Encyclopedia of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0. L. Berkowitz, Aggression: Its causes, consequence, and control, New York: Mac Grow-Hill, 1993.
  41. T. D. Little, C. C. Henrich, S. M. Jones, and P. H. Hawley, "Disentangling from the "whys" from the "whats: of aggressive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 53, pp. 1431-1446, 2003.
  42. M. A. Marsee, C. T. Barry, P. J. Frick, E. R. Kimonis, L. C. Munoz, and K. J. Aucoin, "Assessing Aggression in at-risk youth using the Peer Conflict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valuation of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Southea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7.
  43. 김아름, 남자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이 공격 성 및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4. 김광웅, 부정민, "온라인게임 몰입 및 중독과 개인내적 요인과의 관계-자기존중감, 자기통제력, 우울, 공격성, 감각추구성향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 1169-1187, 2006.
  45. 서민영, 임은미, "남자 고등학생의 인터넷 활용특성,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공격성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관계," 가족과 상담, 제2권, 제2호, pp. 31-47, 2012.
  46. 임지영, "남자 중학생의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 688-698, 2016.
  47. 주지혁, 조영기, "온라인게임이 청소년의 공격성 에 미치는 영향 연구-리니지 이용자를 중심으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제24권, pp. 79-115, 2006.
  48. 한상훈, 왕소정,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공격성에 관련된 조절변수의 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 제7권, 제3호, pp. 51-72, 2009.
  49. 김교헌, 최훈석, 권선중, 용정순,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4권, 제3호, pp. 511-529, 2009.
  50. 양은주, 오경자, "자의식과 부정적 생활경험이 대학생의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2권, 제2호, pp. 113-125, 1993.
  51. L. Joseph, R. P. Eric, N. Clayton, and F. H. Justin, "The role of self-consciousness in the experience of alcohol-related consequences among college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Vol. 33, pp. 812-820, 2008. https://doi.org/10.1016/j.addbeh.2008.01.002
  52. M. B. Clara, B. G. Suzy, R. S. Paul, T. Robyn, J. R. Damaris, and M. M. Peter, "Alcohol cue reactivity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mong male alcoholics," Addictive Behaviors, Vol. 24, No. 4, pp. 543-549, 1999. https://doi.org/10.1016/S0306-4603(98)00093-8
  53. M. F. Scheier and C. S. Carver, "Self-focused attention and the experience of emotion: Attraction, repulsion, elation and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5, pp. 625-636, 1977. https://doi.org/10.1037/0022-3514.35.9.625
  54. J. Kuhl, "Motivational and functional helplessn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tate versus action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40, No. 1, pp. 155-170,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0.1.155
  55. J. V. Wood, J. A. Saltzberg, L. A. J. N. Neale, A. A. Stone, and T. B. Rachmiel, "Self-focused attention, coping responses, and distresed mood in everyday lif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8, pp. 1027-1036, 1990. https://doi.org/10.1037/0022-3514.58.6.1027
  56. 서수균,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한국학술정보(주), 2005.
  57. 이수진, 안경식,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이 또래간 가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7권, pp. 151-170, 2010.
  58. 문혜정, 성인애착 및 자의식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문제 수준의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9. 김은정, "우울증상 지속에 영향을 주는 인지 및 행동 요인들: 3개월간의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3권, pp. 1-19, 1994.
  60.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1.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a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1, pp. 16-29, 1996.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62. 손지향, 송현주, "청소년의 충동성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외톨이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심리치료, 제7권, 제2호, pp. 91-106, 2007.
  63. 홍세희, "구조 방정식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1호, pp. 161-177, 2000.
  64.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 7, pp. 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65.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경영학 연구조사방법 뉴트랜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03.
  66. P. J. Watson, S. E. Hickman, R. J. Morris, N. L. Stutz, and L. Whiting, "Complexity of selfconsciousness subscales: Correlations of factors with self-esteem and dietary restraint,"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 9, pp. 761-774, 1994.
  67. R. A. Wicklund, Objective self-awareness. In L. Berkowite(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8, New York: Academic press, 1975.
  68. 이주연, 사적 자의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9. N. T. Van Dam, S. C. Sheppard, J. P. Forsyth, and M. Earleywine, "Self-compassion is a better predictor than mindfulness of symptom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mixed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 25, pp. 123-130, 2011. https://doi.org/10.1016/j.janxdis.2010.08.011
  70. 김환, "역기능적 자기초점 속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31권, 제2호, pp. 487-505, 2012.
  71. 권재환, "충동성, 공격성과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기술의 매개모형검증 : 중고등학교급별 비교,"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 87-98, 2010.

Cited by

  1. The association between aggression and risk of Internet gaming disorder in Korean adolescents: the mediation effect of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vol.40, pp.2092-7193, 2018, https://doi.org/10.4178/epih.e2018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