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stitution and Social Power i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Unnie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의 성매매문제와 사회적 영향력

  • 계운경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 Received : 2015.10.19
  • Accepted : 2015.11.30
  • Published : 2016.04.2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Unnie dealing with prostitution in Korean society. Not only does it discuss profuse discourse about Unnie such as politics of the film,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as a tool of struggle, an organized narrative for anti-prostitution and social power of the film but also it deals with prostitution matters related with the film such as prostitute rights, anti-prostitution and pro-prostitution. And it diagnoses possibilities of modifying audiences' recognition and participatory spectatorship with Unnie, conducting a survey of 202 undergraduates.

본 논문은 우리사회의 성매매문제를 다루고 있는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언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언니>를 둘러싸고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담론 중 '영화의 정치성', '투쟁의 도구로서 한국 독립다큐멘터리', '영화의 사회적 영향력', '성매매문제와 성매매여성인권', '반성매매와 성노동 진영의 논쟁', '<언니>의 반성매매를 위한 내러티브 구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언니>를 통한 '관객의 인식변화'와 '참여적인 관객성'의 가능성에 관해 진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금녀, "1980년대 한국영화의 성적 욕망 담론에 관한 연구-<애마부인><뽕><감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4호, p.8, 2000.
  2. 이선자, "영화 속의 장애인 이미지 분석," 한국장애인복지학, 제7권, p.81, 2007.
  3. 이충직, 주진숙, "식민지 아시아 국가들의 영화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대만 뉴 웨이브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16호, p.7, 1997.
  4. D. Bordwell and K. Thompson, 영화예술, 주진숙, 이용관 역, 이론과실천, p.558, 1993.
  5. T. Clark, 20세기 정치선전 예술, 이순령 역, 예경, pp. 14-114, 2000.
  6. J. Hill and P. C. Gibson, 영화연구, 안정효 외 역, 현암사, pp. 141-412, pp. 241-242, 2004.
  7. 남인영, "타자들의 '목소리':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들에서의 사운드와 이미지의 관계," 영상예술연구, 제13호, p.114, 2008.
  8. 강준만,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2권, 인물과 사상사, p.59-71, 2002. 재인용
  9. 고정갑희, "매춘 성노동의 이론화와 성/노동/상품의 위계화," 경제와사회, 제81호, p.113, 2009.
  10. 유숙란, "네덜란드 성매매 합법화의 효과: 불법 이주 성매매자의 배제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제1권, 제1호, pp. 12-16, 2008.
  11. 김경미, "'피해'와 '보호'의 이중주-성매매방지법을 넘어서," 여성이론, 제13호, p.67-69, 2005.
  12. 이하영, ""당신의 '입장'은 무엇입니까?" 2004년 이후 한국의 '성매매' 운동의 지형도 읽기," 여성이론, 제23호, pp. 166-67, 2010. 재인용
  13. 정문영, "아톨 푸가드의 관객성의 정치성-The Road to Mecca," 현대영미드라마, 제14권, 제1호, pp. 246-247, 2001.
  14. R. Stam, 어휘로 풀어 읽는 영상기호학, 이수길 외 역, 시각과언어, p.276, 2003.
  15. 유선영, "초기 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근대적 시각문화의 변조와 재배치," 언론과사회, pp. 12-13, 2003.
  16. R. Barthes, 텍스트의 즐거움, 김희영 역, 동문선, pp. 34-35, 1997.
  17. 안영순, "서사담론의 변화와 관객성: 소설과 영화 '모던보이'를 중심으로," 외국문화연구, p.134, 2009.
  18. P. Levy,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전재연 역, 궁리, p.32, 2002.
  19.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289,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