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Juxtaposition Technique in Nosan Lee Eun-sang's Sijo - Focusing on the Nosan Sijojip(時調集) -

노산 이은상 시조의 병치 기법 연구 - 노산 시조집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9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at the main creative attitude in Lee Eun-sang's Sijo relies upon the juxtaposition technique, with paying attention to juxtaposition of being found in the works of being put in the Nosan Sijojip(時調集, collection of Sijo poems), and that this creative attitude provides readers with the easiness for understanding. A type in the juxtaposition technique, which was shown in "Nosan Sijojip", was divided in the dimension of the anaphora in a meaning and the confrontation in a meaning. The anaphora of a meaning was classified into synonymous juxtaposition, comprehensive juxtaposition, specific juxtaposition and syntactic juxtaposition. The confrontation of a meaning was examined in the contradictory juxtaposition. Most of Lee Eun-sang's works are applying this juxtaposition technique. Also, the dynamic of image, which is indicated in juxtaposition, is what was influenced by the British and American imagism. This study will be able to solve problems that modern Sijo has to some extent, and will be helpful even for acquiring the identity in Sijo.

본 연구는 노산시조집에 실린 작품에서 발견되는 병치에 주목하여, 이은상 시조의 주된 창작 태도가 병치 기법에 있으며 이러한 창작 태도는 독자들에게 이해의 수월성을 제공한다는 것을 논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병치기법은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텍스트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병치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이은상의 창작태도는 독자와의 소통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병치기법으로 인한 의미의 확장은 시조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간결미와 정제미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창작태도는 '시조 정체성의 혼란과 난해성으로 독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는, 오늘날 현대시조가 나아갈 방향을 찾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은상이 "노산시조집"을 발간한 시기는 한국 시조가 노래 장르에서 문학 장르로 그 발판을 굳건히 다지는 때였다. 문학 장르의 발판을 굳히기 위한 도구로 영미의 이미지즘을 수입하여 전통시가의 근대화를 꾀했다. 1920년대 창작된 시조 작품에는 이미지즘 시 이론이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었지만 "노산시조집"에는 개성적인 면도 있었다. 이은상의 시조에는 병치 기법이 많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이는 이은상 시인이 추구한 시작태도라고 할 수 있다. 로스, 피네간, 유협, 속요에 서술된 병치 이론을 참조하여 "노산시조집"에 나타난 병치 기법의 유형을 의미의 조응과 의미의 대립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의미의 조응에서는 동의적 병치, 종합적 병치, 구체적 병치, 통사적 병치로 나누었으며 의미의 대립은 대립적 병치에서 살펴보았다. 이은상 작품 대부분이 이러한 병치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병치에 의해 나타나는 이미지의 역동성은 영미 이미지즘에서 영향 받은 것이다. 오늘날까지 독자들이 이은상 시조 작품을 널리 애송하고 있는 까닭은 병치 기법과 이미지의 역동성으로 그의 작품이 쉬우면서 감동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이은상이 추구했던 병치 기법은 독자의 이해를 돕는 수월성을 제공하고 리듬 창출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이다. 따라서 오늘날, 현대시조의 정체성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인들이 시조의 색깔을 드러낼 수 있는 병치 기법이나 역동적 이미지를 잘 살려낸다면 현대 시조가 지닌 문제점들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며 시조의 정체성을 획득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은상, 노산시조집, 한성도서주식회사, 1932
  2. 유 협․성기옥, 문심조룡,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3. 유리 로트만, 시 텍스트의 분석 : 시의 구조, 유재천 역, 가나, 1987.
  4. 이은상, 이정남․배영남․김용석, 언어학사전 제3개정 증보판, 박영사, 2000,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1991.
  6. 구인환, 노산시조집을 읽고, 한국문학 그 위상과 그 지표, 삼영사, 1978
  7. 구인환, 노산의 문체론, 한국문학 그 위상과 그 지표, 삼영사, 1978.
  8. 김금남, 近代時調의 特性 硏究,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9. 김동준, 노산시조론, 시조문학론, 우성문화사, 1981.
  10. 김복근, 李殷相 時調 硏究,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11. 김상선, 노산의 사상과 민족자적 방법, 현대시가의 형태론, 일조각, 1981.
  12. 김상선, 노산시조의 형태론, 현대시가의 형태론, 일조각, 1981.
  13. 김선옥, 韓國近代 時調文學觀 硏究 : 이병기․이은상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14. 김 준, 노산의 시정신 작품배경 연구, 경희대, 1968.
  15. 김해성, 노산시조의 불심세계, 불교계 통권 21호, 1969, 5.
  16. 김해성, 민족시인 노산의 문학과 인간, 한국 현대 시조론, 진명문화사, 1974.
  17. 김희철,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불교사상 연구, 서울여대 논문집 5호, 1976.
  18. 박민규, 김종삼 시의 병치적 특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9. 박상곤, 이은상 시조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4.
  20. 신상철, 노산의 사향문학, 마산문학9집, 1985.
  21. 오승희, 현대시조의 공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22. 원용문, 이은상시조의 연구, 배달말 제9호, 1984.
  23. 이경수,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 구조 : 1930년대 후반기의 백석․이용악․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4. 이민영, 초기 현대시조 연구 : <육당․가람․노산․조운>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25. 이은상, 시조문제 1(二)-4(四), <<동아일보>>, 1927
  26. 이선옥, 가람과 노산 시조의 비교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7. 이순희, 한국 근대시조의 이미지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8. 이문중, 李殷相의 時調硏究, 慶南大學校 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988
  29. 이해구, 노산과 단가, 국어국문학 통권 183호, 1970.
  30. 임나정, 현대시조의 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31. 임헌도, 노산시조에 나타난 애국애족관, 노산문학연구, 당현사, 1976.
  32. 정재호, 노산시조 연구, 어문학 17집, 1976.
  33. 최일수, 노산문학과 민족사상, 노산문학 연구, 당현사, 1976.
  34. 피천득, 노산시조집을 읽고, <<동아일보>>, 1932.
  35. 현영민, 에즈라 파운드의 이미지스트 시학, 영어영문학연구,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03.
  36. 황혜정, 경남 마산 지역의 친일의혹 인물과 기념 사업 논쟁 : 이은상․조두남․장지연을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37. 황희영, 노산시조의 문장 구조적 특징, 노산문학연구, 당현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