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iJo in Dongkwang magazine

『동광』의 시조 연구

  • Received : 2015.12.31
  • Accepted : 2016.01.11
  • Published : 2016.01.31

Abstract

This these studies on SiJo to be published Dongkwang magazine. Dongkwang magazine was published from 1926 to 1933 but in the concrete it proceeded for three years two month. It was published a little SiJo and SiJo would reflected a phenomenon of society and a character of literature. A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the Si-Jo in substance at that time was summed up three. First it described a warmth of farm village. Expecially make full use of a sensuous description expressed a landscape of farm village. Otherwise it revealed a life of austerity in farming area. Second it reflected a phenomenon of return to their home village. People who was familiar with their country loved to come back their old home. To relax their mind and body they came back home and they pursuit romantic life. Third it was a poetry of historical retrospect. Although their country was colonial situation they longed fot their country's independence. Because of this anxiety they expressed their heart by means of old sijo. Mainly using old castle, ring, historic site they revealed a hidden feelings thst they had. It was a sorrow, an eager, remembrance etc. In spite of a poor surroundings they sang hope, romance, an possibility of independence. and so SiJo reflected the phases of the times.

일제 강점기 간행된 "동광" 잡지에 게재된 시조를 분석하여 당대 시조의 특징과 문화현상을 파악하려 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순서로 진행하였다. "동광"에 게재된 시조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1)임에 대한 정한의 표출 (2)역사 회고 (3)농촌의 정취 (4)사향(思鄕) (5)삶에 대한 성찰과 각오 (6)신의에 대한 성토 (7)이별의 정한 (8)계절 예찬 (9)귀전원과 정감 등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이중에서도 당대의 특징을 잘 반영하는 주제로 선별하면 대체로 세 가지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그 근거는 통계적 기준(작품 수)과 당대 시대상(일제 강점기)을 고려해서 나눈 것이다. 즉 농촌의 정취, 귀전원과 정감, 역사 회고 등이다. 먼저 농촌의 정취를 살펴보면 표면적으로는 평화롭고 정감서린 농촌의 정경을 읊조렸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세금을 내고나면 남는 것이 없는 소작농의 궁핍한 생활을 토로하고 있다. 또 감각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농촌 특유의 정감을 유감없이 그려냈다. 다음으로 귀전원과 생활의 정감에 관한 것을 담고 있는데, 전원에서의 정취와 낭만을 노래했다. 즉 1930년대는 전원으로 돌아가는 사회 현상을 시조문학을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특히 선경후정(先景後情)의 작법을 활용하여 쉽고 평탄하게 내용을 전개하였으며 이따금 탈속적 정취를 노래했다. 또 도연명의 '채국동리하(採菊東籬下)'의 배경을 활용하고 농촌 정착의 의지를 표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사 회고 시조인데, 현실에 움추린 조선인들을 일깨우기 위해 위국충절과 호연지기를 노래했다. 그리고 여전히 국권회복의 가능성을 갈망하고 있다. 특히 종장에서 밑줄 처리를 통해 고조된 감정을 표출하고 종래에 없던 새로운 시조의 작법을 보여 주기도 했다. 역사 회고 시조는 부당한 현실에 대한 반감을 전제한 것이며, '애달프다'라는 시어는 당대를 바라보는 지식인들의 심정을 압축적으로 대변한 것이다. 1930년 이후는 시조는 이전의 감성적 낭만적인 시조와 달리 논리적이고 사회문제를 전달하려는 스토리를 갖고 있는 것도 있다. 즉 기존의 음악적 요소나 감정에 호소하는 성향보다는 이치적이고 산문적 성향을 갖고 있다. "동광(東光)"의 시조를 통해 당대의 시의성을 반영하고 동시에 우리 문학의 전통성과 정감을 여전히 발산하고 있는 시조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학문헌연구소편, 東光, 아세아문화사, 1977.
  2. 강영미, 배재의 논리로 구축된 '시조부흥론', 한국시학연구 39호, 2014.
  3. 김동준, 시가문학의 연구사론, 한국시가의 원형이론, 진명문화사, 1996.
  4. 박미영, 한국시가론과 시조관, 박이정 2006.
  5. 배은희, 1930년대 시조담론 고찰, 시조학논총 38집, 2013.
  6. 이형대, 1920-1930년 시조의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고시가연구 21집, 고시가연구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