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혜원, & 김상호.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 공수연, & 양성은. (2014). 중국국적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과정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33-15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3
- 구미라. (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충격과 취업욕구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경아. (2012). 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의지 결정요인분석: 이주여성의 정책인지수준과 지역사회다문화태도인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81-409.
- 김명성. (2009). 사회통합적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8, 5-29.
- 김병숙 외. (2008). 결혼이민여성 취업 직종 및 교재 개발. 서울: 한국직업상담협회.
- 김병숙, 안윤정, & 송혜령. (2010). 결혼이주여성의 직업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235-258.
- 김오남.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 김옥련. (2014).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 스트레스와 이혼위기에 관한 연구: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이선, 마경희, 선보영, 최호림, & 이소영. (2010). 다문화가족의 해체 문제와 정책과제. 여성가족부.
- 김승의. (2007).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욕구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효순. (2013). 사회적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업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3(1), 327-355.
- 류이현. (2011). 수요자 중심 시각에서 결혼이주여성 지원정책 분석: 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능후, & 선남이.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41, 120-144.
- 박미은, 신희정, & 이미림. (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 박영자. (2008). 협력: 다문화 이슈: 새터민,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국민인가? 이주민인가?. 동아시아 브리프, 3(2), 126-139.
- 박재규. (2013). 농촌과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결정요인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5(1), 5-33.
-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부, 법무부, 여성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 배경희, & 김석준.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64(3), 5-27.
- 배경희, & 서인숙.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3(4), 183-202.
- 배상식, & 서미욱. (2013). 경북지역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자녀교육 실태: 자녀교육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중심으로. 초등도덕교육, 43, 195-224.
- 설동훈, & 윤홍식. (2008).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 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출신국가와 거주 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4(5), 109-133.
- 설동훈, & 이계승. (2011).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경혼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사회학, 13(1), 117-147.
- 손은령. (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5(2), 73-86.
- 심인성. (2010). 결혼이민자의 취업 및 직업훈련 실태와 정책과제. 포건복지포럼 (2017. 7), 36-45.
- 양순미, 최규홍, & 강경하. (2009).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농업.지역사회.취업활동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6(4), 713-742.
- 양인숙, & 김선혜.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연구, 34(1), 237-266.
- 여성가족부, & 관계부처합동. (2012). 제2차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2013년도 시행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 이명희, 김정현, 송진숙, & 문희강. (2012). 대전지역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2), 17-28.
- 이헌경.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은희, & 이은미. (2012).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66-7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66
- 이형화. (2013).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생활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8(120, 149-157.
- 임석회. (2009).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364-387.
- 임선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서영 외. (2009).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 장은경, & 류진아. (2015).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2(2), 117-133.
- 전기택 외. (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지윤숙. (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통계청. (2013). 각 년도별 혼인.이혼통계결과. http://www.nso.go.kr.
- 통계청. (2014). 2013년 혼인.이혼통계. http://kostat. go.kr
- 함필주, & 강기정.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및 취업준비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3), 525-541.
- 현경자.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반한 지원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6(2), 127-157.
- 현경자, & 김정화. (2015). 문화적 도전과 경제적 곤란이 다문화부부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본 상호의존성과 관계패턴. 한국사회복지학, 67(2), 203-236.
- 황정미. (201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연결망과 행위전략의 다양성: 연결망의 유형화와 질적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6(4), 1-38.
- Author, D. (2010). The polarization of job opportunities in the US labor market: implication for employment and earnings. Washington dc: Center for American Press and the Hamilton Project.(http://www.brookings.edu/papers/2010/04jobs author.aspx).
- Capps, R. M., Fix, M., & Lin, S. Y. (20100. Still an hourglass? Immigrant workers in middle-skilled job. Washington DC: Migration Policy Institute. (http://www.migrationpolicy.org/pubs/sectoralstudy-sept2010.pdf).
- Chiswick., B. R., & Miller, P. W. (2003). The complementarity of language and other human capital: Immigrant earnings in Canada.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2(5), 469-480. https://doi.org/10.1016/S0272-7757(03)00037-2
- Foroutan. Y. (2008). Migration differentials in women’ market employment: An empirical multicultural analysi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7(2), 675-703.
- Koopmans, R. (2010). Trade-off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Immigrant integration, multiculturalism and welfare state in cross 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Ethic and Migration Studies, 36(1), 1-26. https://doi.org/10.1080/13691830903250881
- Holser, H. (2010). Immigration policy and less-skilled workers in the US: Reflections on future directions for reform. Washington, DC: Migration Polocy Institute. (http://www.migrationpolicy.org/pubs/Hozler-January2011.pdf).
- Stoloff, J. A., Glanville, J. L., & Bienenstock, E. J. (1999). Woma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The Role of Social Networks.
- Terrazas, A. (2011). The economic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the U.S: Long and short-term perspectives. Washington, DC: Migration Policy Institute.
- Walsh.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