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the Empoyment Voli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의지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 Ryu, Jin-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hinhan University)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3.21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social unification through their employ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6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lived in Kyungi-do. This study analyzed employment desire, barrier and volition differenc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between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effects of their employment desire and barrier to employment volitio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desire of maintenance of livehood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incresed with ag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esire of maintenance of livehood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between their countries of origins. Third, employment volition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increased with level of education.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employment volition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between the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Fifth, employment desire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increased with ability to Korean, but internal barrier of employment decreased by ability to Korean. Sixth, desire of identity from employment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children. Seventh, employment desire influenced employment volition, self efficacy and self esteem to employment.

Keywords

References

  1. 고혜원, & 김상호.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공수연, & 양성은. (2014). 중국국적 결혼이주여성들의 취업준비 경험에 대한 과정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1), 133-15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1.133
  3. 구미라. (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충격과 취업욕구의 관계분석.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아. (2012). 이주여성의 경제활동의지 결정요인분석: 이주여성의 정책인지수준과 지역사회다문화태도인식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6(1), 381-409.
  5. 김명성. (2009). 사회통합적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실천, 8, 5-29.
  6. 김병숙 외. (2008). 결혼이민여성 취업 직종 및 교재 개발. 서울: 한국직업상담협회.
  7. 김병숙, 안윤정, & 송혜령. (2010). 결혼이주여성의 직업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235-258.
  8. 김오남. (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3-76.
  9. 김옥련. (2014).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 스트레스와 이혼위기에 관한 연구: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이선, 마경희, 선보영, 최호림, & 이소영. (2010). 다문화가족의 해체 문제와 정책과제. 여성가족부.
  11. 김승의. (2007). 자활사업참여자의 자활욕구 및 취업.창업관련 활동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효순. (2013). 사회적 일자리사업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사업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3(1), 327-355.
  13. 류이현. (2011). 수요자 중심 시각에서 결혼이주여성 지원정책 분석: 한국어 교육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능후, & 선남이. (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민족연구, 41, 120-144.
  15. 박미은, 신희정, & 이미림. (2012). 결혼이주여성의 취업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3(4), 213-244.
  16. 박영자. (2008). 협력: 다문화 이슈: 새터민,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국민인가? 이주민인가?. 동아시아 브리프, 3(2), 126-139.
  17. 박재규. (2013). 농촌과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결정요인 및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5(1), 5-33.
  18.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방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19. 보건복지부, 법무부, 여성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0. 배경희, & 김석준.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학, 64(3), 5-27.
  21. 배경희, & 서인숙.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3(4), 183-202.
  22. 배상식, & 서미욱. (2013). 경북지역 다문화가정의 학령기 자녀교육 실태: 자녀교육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중심으로. 초등도덕교육, 43, 195-224.
  23. 설동훈, & 윤홍식. (2008).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회. 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출신국가와 거주 지역에 따른 상이성을 중심으로. 사회보장연구, 24(5), 109-133.
  24. 설동훈, & 이계승. (2011).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경혼만족도와 이혼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지역사회학, 13(1), 117-147.
  25. 손은령. (2002).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5(2), 73-86.
  26. 심인성. (2010). 결혼이민자의 취업 및 직업훈련 실태와 정책과제. 포건복지포럼 (2017. 7), 36-45.
  27. 양순미, 최규홍, & 강경하. (2009).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사회참여활동 실태 및 이에 따른 생활만족도 변화: 농업.지역사회.취업활동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6(4), 713-742.
  28. 양인숙, & 김선혜. (2011).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연구, 34(1), 237-266.
  29. 여성가족부, & 관계부처합동. (2012). 제2차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2013년도 시행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30. 이명희, 김정현, 송진숙, & 문희강. (2012). 대전지역 중학생의 다문화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4(2), 17-28.
  31. 이헌경. (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은희, & 이은미. (2012). 결혼이민자 여성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66-72. https://doi.org/10.5762/KAIS.2012.13.1.66
  33. 이형화. (2013).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생활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18(120, 149-157.
  34. 임석회. (2009).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4), 364-387.
  35. 임선희. (2010). 결혼이주여성의 경제적 자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서영 외. (2009).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37. 장은경, & 류진아. (2015).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2(2), 117-133.
  38. 전기택 외. (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9. 지윤숙. (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효과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취업지원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통계청. (2013). 각 년도별 혼인.이혼통계결과. http://www.nso.go.kr.
  41. 통계청. (2014). 2013년 혼인.이혼통계. http://kostat. go.kr
  42. 함필주, & 강기정. (2015).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및 취업준비도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0(3), 525-541.
  43. 현경자. (2014).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반한 지원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6(2), 127-157.
  44. 현경자, & 김정화. (2015). 문화적 도전과 경제적 곤란이 다문화부부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본 상호의존성과 관계패턴. 한국사회복지학, 67(2), 203-236.
  45. 황정미. (201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연결망과 행위전략의 다양성: 연결망의 유형화와 질적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6(4), 1-38.
  46. Author, D. (2010). The polarization of job opportunities in the US labor market: implication for employment and earnings. Washington dc: Center for American Press and the Hamilton Project.(http://www.brookings.edu/papers/2010/04jobs author.aspx).
  47. Capps, R. M., Fix, M., & Lin, S. Y. (20100. Still an hourglass? Immigrant workers in middle-skilled job. Washington DC: Migration Policy Institute. (http://www.migrationpolicy.org/pubs/sectoralstudy-sept2010.pdf).
  48. Chiswick., B. R., & Miller, P. W. (2003). The complementarity of language and other human capital: Immigrant earnings in Canada.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2(5), 469-480. https://doi.org/10.1016/S0272-7757(03)00037-2
  49. Foroutan. Y. (2008). Migration differentials in women’ market employment: An empirical multicultural analysi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7(2), 675-703.
  50. Koopmans, R. (2010). Trade-off between equality and difference: Immigrant integration, multiculturalism and welfare state in cross 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Ethic and Migration Studies, 36(1), 1-26. https://doi.org/10.1080/13691830903250881
  51. Holser, H. (2010). Immigration policy and less-skilled workers in the US: Reflections on future directions for reform. Washington, DC: Migration Polocy Institute. (http://www.migrationpolicy.org/pubs/Hozler-January2011.pdf).
  52. Stoloff, J. A., Glanville, J. L., & Bienenstock, E. J. (1999). Woman;s Participation in the labor force: The Role of Social Networks.
  53. Terrazas, A. (2011). The economic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the U.S: Long and short-term perspectives. Washington, DC: Migration Policy Institute.
  54. Walsh. (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ew York: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