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Geograph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ern China: Its Migration and Spatial Diffusion

  • 최재헌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김숙진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Choi, Jae-Heon (Geography Department,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 Kim, Sook-jin (Geography Department, College of Science, Konkuk University)
  • 투고 : 2016.02.25
  • 발행 : 2016.02.29

초록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의 이주과정을 시기별로 해석하고 각 시기에 따른 이주공간의 변화를 조선족 인구분포의 변화를 통해 밝히려고 하였다. 중국 조선족의 이주는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났으며, 1910년까지의 난민 월경기, 1930년까지의 정치 이주기, 1945년까지의 강제 이주기, 그리고 해방이후 최근까지의 경제 이주기로 나누어 그 특징을 고찰할 수 있다. 1910년대와 1930년대, 2000년대의 변화과정을 고찰하면 중국 조선족의 이주는 벼농사의 재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초기에는 국경 인근에 벼농사가 유리한 지역으로 우선 이주가 시작되어 그 주변으로 조선족 취락이 확대되는 접촉확산으로, 1930년대 강제이주에 따라 철도를 따라 집단촌이 건설되고 2000년 이후 연해도시를 중심으로 집적지가 확대되는 계층확산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 조선족의 디아스포라 공간은 초기에 형성된 인구밀집지에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최근 농촌공동체에서 도시공동체로 변화하고 동북3성 위주의 단일지역 분포 패턴에서 연해 대도시와 해외이주가 포함된 다지역 분포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igration process of Korean population in Northeastern China since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s in different time periods which reflect changes and diffusions of diaspora space. Korean migration into Northeastern China seemed to begin from the late 19th century, and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periods including cross-border refugee period (19th to 1910), political exile period(1911-1931), forced migration period(1932-1945), and economic-driven migration period(after 1946). The Korean migration into Northeastern China was closely related to paddy field rice farming by Korean migrants,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process of contagious diffusion starting from border area between Korea and China at the early stage. And then, process of hierarchical diffusion occurred along with urban centers on the railways from the 1930s. At the later stage, Korean migration has extended to coastal urban centers, other big cities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Korea since the 2000s. Recently, ethnic Korean communities in China have experienced changes from rural village based community to urban district based community as well as from single-nuclei ethnic structure around Northeastern China toward multi-nuclei ethnic structure extending to coastal urban areas in China.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위원, 2005, 흑룡강성의 조선족, 고함 커뮤니케이션.
  2. 강위원.김시덕.안화춘, 2005,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 생활문화의 지속과 변동: 의례와 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 12, 206-217.
  3. 권태환, 2005, 중국 조선족사회의 변화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총서 23, 서울대학교출판부.
  4. 권태환.박광성, 2004,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7(2), 61-89.
  5. 기광서, 2002, "구소련 한인사회의 역사적 변천과 현실," 2002 재외한인학회 연례학술대회 논문집.
  6. 김강일.허명철, 2001,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우세와 발전전략, 연변인민출판사.
  7. 김경일.윤휘탁.이동진.임성모, 2004, 동아시아의 민족 이산과 도시: 20세기 전반 만주의 조선인, 역사비평서.
  8. 김두섭.유정균, 2013, "연변 조선족인구의 최근 변화: 1990년, 2000년 및 2010년 중국 인구센서스 자료의 분석," 중소연구, 36(4), 121-149.
  9. 김병호, 1991, "중국 조선족인구와 분포 문제에 대한 연구," 동아연구, 22, 131-163.
  10. 김병호, 1992, "중국 조선족의 인구발전과 분포변화의 추세," 동아연구, 25, 239-253.
  11. 김병호, 1993, 중국 조선족인구간론, 중앙민족대학출판사, 연변.
  12. 김병호, 1997, 중국의 민족문제와 조선족, 학고방.
  13. 김선호, 1999, "20세기 초 조선족의 중국 내몽골지역 이주과정 연구," 백산학보, 66, 119-137.
  14. 김수인.김승제.김종영, 1997, "중국 조선족의 지역분포 및 농촌마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술발표논문집, 17(2), 553-556.
  15. 김영, 2009, "중국 요녕성이 벼농사와 조선인 이민사회: 1875-1931," 한국학연구, 21, 71-98.
  16. 김왕배.이수철, 2008, "1930년대 만주의 조선족 마을 공동체," 동방학지, 144, 33-73.
  17. 김일학.박용환, 2009, "조선족 농촌주거 공간구성형태의 지역적 특징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5(4), 75-87.
  18. 김재기, 2003,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집거구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사논총, 28, 53-76.
  19. 김재기, 2005, "중국 조선족 농촌 집거구 해체위기와 집중촌 건설," 통일문제연구, 44, 115.
  20. 김진국, 1993, "중국에서의 조선족 역사 연구," 조선대 동북아연구, 96(1), 125-141.
  21. 김춘선, 2012, "청조시기 한인이 만주이주와 정착(1)," 한중미래연구, 2, 21-53.
  22. 김현미, 2008, "중국 조선족의 영국 이주 경험: 한인타운 거주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41(2), 39-77.
  23. 김호웅, 2010, "중국 조선족과 디아스포라," 한중인문학연구, 29, 1-20.
  24. 김홍배, 2014, "초국가 시대 해외조선족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평화학연구, 15(1), 29-47.
  25. 류승렬, 2007, "연변 지역 강원도 출신자의 일제강점기 이주사 연구," 한국사연구, 138, 217-253.
  26. 류충걸.김석주.김화, 2009, 흑룡강성 조선족 인구와 경제, 연변인민출판사.
  27. 리화, 2012, "국경을 초월하여 공생하는 조선족가족: 한국이주노동으로 인한 분산거주경험을 중심으로," 중앙사론, 36, 497-534.
  28. 리흥국.김호남.장희망, 2010, 중국 조선족문화 및 그 특색에 관한 연구, 연변인민출판사.
  29. 마곤, 1995, "어제날 길림지구 조선족개황," 김택 주필, 길림조선족, 연변인민출판사.
  30. 박경숙, 2009, "식민지 시기(1910-1945) 조선의 인구동태와 구조," 한국인구학, 32(2), 29-58.
  31. 박광성, 2006, 세계화시대 중국 조선족의 노동력이동과 사회변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박광성, 2010, "초국적인 인구이동과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네트워크," 해외한인연구, 21, 357-374.
  33. 박진환, 1995, "중국 흑룡강성의 벼농사와 조선족," 농업경제연구, 36, 197-236.
  34. 박진환.김광길, 1999, "흑룡강성 탕왕 조선족향 농촌의 과거와 현재," 북방농업연구, 8, 44-79.
  35. 신주백, 2012, "한인의 만주이주 양상과 동북아시아: 농업이민의 성격 전환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13, 232-261.
  36. 심혜숙, 1992, "조선족의 연변 이주와 그 분포특성에 관한 소고," 문화역사지리, 4, 321-331.
  37. 심혜숙, 1992, "동북 조선족 인구 분포 특성에 관한 역사 지리적 고찰," 한국동굴학회 199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1-2.
  38. 심혜숙, 1992, 중국 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 연변대학 지리학부.
  39. 여필순, 2013, "중국 연변 농촌지역의 조선족인구 감소와 지역성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668-682.
  40. 연수현민족종교사무국, 2005, 연수현 조선족 100년사, 1903-2003, 연변, 민족출판사.
  41. 유필규, 2008, "1930년대 연변지역 한인 집단부락의 설치와 통제적 생활상,"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0, 331-374.
  42. 이규태, 2000, "중국 조선족 사회의 형성과정," 재외한인연구, 10, 177-214.
  43. 이병기, 2006, "연변 조선족 농촌사회의 인구이동 실태와 그 시사점," 농업경영 정책연구, 33(3), 749-776.
  44. 이영민, 2012, "한국인의 교육이주와 트랜스로컬 주체성: 미국 페어팩스 카운티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1), 1-16.
  45. 이영민.이용균.이현욱, 2012, "중국 조선족의 트랜스이주와 로컬리티의 변화 연구: 서울 자양동 중국 음식문화거리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103-116.
  46. 이영민.이은하.이화용, 2013, "중국 조선족의 글로벌 이주 네트워크와 연변지역의 사회-공간적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55-70.
  47. 이장섭, 2011, "중국 동북진흥정책에 따른 흑룡강성 조선족기업네트워크 현황 분석 및 활용방안," 동북아연구, 조선대 동북아연구소, 26(1), 121-148.
  48. 이종수, 2009, "중국 동북지역 조선족사회의 형성," 김도형 저, 식민지시기 재만조선인의 삶과 기억, 연세국학총서, 103, 42-81,
  49. 이진영, 2004, "러시아 연해주 조선족 공동체에 관한 연구," 전남대 학술회의 발표문, 2004.4.30., 619-645.
  50. 이형찬, 1988, "1920-30년대 한국인의 만주 이민연구," 사회와 역사, 12, 209-283.
  51. 이훈구, 1979. 만주와 조선인, 성진문화사.
  52. 장세봉, 2006, "중국 조선족의 현황과 전망;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만주연구, 4, 101-124.
  53. 정안기, 2011, "만주국기 조선인의 만주이민과 선만척식(주)," 동북아역사논총, 36, 41-95.
  54. 조성일, 2013, 황유복교수 이중성부정론과의 대화, http://zoglo.net
  55. 주성화, 2007, 중국 조선인 이주사, 한국학술정보, 249-268.
  56. 한득수, 2009, 상지시 조선민족사, 상지시 조선민족사 편집위원회, 민족출판사.
  57. 현규환, 1972, 한국유민사(상), 흥사단 출판부, 158.
  58. 황유복 편, 2011, 중국 조선족사연구 2009, 북경, 민족출판사.
  59. 황유복, 2008, 연변조선족자치주와 중국 조선족, http://zoglo.net
  60. 흑룡강신문사, 2010, 기사로 읽는 새중국 60년 조선족 변천사: 흑룡강편 하, 민족출판사.
  61. 徐明助, 1985, 朝鮮族遷移東北過程初探, 黑龍江民族週刊, 68-78.
  62. 沈林, 2001, 中國的民族鄕, 北京, 民族出版社, 161-227.
  63. 중국행정구역총람, http://www.xzqh.org
  64. 통계청, 국가통계포탈(KOSIS), http://kosis.kr/2016 (검색일 2016.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