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중국 조선족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6초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Population Movement of Korean Chinese and Its Impacts on Their Communities: A Case Study)

  • 권태환;박광성
    • 한국인구학
    • /
    • 제27권2호
    • /
    • pp.61-89
    • /
    • 2004
  • 1990년 이후 중국 조선족 사회는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여있다. 그 핵심에는 조선족 공동체의 총체적인 재구조화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족 집거지로부터 대규모의 이촌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던 조선족은 전 중국으로 흩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현상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인구이동이 조선족 사회와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영향은 이동의 기원지인 농촌과 다양한 목표지의 현황과 조건, 이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상황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자료는 선택된 마을의 방문과 현지에서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조선족의 대규모, 원거리 이동이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백히 보여준다. 인구유출로 도시 또는 조선족 중심지에서 떨어진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의 해체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선족은 새로운 목표지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집중현상을 보인다. 한마디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사회의 도시화의 경향과 함께, 보다 넓은 지역으로의 공동체의 분산과 공동체내에서의 높은 민족 집중성을 특징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조선족 도시 공동체는 거주지역의 격리보다는 민족성을 기초로 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중국조선족기업가들의 경영성과와 조선족거주지역공동체 관한 실증 연구

  • 문철주
    • 중국학논총
    • /
    • 제66호
    • /
    • pp.189-209
    • /
    • 2020
  • 本研究是通过实证分析论证中国朝鲜族企业成长发展是通过与韩国建立社会网络关系获得了企业的竞争力, 同时企业社会资本成就是为企业家所居住城市朝鲜族社会共同体提供了社会基础资本。得出论证结果:第一, 中国朝鲜族企业家具有中国人的国民性同时又具有朝鲜族的民族性。为了进入中国上曾主流社会他们更体现出中国国民性。第二, 他们积极参与居住区域的本民族社会活动以及与本民族成员之间相互交流是为了企业的利益。第三, 他们所获得的成就为企业家所居住城市朝鲜族社会共同体提供了社会基础资本。通过以上研究结果可以为抽象的离散韩国民族概念用超国境的社会网络民族共同体实证分析提供了具体说明。

중국 흑룡강성 조선족의 혼예복에 관한 연구

  • 장순애;김진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1-123
    • /
    • 2003
  • 현재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 이주민으로서 가장 큰 집단은 중국에 살고 있는 조선족인데 약 200만에 이르고 있는 이들은 19세기말부터 이주하기 시작하여 자치주를 형성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흑룡강성의 조선족들은 그 인구가 46만 여명으로 늘어났으며 “대산재, 소집병”의 형식으로 그 사회구조를 이루고 있다. (중략)

  • PDF

중국 조선족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작품 경향 (A Study on the Historical Changes and Trends in the Dance of Ethnic Koreans in China)

  • 조영;윤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623-634
    • /
    • 2022
  • 중국 조선족 무용은 원형 그대로 전해 내려왔으며, 간혹 인명 또는 지명들이 바뀌면서 일부 무용들이 약간의 변화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한민족의 뿌리에 바탕을 두고 발전시킨 창작무용이다. 따라서 그 유산에는 한민족의 고유한 심리와 정서, 예술적 기호, 창조적 재능이 배어있으면서도 조선족만의 역사와 생활이 반영되어 있는 독특한 형태의 무용예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족 무용의 역사적 변천과 시대별 대표작품들을 통해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알아보았으며, 한민족의 뿌리를 지니고 있는 조선족무용의 특성을 알아보면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체성 확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들을 바탕으로 조선족 무용의 개념 및 형성과정을 파악하여 조선족 무용사를 4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대표작품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조선족 무용은 단순한 춤이 아닌 중국 조선족 무용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고 지키는 것이 현시대에 가장 큰 과업이 아닐까 사료된다.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 - 중국 연변 조선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 A Study of Chinese-Korean Adolescents in Yanbian, China)

  • 박수영;김순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67-9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 중국 연변 조선족 청소년들의 진로정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국 연변 조선족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으로 학업성적과 자아존중감을 살펴보았으며, 환경요인으로 부모애착과 교사애착을 고려하였다. 연구문제는 "중국 연변 조선족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은 무엇인가?"이고 이를 위해 중국 연변지역 중, 고등학생 290명의 자료를 SPSS 24.0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족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은 자아존중감, 환경요인으로는 교사애착이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요인과 환경요인 모두를 고려할 때 조선족 중학생의 진로정체감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요인인 교사애착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중국 연변 청소년의 진로정체성과 관련된 이론적 함의와 이들의 진로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동북 조선족 인구 분포 특성에 관한 역사 지리적 고찰

  • 심혜숙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2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0-41
    • /
    • 1992
  • 본문은 동북 3성의 지리, 역사, 연구 상황을 개술하고 착중하여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시기를 4개기로 나누어 그 분포 특징을 밝혔다. 4개의 시기는 (1) 함풍-동치년 시기 (2) 광서년 시기 (3) 선통-민국년 (4) 위만 시기이다. 매시기마다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역사 지리적 배경을 천명했고 당시 조선족의 이주 노선과 분포특징을 귀납하였다. (1) 조선족이 동북에 이주하여 온 노선은 모두 20개 노선이 있었다. 그중 이주 수량이 많은 노선으로는 종성-개산툰-용정 노선, 남양-도문 노선, 만포-집안 노선이다. (2) 압록강 유역의 중간진에서 중국 림강에 들어온 이주민이 가장 일찍 했다면 두만강 유역은 10-20년 더 높다. (3) 동북 3성 조선족 인구밀도는 두만강과 압록강에 가까울수록 크고, 멀수록 작다. (4) 압록강, 두만강 유역에는 평안도와 함경도의 이주민이 많고, 두 유역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조선 남부의 이주민이 많다. (5) 동복 3성 조선족은 산지보다 평원에 많이 분포되었는데 동북의 수전개발에 커다란 공헌이 있다. (6) 중국 조선족에 97.1%가 동북에 집중되나, 그중에서도 길림성에 1,811,946명으로서 전국 조선족 총수의 65.8%를 차지하고, 흑룡강성에 452,398명으로서 25.2%를 차지하며, 요넝성은 230,378명으로서 9.0%를 차지하고 있다.(1990년 통계) (7) 도시에 있는 조선족은 모두가 잡거하고 농촌에서는 잡거구도 있지만 대부분은 순 조선족 부락을 이루었다.

  • PDF

중국 조선족 디아스포라의 지리적 해석: 중국 동북3성 조선족 이주를 중심으로 (Geographical Interpretation of Korean Diaspora in Northeastern China: Its Migration and Spatial Diffusion)

  • 최재헌;김숙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67-184
    • /
    • 2016
  • 본 논문은 중국 조선족의 이주과정을 시기별로 해석하고 각 시기에 따른 이주공간의 변화를 조선족 인구분포의 변화를 통해 밝히려고 하였다. 중국 조선족의 이주는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났으며, 1910년까지의 난민 월경기, 1930년까지의 정치 이주기, 1945년까지의 강제 이주기, 그리고 해방이후 최근까지의 경제 이주기로 나누어 그 특징을 고찰할 수 있다. 1910년대와 1930년대, 2000년대의 변화과정을 고찰하면 중국 조선족의 이주는 벼농사의 재배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초기에는 국경 인근에 벼농사가 유리한 지역으로 우선 이주가 시작되어 그 주변으로 조선족 취락이 확대되는 접촉확산으로, 1930년대 강제이주에 따라 철도를 따라 집단촌이 건설되고 2000년 이후 연해도시를 중심으로 집적지가 확대되는 계층확산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중국 조선족의 디아스포라 공간은 초기에 형성된 인구밀집지에서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최근 농촌공동체에서 도시공동체로 변화하고 동북3성 위주의 단일지역 분포 패턴에서 연해 대도시와 해외이주가 포함된 다지역 분포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 PDF

중국 조선족의 저출산력 - 한족과의 비교 (Low Fertility of Koreans in China: A Comparison to Hans)

  • 김두섭
    • 한국인구학
    • /
    • 제19권1호
    • /
    • pp.45-72
    • /
    • 1996
  • 이 논문은 중국내 조선족의 출산력 수준을 한족과 비교하고, 이에 관련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족이 19세기 중엽부터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이주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기술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조선족인구의 성장과정과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족의 출산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1990년 중국인구센서스의 자료 중에서 길림성과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내 조선족인구는 다른 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화된 연령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뚜렷하게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출산력 수준은 한족이나 다른 소수민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조선족이 밀집되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조선족의 저출산력은 개인이나 가구의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배제하더라도 그대로 유의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난 1980년대 후반 이래 중국에서 남아선호관으로 인하여 출생시의 성비가 높아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경우에는 출생시의 성비불균형현상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족이나 다른 민족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조선족의 자녀사망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 PDF

1990년대 중국조선족 시문학 비평의 쟁점들 - 『문학과 예술』, 『장백산』을 중심으로 (The Issue of the Korean-Chinese Poetic Criticism in 1990's - Focusing on the Magazine Literature and Art(Munhakwayesul), Zhangbaikshan)

  • 장은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159-183
    • /
    • 2015
  • 본 논의는 변화와 개혁의 시기였던 1990년대 중국조선족 문학의 쟁점들을 시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의 사회적 변화는 조선족문학이 기존의 문예 이론이나 문학적 경향에서 탈피하여 새로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존립의 방향과 정체성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문학과 예술", "장백산"에 실린 비평들을 통해 이 시기 조선족문학의 상황과 시대적 문제의식 그리고 그들이 추구한 방향성은 무엇이었는지에 주목해보았다. 사회 문화적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조선족 비평가들은 비평의 위기와 극복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적 창작 방법을 추구했던 기존의 작품들과 달리 변화하는 현실과 그것을 반영한 작품들을 보면서 평단은 비평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지식과 이론의 수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런 움직임은 사회주의 문예이론을 완전히 탈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비평의 질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이론의 섭수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비평 이론에 대한 갈망과 요구는 시문학 비평에서 현대성에 관한 논의로 이어졌다. 비평가들은 문예지를 통해 서구의 문예이론을 소개하는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탈이데올로기적 추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조선족문학이 추구해야 하는 현대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방향을 모색했다. 조선족문학의 현대성 논의는 조선족의 문화적 전통 및 특수성을 보여줄 수 있는 문화정체성 형상화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졌다. 한편 조선족 비평은 민족문화와 민족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세계 문학과의 교류와 소통을 제기하기도 했다. 비평가들은 세계 문학과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조선족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남영전의 토템시는 그러한 노력의 성공적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조선족 비평은 조선족문학만이 아니라 조선족 사회의 위기 앞에서 균열과 해체의 시대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이런 조선족 비평의 움직임은 중국이나 북한, 한국과 차별화되는 한글문학의 한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가구구성의 유형에 따른 차별출산력 : 중국 연변자치주의 조선족과 한족의 비교분석

  • 권혁인
    • 한국인구학
    • /
    • 제23권1호
    • /
    • pp.31-53
    • /
    • 2000
  • 이 논문은 중궁의 가족적 특성과 츨상력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사회 문화적 특성을 근간으로 하는 가구유형을 분류, 이들간의 출산수준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990년에 실시된 제 4 차 중국인구센서스 자료 중에서 조선족이 밀집하여 거주하고 있는 길림성내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50%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자료를 가구구성특성에 따라 네가지 유형으로 재구성하였다. 가족경제의 생산단위와 세대구성을 기준으로 고립형, 병렬형, 직계형, 전통형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의 네가지 가구유형을 분류하여 각각의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출산력을 한족과 조선족을 중심으로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농가와 비농가의 가구형태 또는 세대구성의 성격아 출산수준과 갖는 상관관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중국의 사회 경제적요인과 결부하여 전통적으로 유지되던 가족관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민족별 출산수준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 가부장적 가족주의를 해체하고 집단적 공동생산 체제를 대체시키려는 중국의 사회주의 정책이 현실적으로는 가족중심의 생산체제와 전통적 가족주의를 변화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가구유형에 따른 출산수준의 편차는 두 민족간에 차이를 보여 주었다. 한족이 여성의 직업이나 교육수준에 따라 가구유형별 출산수준의 편차가 크게 변화되는 것과는 달리 조선족은 비교적 전통적인 세대관 이 강조되는 다가구 유형에서 높은 출산수준을 나타내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는 중국의 인구정책과 경제개방 시행과정에서 약소민족인 조선족의 저출산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가구 유형별 출산수준에 대한 영향력이 한족에 비해 적었던 것으로 지적할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