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Changma-Period Precipitation Since mid-Joseon Dynasty in Seoul, Korea

조선 중기 이후 서울의 장마철 강수 평균과 극한강수현상의 변화

  • Received : 2016.02.26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In this study, long-term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precipitation during summer rainy period called Changma (late June~early September) are examined based on rainfall data observed by Chukwooki during Joseon Dynasty (1777~1907) and by modern rain-gauge onward (1908~2015) in Seoul, Korea. Also, characterizations of the relevant changes in synoptic climate fields in East Asia are made by the examination of the NCEP-NCAR reanalysis I data. Analyses of 239-year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data demonstrate that the total precipitation as well as their inter-annual variability during the entire Changma period (late June~early September) has increased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onward. Notably, since the early 1990s the means and extreme events during the summer Changma period (late June~mid-July) and Changma break period (late July~early Augus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ing in less clear demarcations of sub-Changma periods. In this regard, comparisons of synoptic climate fields before and after the early 1990s reveal that in recent decades the subtropical high pressure has expanded in the warmer Pacific as the advection of high-latitude air masses toward East Asia was enhanced due to more active northerly wind vector around the high pressure departure core over Mongolia.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enhancement of rising motions due to more active confluence of the two different air masses along the northwestern borders of the Pacific might lead to the increases of the means and extreme events of Changma precipitation in Seoul in recent decades.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측우기(1777~1907년)와 현대적 기상장비(1908~2015년)로 측정한 강우량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서울의 장마철 강수량과 극한강수현상에 나타난 장기간 변화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동아시아 영역의 종관 기후장에 나타난 변화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약 239년 동안의 서울의 강수자료 시계열을 분석한 결과, 20세기 후반으로 올수록 장마철(6월 하순~9월 초순) 강수량이 증가하고, 경년변동성도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특히 1990년대 초반부터는 장마철 중에서도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와 장마 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 극한강수현상 중심의 강수량이 뚜렷하게 증가하면서 장마기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변화가 뚜렷한 1990년 전후의 상층 종관기후장을 비교해 보면, 최근에는 북서태평양 주변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북태평양 아열대 고기압 강도가 강화되어 해양성 기단이 한반도 방향으로 더 확장하고, 유라시아 대륙 내부 몽골 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고기압 편차핵이 형성되면서 고위도로부터 기류가 더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성질의 기류들이 강해지면서 이들 기류들이 만나는 북서태평양 연안 지역에 상승 기류 흐름이 활발해지면서 최근에는 서울의 장마철 강수평균 및 극한강수현상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2014, 기상역사자료집.
  2. 김기욱.유철상.박민규.김현준, 2007, "강우빈도 해석에서의 측우기자료의 유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0(11), 851-859.
  3. 김대하.유철상.김현준, 2007,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 기록에 나타난 주요호우사상의 평가: 2. 정량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0(7), 545-554.
  4. 김연옥, 1983, "한국 고대의 기후환경-삼국사기 기후자료의 분석-지리학의 과제와 접근방법," 석천 이찬 박사 회갑기념논집, 231-273.
  5. 김연옥, 1984a, "고려시대의 기후환경-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논총, 44, 113-121.
  6. 김연옥, 1984b, "한국의 소빙기 기후," 지리학과 지리교육, 14, 1-16.
  7. 김연옥, 1985, 한국의 기후와 문화,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8. 김연옥, 1987, "조선시대의 기후환경: 사료분석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14, 411-423.
  9. 김연옥, 1992, "중세 온난기의 기후사적 연구," 문화역사지리, 4, 285-304.
  10. 문자연.박창용.최영은, 2011, "레짐이동에 따른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의 특성변화와 그 원인," 대한지리학회지, 46(3), 277-290.
  11. 박민규.유철상.김현준, 2010,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30(2B), 137-147.
  12. 박정규.황재돈.전영신, 2001,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강수현상," 한국기상학회지, 37(4), 433-441.
  13. 박창용.이혜은, 2007, "삼국시대의 가뭄 및 호우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 2(2), 94-104.
  14. 부경온.권원태.김상원.이현정, 2006, "19세기 공주감영 측우기 강우량 18년 복원," 대기, 16(4) 343-350.
  15. 연제문.변성호.이정규.김태웅, 2007, "이차원 가뭄빈도 해석을 통한 서울지역의 가뭄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0(4), 335-343.
  16. 와다유지(和田雄治), 1917,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 조선총독부 관측소(朝鮮總督府 觀測所).
  17. 유철상, 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장기 건조기의 재현 가능성에 관한 고찰,"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3(5), 519-526.
  18. 유철상.김대하.김현준, 2007, "조선왕조실록 및 측우기 기록에 나타난 주요호우사상의 평가: 1. 정성적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0(7), 533-543.
  19. 유철상.김보윤.노재경, 2000, "서울지점 연강수량 자료에 나타난 다우해 및 과우해의 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3(3), 307-314.
  20. 유철상.류소라, 2003, "서울지점 가뭄의 재현 및 지속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4), 561-573. https://doi.org/10.3741/JKWRA.2003.36.4.561
  21. 윤순옥.황상일, 2009, "삼국사기를 통해본 한국 고대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대한지리학회지, 44(4), 497-509.
  22. 윤순옥.황상일, 2010, "고려사를 통해본 한국 중세의 자연재해와 가뭄주기," 한국지형학회지, 17(4), 85-98.
  23. 이병설, 1970, "서울의 연강수량 및 하기강수량의 Normality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5, 11-14.
  24. 이병설, 1983, "장마계의 종관적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19(1), 1-11.
  25. 임규호.심태현, 2002, "조선왕조실록의 기상현상기록빈도에 근거한 기후," 한국기상학회지, 37(4), 343-354.
  26. 임규호.최은호.구교상.원명수, 2012, "서울의 강우와 강설일수 자료에 나타난 17세기 말엽의 건조기," 대기지, 22(3), 381-386.
  27. 전종갑.문병권, 1997, "측우기 강우량 자료의 복원과 분석," 한국기상학회지, 33(4), 691-707.
  28. 정창희, 1969, "서울 지방 7월 강수량의 Periodogram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5(1), 11-14.
  29. 정현숙.임규호, 1994, "서울지역 월강수량과 강수일수: 1770-1907," 한국기상학회지, 30(4), 487-505.
  30. 정현숙.임규호.오재호, 1999, "서울 지역 강수량의 시계열에 나타난 시간 변동성 해석," 한국기상학회지, 35(3), 354-371.
  31. 정현숙.박정수.임규호.오재호, 2000, "측우기 자료를 포함한 서울 강수량 시계열에 대한 추세분석 및 파엽분석," 응용통계연구, 13(2), 525-540.
  32. 조신섭.이정형.김병수, 1996,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측우기 자료의 분석," 응용통계연구, 9(2), 25-43.
  33. 조하만.김상원.전영신.박혜영.강우정, 2015, "조선시대 측우기 등장과 관측망에 대한 역사적 고찰," 대기, 25(4), 719-734. https://doi.org/10.14191/Atmos.2015.25.4.719
  34. 조희구.나일성, 1979, "18세기 한국의 기후변동: 강우량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22, 83-103.
  35. 최광용, 2015, "우리나라 사계절 다중일 누적 극한강수 현상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1), 98-113.
  36. 최지영.박민규, 2013, "정성적 분석을 이용한 실록호우사상의 평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3(5), 211-217.
  37. 황석환.김중훈.유철상.유도근, 2009a, "강우자료의 정량적 동질성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9(4), 29-35.
  38.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유도근, 2009b, "Bootstrap기법을 이용한 서울지점 강우자료의 통계적 동질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2(10), 795-807.
  39.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정건희, 2009c, "서울지점 강우자료와 기후지표 자료에 나타난 동아시아 기후의 종관적 변화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5B), 409-417.
  40.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주진걸, 2009d, "마코프 연쇄를 이용한 서울지점 일강우의 발생특성변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2(9), 747-758.
  41.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 2010, "BH 베이지안 분석을 통한 서울지점 강우자료의 확률적 변화시점 추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43(7), 645-655.
  42. Arakawa, H., 1956, On the secular variation of annual total of rainfall at Seoul from 1770 to 1944, Archives for Meteorology, Geophysics, and Bioclimatology, 7(2), 205-211. https://doi.org/10.1007/BF02243323
  43. Byun, H.R., Lee, S.J., Morid, S., Choi, K.S., Lee, S.M., and Kim, D.W., 2008, Study on the periodicities of droughts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4(4), 417-441.
  44. Choi, G., Kwon, W.T., Boo, K.O., and Cha Y.M.,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5), 681-700.
  45. Frauenfeld, O.W. and Davis, R.E., 2003, Northern Hemisphere circumpolar vortex trends and climate change implic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D14), 4423, doi:10.1029/2002JD002958.
  46. Ha, K.J. and Ha, E., 2006, Climate change and interannual fluctuations in the long-term record of monthly precipitation for Seoul,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6, 607-618. https://doi.org/10.1002/joc.1272
  47. Jung, H.S., Lim, G.H., and Oh, J.H., 2001, Interpretation of the transient variations in the time series of precipitation amounts in Seoul, Korea. Part I: Diurnal variation, Journal of Climate, 14, 2829-3004.
  48. Kalnay, E., Kanamitsu, M., Kistler, R., Collins, W., Deaven, D., Gandin, L., Iredell, M., Saha, S., White, G., Woollen, J., Zhu, Y., Leetmaa, A., Reynolds, R., Chelliah, M., Ebisuzaki, W., Higgins, W., Janowiak, J., Mo, K.C., Ropelewski, C., Wang, J., Jenne, R., and Joseph, D., 1996, The NCEP/NCAR 40-year reanalysis project,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3), 437-471. https://doi.org/10.1175/1520-0477(1996)077<0437:TNYRP>2.0.CO;2
  49. Kim, C.J., Qian, W., Kang, H.S., and Lee, D.K., 2010, Interdecadal variability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precipitation over 220 years (1777-1997),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7(2), 253-264. https://doi.org/10.1007/s00376-009-8079-6
  50. Kim, D.W., Byun, H.R., and Choi, K.S., 2009, Evaluation,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drought index to 200-year drought climatology of Seoul, Korea, Journal of Hydrology, 378(1), 1-12. https://doi.org/10.1016/j.jhydrol.2009.08.021
  51. Kim, D.W., Byun, H.R., Choi, K.S., and Oh, S.B., 2011, Spatiotemporal analysis of historical droughts in Ko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0(9), 1895-1912. https://doi.org/10.1175/2011JAMC2664.1
  52. Kim, H.J., 2000, Flood records in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3(S1), 365-370.
  53. Kim, J.W. and Ha, K.J., 1987, Climatic changes and interannual f luctuations in the monthly amounts of precipitation at Seoul,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3(3), 54-69.
  54. Kim, K., Yoo, C., Park, M., and Kim, H.J., 2007, Evaluation for usefulness of Chukwookee data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11), 851-859. https://doi.org/10.3741/JKWRA.2007.40.11.851
  55. Lim, G.H., 1992, Statistical nature of the dry and wet periods defined in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 (1771-1990) of Seoul,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5, 123-137.
  56. Lim, G.H. and Jung, H.S., 1992,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at Seoul, 1771-1990,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8, 125-132.
  57. Strangeways, I., 2010, A history of rain gauges, Weather, 65(5), 133-138. https://doi.org/10.1002/wea.548
  58. Wada, Y., 1911a, Korean meteorological-old and new, Nature, 85, 341-342. https://doi.org/10.1038/085341a0
  59. Wada, Y., 1911b, Korean rain-gauge of the fifteenth century, Quaternar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37, 83-36.
  60. Wang, B., Ding, Q., and Jhun, J.G., 2006, Trends in Seoul (1778-2004) summer precipit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15803, doi:10.1029/2006GL026418.
  61. Wang, B., Jhun, J.G., and Moon, B.K., 2007, Variability and singularity of Seoul, South Korea, rainy season (1778-2004), Journal of Climate, 20, 2572-2580. https://doi.org/10.1175/JCLI4123.1
  62. Yoo, C., 2006, Long term analysis of wet and dry years in Seoul, Korea, Journal of Hydrology, 318, 24-3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6.002
  63. You, C., Park, M., Kim, H.J., Choi, J., Sin, J., and Jun, C., 2015,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documentary-recorded storm events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1392-1910), Korea, Journal of Hydrology, 520, 387-396. https://doi.org/10.1016/j.jhydrol.2014.1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