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우기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the 'Chukwookee' data using time series model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측우기 자료의 분석)

  • 조신섭;이정형;김병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9 no.2
    • /
    • pp.25-43
    • /
    • 1996
  • One of the main issues related to the precipitation amounts measured by the Korean raingage, Chukwookee, invented by King Sejong is the discontinuity in the time series around 1907 when the modern raingage was first used in Korea. To solve this discontinuity problem Wada(1971) reproduced the Chukwookee data but many authors questioned the validity of Wada's metho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precipitation amounts in Seoul from 1771 to 1994 using the intervention model and show that Wada's method results in the overestimation of the precipitation amounts. We also propose a reproduction method by considering monthly constant and including the rainfall of less then 2 mm and the snowfall which were ignored previously.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우리 측우기 소개한 기상학자 '화전웅치(1859~1918)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6 s.337
    • /
    • pp.83-85
    • /
    • 1997
  • 일본의 기상학자 화전웅치는 1910년, 세종 24년 세계 최초로 제작된 우리나라 대표적 발명품인 측우기를 불어로 쓴 논문을 통해 세계에 소개했다. 화전은 프랑스에서 기상학을 공부하고 돌아와 일제가 우리나라에 세운 제물포관측소 소장으로 근무하면서 측우기는 물론 경주 첨성대도 현장 답사하여 세계에 소개한 주인공이다.

  • PDF

Study for Construction of Annual Maximum Storm Event Series from Chukwooki Rainfall Records (측우기자료의 연최대 호우사상 구축에 관한 연구)

  • Yoo, Chul-Sang;Park, Mi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74-278
    • /
    • 2008
  • 현대 강우관측 자료를 빈도분석할 때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관측기간이 짧기 때문에 고빈도 확률강우량 추정이나 장기간의 경향성 예측시 신뢰성 부족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대 강우자료의 문제점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측우기 관측기록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의 결정을 위해서는 연최대치 계열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측우기 강우자료는 강우시작시점과 종료시점 그리고 그 사이의 강우량으로 구성된 펄스 형태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빈도해석을 하려면 전통적인 빈도해석 방법과는 다르게 독립호우사상을 적절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립호우사상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무강우지속기간 10시간을 기준으로 측우기 관측기록과 현대 관측기록으로부터 이를 추출한 후 총강우량과 강우강도 두 가지를 대상으로 이변량 지수분포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각 호우사상의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연도별로 최대 재현기간을 가지는 호우사상을 연최대 호우사상으로 결정하였다. 이변량 지수분포의 매개변수 산정시 전기간에 대해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보다 연도별로 매개변수를 산정하는 경우가 강우발생의 변동양상 및 수문학적인 극한호우의 정의를 반영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고 또한 그로 인해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이 이변량 극치분포를 보다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매개변수 추정결과를 우기해와 건기해로 나누어 살펴보면 우기해에는 강우강도가 재현기간 산정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고, 건기해에는 총강우량과 관련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최대 호우사상의 변동성을 살펴보면 현대자료에서 강우지속기간은 점점 증가하고 강우강도는 감소하며 이에 따른 호우사상의 총강우량은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측우기 자료에서는 이러한 변화양상이 반복순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빈도해석의 선행작업으로서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의 결정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렇게 얻어진 연최대 호우사상은 현대자료와 어우러져 보다 신뢰성 높은 설계호우사상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Han River runoff using Cheugugi data (측우기 자료를 이용한 한강 유출량 추정)

  • Moon, Jang 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2
    • /
    • pp.1067-1074
    • /
    • 2019
  • In Korea, there are long-term rainfall observation data using Cheugugi, but it is relatively insufficient to use the data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river runoff is estimated based on the measurement data using Cheugugi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cenario for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process. After de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runoff,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observations of Cheugugi to estimate the Han River runoff. An analysis of the estimated river runoff is made to confirm that there is a very severe drought for three consecutive years from 1900 to 1902.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very small runoff in 1901, which is 8.6% compared to the average of estimated runoff. Consequently,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as a scenario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or drought response planning.

Comparison of Chukwooki and Modern data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연최대 호우사상 계열을 이용한 측우기자료 및 현대자료의 비교)

  • Park, Minkyu;Yoo, Chulsang;Kim, Hyeon 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B
    • /
    • pp.137-147
    • /
    • 2010
  • In this study, Chukwooki and modern data were compared using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series. Annual maximum series for specified rainfall duration in modern frequency analysis can not be constructed from Chukwooki data, so the concept of independent rainfall event is introduced to compare Chukwooki and modern data.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 is determined by applying the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and the parameters estimated annually are selected. The results using the annual parameter show that the hydrological meaning of the parameters is related to the variation of annual total rainfall amounts. For the whole independent rainfall events, the total rainfall and the rainfall intensity of Chukwooki data are greater than those of modern data, and rainfall duration of the two periods is similar. However modern annual maximum rainfall events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rainfall duration is much longer, rainfall intensity is similar and the total rainfall is greater than those of Chukwooki period. The increasing trend of rainfall duration and total rainfall of the modern annual rainfall events may be regarded as the one of components of the long-term cycle.

Probable rainfall variability using the Annals of Chosun Dynasty (조선왕조실록의 호우기록을 이용한 확률강우량의 변동성)

  • Park, Min-Kyu;Yoo, Chul-Sang;Kim, Hyu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31-11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의 호우기록을 이용하여 강우량 기록기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얻어 이를 반영했을 때의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조선왕조실록은 약 500여년에 걸친 조선왕조의 주요한 사건들을 다루고 있으며 큰 피해를 입힌 홍수나 가뭄피해 및 현상을 잘 기록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경우 조선초기부터 강우량의 과학적 측정에 대한 관심으로 측우기를 개발하여 전국적인 우량 관측망을 갖춘 바 있으며 현재는 영조 말년에 해당하는 1777년 이후의 측우기 기록이 남아있다. 따라서 조선왕조실록의 큰 호우사상이 발생하였을 때의 기록을 당시의 대처, 기록방법 등의 검토와 함께 측우기 기록과 비교하여 조선왕조 전체에 걸친 주요호우사상을 판별할 수 있었다. 이때, Stedinger가 제시한 censored data를 이용한 빈도해석 방법을 적용할 경우 조선왕조실록을 검토하여 얻은 주요 호우사상의 개략적인 규모 및 회수를 이용하여 확률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일정기간동안 특정 크기 이상의 호우사상의 크기를 안다면 연속적인 연최대강우량계열이 있는 것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현대 강우빈도해석의 가장 큰 문제는 자료의 관측기간의 부족으로 인해 고빈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조선왕조실록과 측우기 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강우자료를 확보한 효과를 반영할 때 확률강우량은 현재보다 상당히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

Statistical nature of the dry and wet periods defined in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1771-1990) of seoul (서울의 연 강수량)

  • 임규호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5 no.2
    • /
    • pp.123-137
    • /
    • 1992
  • We analyzed a time series composed of the annual precipitations of Seoul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a Korean raingage and a modern raingage. The precipitation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771 to 1907 are followed by the precipitations with a modern raingage for the period of 1908 to 1990. The latter part of the time series of annual precipitations were obtained from a book for annual precipitations of Korea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former from Wada's table 1 for monthly precipitations reproduced from the daily rainfall measurements by a Korean raingage for the period of the Yi Dynasty. In our analysis three different precipitation regimes clearly stand out of the entire period. In order to define objectively the period of each precipitation regime we made a time series of 9 year moving averages from the above time serie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hapes of the moving average time series and by using a threshold value of annual precipitation 1050 mm, we defined three precipitation regimes of wet period 1(WP1), dry period (DP), and wet period 2 (WP2). The WP1 and WP2 show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in out statistical analyses. On the other hand, DP is very different from the two periods in many statistical aspects. The strong similarities of the WP1 and WP2 regimes in the magnitudes of statistical parameters and in the shapes of their power spectrum distribution are supporting very positively the soundness of precipitation amounts measured with a Korean raingage in spite of numerous conceivable errors which might have been introduced into measurements of precipitation due to changes of observation site and environment, the scale of units employed, and urbanization of Seoul, etc. However, the annual precipitation amounts are not enough to examine throughly the characteristic of precipitation variations during the two regimes. It is definitely necessarly to recover the daily amounts of precipitation, based on two or three times measurements of rainfall with a Korean raingage, scattered in various ancient documents such as the official diary of 'Seungjeong-we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