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group guidance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for national security related university entrants' psychological wellbeing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가안보관련학과 신입생을 중심으로-

  • 정주섭 (가천대학교 경찰.안보학과)
  • Received : 2016.08.17
  • Accepted : 2016.09.20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guidance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for national security related university entrant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roup guidance program on the increa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entrants through active and deliberate program based on the positive psychology. To achieve this purpose, thirty nine students (male 19, female 20) among national security related university entrants were selected and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nineteen students (male 10, female 9), and comparative group was twenty students (male 9, female 11).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teams (male and female team), and guided by each leader. The group guidance was participated in total ten-week sessions, fifty mins per week.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guidance program using positive psychology for national security related university entr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effects of subordinate factors (autonomy, controling environment, personal growth, positive relations) in comparison in pre and post test of program had an influence very positive or positive, while one factor (purpose in life) didn't show a positive effect.

본 연구는 대학의 국가안보 관련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활을 시작하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10여 년 동안 심리학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집단지도를 통하여 긍정심리를 증진시키게 되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가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가안보관련 학과의 신입생들 중 남녀 39명 (남 19명, 여 20명)을 선정하고 이 중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19명(남 10명, 여 9명)으로 하였고, 비교집단은 20명 (남 9명, 여 11명)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2개의 소규모 집단 (남학생 집단, 여학생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의 대표자를 선정하고 프로그램을 이끌어 가도록 하였고, 주1회 50분씩 총 10회 차의 집단지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집단지도 프로그램은 국가안보 관련학과 대학 신입생에게 심리적 안녕감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하위변인에 대한 프로그램 전과 후의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4가지 하위요인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매우 유의미하게 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가지 하위요인(삶의 목적)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2015).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3-24.
  2. 권석만.임영선.김기환 공역 (2011). 긍정심리학(정서적 경험 활용하기). 서울: 학지사. 9-18.
  3. 김경순 (2006).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4. 김광수.하요상.김경집.김은향 (2014). 긍정심리증진 프로그램이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5(1), 39-53.
  5. 김나미.김신섭 (2013).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14(2), 1125-1144.
  6. 김정민.박준희.나윤정 (2009).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 69-75.
  7. 김평수.김공.서석윤.김영남 (2012). 경호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 경비학회지, 31, 49-67.
  8. 김태희.김갑숙 (2014).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 반응 특성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0(2), 26.
  9. 노일석 (2014).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교육자료, 45-54.
  10. 박미진 (1999). 정신장애를 가진 대학생 외래 집단치료 프로그램. 한국정신보건 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1-146.
  11. 박병준 (2006). 인간의 초월성-칼 라너의 '말씀의 청자'로서의 초월론적 종교철학적 인간해명. 한국철학회. 철학 88, 143-151.
  12. 박선영 (2005). 대학생들의 자기관리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서울과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12(3), 71-92.
  13. 박영주.오가실.이숙자.오경옥.김정아.김희순.최상순.이성은.정추자.정화연 (2002). 한국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건강행위. 대한간호학회지, 32(6), 792-802.
  14. 서봉연 (1995). 발달이론 역서. W. Crain(1980). Theory of development. 중앙적성출판사.
  15. 서미옥 (2010). 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인과관계. 교육학연구, 48(4), 1-20.
  16. 오세연.송혜진 (2014). 직장 내 따돌림이 민간경비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0, 87-108.
  17. 이옥형 (2006). 청년심리학. 서울: 집문당.
  18. 이은진.김범준.임승환.양재혁 (2010). 2010년 보호 공무원 인권 감수성 향상 훈련 보고서.
  19. 인성교육진흥법. 법률 제13004호, 제정 2015. 1. 20. 시행 2015. 7. 21.
  20. 이자영.최웅용 (2012).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 연구, 13(3), 1481-1482.
  21. 이장호.이동귀 (2014). 상담심리학. 박영story, 223-224. 226.
  22. 전경숙.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15(1), 133-153.
  23. 정 민.이미라.노안영 (2006).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7(4), 1023-1038.
  24. 정주섭 (2013). 국가안보의식과 조직몰입도, 직업만족도가 특수경비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5, 68-73.
  25. 조영갑 (2011). 국가안보학. 서울: 선학사. 37-45.
  26.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1(3), 321-337.
  27. 천숙희 (2012).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속박감 및 정신건강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8(3), 223-235.
  28. 최지영.이은지 (2011). 대학생의 집단상담활동 참여와 상담에 대한 인식변화에 대한 실행연구: 사범대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19(2). 3-30.
  29. 홍계옥.강혜원 (2009). 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전문대학교육연구학회논문집, 10(1). 69-81.
  30. Coreth, Emerich. 전통형이상학의 현대적 이해.형이상학 개요. 김진태 옮김.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0.
  31. Fredrickson, B. L. (2004). Gratitude, like other positive emotions, broadens and builds. In R. A. Emmons & M. E. McCullough(Eds), The psychology of gratitude 145-1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2. Fredrickson, B. L., & Joiner, T. (2002). Positive emotions 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13, 172-175. https://doi.org/10.1111/1467-9280.00431
  33. Fordyce, M. W. (1983). A program to increase happiness: Further studi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0, 483-498. https://doi.org/10.1037/0022-0167.30.4.483
  34. Hanzan C. Shaver,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3), 512-524.
  35. Klinger, E. (1977). Meaning and void: Inner experience and the incentives in people's live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6. Myers, C.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37. Rodd, J. (1994). Social intere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ternal stress.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50, 58-68.
  38. Seligman, M. E. P. (2000). Optimism, pessimism, and mortality. Mayo Clinic Proceedings, 75, 133-134. https://doi.org/10.1016/S0025-6196(11)64182-7
  39.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11, 774-788.
  40. Shane J. Lopez. (2008). Exploring the Best in People. Praeger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