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공배완(2006). 한국 민간경비 교육.제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2, 51-72.
- 김백수, 김용국(2009). 운동선수들이 지각하는 스포츠 자신감과 내적동기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1), 587-596.
- 김병태, 김선응(2010).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과 스포츠 자신감, 경쟁상태 불안의 관계. 대한무도학회지, 2(3), 159-171.
- 김봉선, 변소현(2012). 직업무용수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관계에서 대처 전략의 중재효과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5(2), 425-436.
- 김원배(1999). 스포츠자신감 질문지(SSCQ)의 타당성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0(2), 33-42.
- 김윤경(2002). 스포츠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5-143.
- 김정만(2008). 위기관리를 위한 경호무도 교육훈련 체제 정립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9-110.
- 김정묵, 정동군(2006). 자신감에 따른 직업의식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73.
- 김정묵, 장호중(2005). 스포츠인의 여가인식과 스포츠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0(3), 283-293.
- 김향수, 김희경, 박연숙(2011). 무도인의 직업의식과 영향요인. 한국공안행정학회. 31(3), 591-606.
- 김현호(2005). 경호무도로서 태권도 가치와 활용방안에 관한연구, 용인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96.
- 김형욱(2014). 경호무도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9-121.
- 남광우, 최영준(2015). 경호지도자의 리더십 지식과 역할만족 및 자신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4(6), 463-473.
- 대한체육회(2016). 하계올림픽대회http://www.sports.or.kr/home/010402/002
- 남정훈(2010). 무도인의 신체적 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3), 395-405.
- 박기범, 김태민(2010). 한국 합기도 기술의 경호무도 적용. 대한무도학회지, 12(3), 343-359.
- 박봉길, 신준옥, 최승민(2013).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과 직업의식이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학회. 17(4), 197-219.
- 박준석(2001). 경호무도의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지, 12(1): 15 16.
- 백승우(2012). 교사의 역할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4(4), 159-174.
- 서종영(2001). 경기에서 스포츠 자신감과 운동수행과의 관련성. 대구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61.
- 양현일, 박석돈(2012). 활동 보조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학회. 16(3), 339-360.
- 염상국(1997). 요인경호 시 근접경호원에게 요구되는 행동이론에 관한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5-81.
- 오경록(2010). 여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3), 225-237.
- 오세광(2009). 경호무도지도자의 전문성 향상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9-120.
- 유진(2001).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검사지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35(3), 107-124.
- 이기세(2007). 한국직업의식이 경호원의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57.
- 이부심(2009). 직업교육수료자의 직업의식 및 윤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7-83.
- 이승연, 원영신, 조성원(2013). 생활체육광장지도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직업의식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6), 409-422.
- 이철형(2007). 수발인력의 전문 직업성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71.
- 전광수(2004). 한국 민간 경호.경비 산업의 발전방안, 용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105.
- 정성숙(2005). 경호무도 수련이 직무 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9-94.
- 정여숙(2008). 직업의 주관적 삶의 질과 통제위 성격에 관한 조사. 한국교육학회지. 14(1), 117-126.
- 최연숙(2005).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정책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76.
-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2). 직업교육에 대한 산업체의 요구 및 만족도조사.
- 한혜원(2010). 스포츠선수의 자기관리, 자신감 및 운동만족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4권 3호, 153-166.
- 홍이수(2010). 여성 태권도 지도자 성역할정체감에 따른 성차별의식, 역할만족 및 직업의식의 관계.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76.
- 황성훈(2005). 조직몰입과 전문직몰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75.
- Abma, C.L., Fry, M. D., Li, Y. & Relyea, G.(2002). Differences in imagery content and imagery ability between high and low confident track and field athlete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4, 67-75. https://doi.org/10.1080/10413200252907743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 Bandura, A.(1986). Social foundation soft ought and action: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 wood Cliffs, NJ:Prentice-Hall. 119.
- Balaguer, I., Castillo, I., Tomas, I., & Vealey, R. S.(2004). A cultural analysis of sources levels of confidence athletes Advancement of Applied Sport Psychology Conference. Minneapolis, MN. 181-189.
-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W. H. Freeman. 105-123.
- Cox, A.E., & Whaley, D.E.(2004). The influence of task value, expectancies for success, and indentity on athletes' achievement behaviors. Journal of Applied Sport Psychology, 16, 103-117. https://doi.org/10.1080/10413200490437930
- Deci, E.L., & Ryan, R. M.(1985). In 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Plenum. 130.
- Denham, C. H. & Michael, J. J. (1981). Teacher sense of efficacy: A definition of the construct and a model for further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 Quarterly, 6(1), 39-61.
- Kaye, S. H., Chapman, S., Newcomer, R. J., & Harrington, C(2006). The personal assistance workforce: Trends in supply and demand. Health Affairs, 25, 1113-1120. https://doi.org/10.1377/hlthaff.25.4.1113
- Lenney, E.(1977). Women's self-confidence in achievement situations. Psychological Bulletin, 84, 1-13. https://doi.org/10.1037/0033-2909.84.1.1
- Lirgg, C. D.(1991). Teacher ver suspeer models revisited:Effectsonmotorperformance and self-efficacy.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62, 217-224. https://doi.org/10.1080/02701367.1991.10608713
- Lirgg, C. D., George, T. R., Chase, M .A, & Ferguson, R.H.(1996). Impact of conception of ability self-efficacy.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426-434. https://doi.org/10.1123/jsep.18.4.426
- Marianne, D(2005). Change in job values during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18(4), 385-400. https://doi.org/10.1080/13639080500327774
- Mead(1974). Development of a role conflict question naire for women : some preliminary findings. J Consult Clin Psychol. 42(5), 743. https://doi.org/10.1037/h0037052
- Perry, J. D., & Williams, J. M.(1998). Relationship of intensity and direction of competitive trait anxiety to skill level and gender in tennis. The Sport Psychologist, 12, 169-179. https://doi.org/10.1123/tsp.12.2.169
- Vealey, R. S., & Knight, B. J. (2002). Multidimensional sport-confidence: A conceptual and psychometric extension. the Advancement of Applied Sport Psychology Conference, Tucson, AZ. 133-150.
- Vealey, R. S.,& Chase, M. A.(2008). Self-confidence in sport: Conceptual and research Advances. In T. S. Horn (Ed.), Advances in Sport Psychology(3rd ed.). Champaign, IL: Human Kinetics. 78-105.
- Williams, R. M.(1992). The concept of Values in David L.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16, 283.
- Wilson, R. C., Sullivan, P. J., Myers. N. D., & Feltz, D.L.(2004). Sources of sport confidence of master athletes. Journal of Sport Exercise Psychology, 26, 369-384. https://doi.org/10.1123/jsep.26.3.369
- Xinyi,Z., Smith, D., & Adegbola, O.(2004).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ix mental qualities among Singaporean, North American, Chinese, and Nigerian professional athl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 103-118. https://doi.org/10.1080/1612197X.2004.9671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