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protocol & security systems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such as 2010 Seoul G20 Summit, 2012 Seoul Nuclear Security Summit and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conference laws. We should select a major agency for 'International Conference Industry Promotion Act', coordinate of the system of international conference laws, resolve potential conflicts, maintain consistent on support organization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ion among different ministries that control security relevant laws. We should solve clashes possibility between a few laws on security system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rotocol & security of international conferen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duce a joint protocol handbook of government for establishing protocol & security system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We should try to confirm protocol & security system of international conferences through publishing a joint protocol handbook of government from their own protocol handbook of the executive, the legislature, etc. Fo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nd strengthen expertise of PCOs(professional convention organizers). We should find and assist several PCOs for achieving government policy that develop industrial foundation on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train human resources on international convention expected next generation of promising industries.
본 연구는 성공적인 국제회의로 평가받고 있는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 2012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등 국제회의 개최사례를 중심으로 의전경호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회의 지원법규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에 대한 국가차원 주무부처 정립, 국제회의 지원법규의 체계에 대한 조정, 국제회의 지원조직의 일관성 유지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경호안전체계 관련법규 소관부처 간 이해 조정이 필요하다. 국제회의 의전경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경호안전체계 관련 다수 법규 간의 충돌 가능성 해소가 필요하다. 셋째, 국제회의 의전경호체계 확립을 위한 정부합동 의전편람 제작이 필요하다. 행정부, 입법부 등에 산재하여 다소 국지적이고, 일관성이 없는 의전관련 주요지침(편람)을 정부합동 의전편람 제작을 통해 국제회의 의전체계 확립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넷째, PCO의 전문역량 배양 및 강화가 필요하다. "분야별로 PCO를 선정, 활용하여 차세대 유망 산업으로 기대되는 국제 컨벤션 대행 산업의 기반을 육성하고 해당 분야의 인력을 양성한다"는 정부 방침이 충분히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PCO를 발굴하여 국가 차원의 지원을 병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