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vie A Werewolf Boy and Women's Original Sens

영화 <늑대소년>과 여성의 원형적 감정들

  • 김길훈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프랑스학과)
  • Received : 2015.09.23
  • Accepted : 2015.11.09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e Movie, A Werewolf Boy, describes metaphorically the hidden desire of female audience. The majority of stories about wolves contains fear of wolves inherited by and learned through human history struggling with the nature. They also shows punishment and reward toward wolves as a cultural symbol of evil.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wolves as a metaphor of hidden original desire rather than as a subject of fear and punishment. Soon-Hee's experience with a wolf-boy in her period of puberty and her remembering the experience in her old age expresses her original sexual desire. The movie, A Werewolf boy does not directly deal with sexual content. However, SU-NI's growth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wolf-boy informs us Freudian theory of sex and the mechanism of sexual desire and its repression or realization. Brun Bettelheim's "Little Red Riding Hood" was used to analyze Soon-hee's desire during her puberty and Clarissa Estes's "Women Who Run with the Wolves" were used to explore SU-NI's wildness forgotten in her elderlyhood. This study shows in the process of wolf boy's transformation from biological being into social being awakened the hidden and original desire of woman.

영화 <늑대소년>은 여성관객의 숨겨진 본래적 욕망을 늑대를 통해 은유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대부분의 늑대이야기는 인류 역사에서 체득된 늑대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을 그리고 문화적으로 악의 상징으로서의 늑대에 대한 심적 응징의 보상 등을 담고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 공포와 처벌대상의 늑대가 아닌 내면 깊숙이 자리하고 있는 원형적 야성의 은유로서의 늑대에 주목했다. 사춘기 순이의 괴기스런 늑대인간에 대한 경험과 노년의 순이가 이를 회상하는 가운데 여성의 본래적 (성적) 욕망이 모습을 드러낸다. <늑대소년>에 성적 묘사는 없다. 하지만 주인공 순이의 늑대소년과의 교감을 통한 자아성장과정 속에서 프로이의 성이론, 성적 욕망의 억압과 해소 그리고 승화의 메커니즘을 읽어본다. 브뤼노 베틀하임의 전래동화 "빨간모자"의 분석을 통해 사춘기 순이의 본래적 욕망을 분석하고 크리스티바 에스테스의 늑대이야기를 통해서는 노년의 순이가 잊고 있었던 여성의 야생성을 역 추적한다. 본 연구는 <늑대소년>이 생물학적 존재에서 사회적 존재로 거듭나는 가운데 억압되고 제거된 아니면 숨겨져 있던 여성의 본래적 욕망을 재 각성시키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표면적으로 <늑대소년>이 잔잔한 로맨스의 달콤함을 보여주지만 내면적으로는 환타지한 늑대인간과의 사랑을 통해 억압과 금기에 대한 저항의 쾌락과 연계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소비자조사, p.74, 2009.
  2.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p.251-273, 1976.
  3. Clarissa P. Estes, 손영미 역,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자들 Women who run with the wolves, 이루, 2013.
  4. Francesco Casetti, 김길훈 외, 현대영화이론Teorie del cinema: 1945-1990, 한국문화사,p.134, 2012.
  5. Francesco Casetti, 김길훈 외, 현대영화이론 Teorie del cinema: 1945-1990, 한국문화사, pp.236-237, 2012.
  6. 종교학 대사전, 1998.
  7. Jean-Marc Moriceau, Histoire du mechant loup, Paris, Fayard, 2007.
  8. J. Rychner, Les lais de Marie de France, Paris, Champion, 1983.
  9. H. B. Werness, The Continuum Encyclopedia of Animal Symbolism in Art, New York & London, pp.435-436, 2003, 김준현, "프랑수아 비용의 변신의 시학," 불어불문학연구, 제93집, pp.78-79, 2013 재인용.
  10.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264, 1976.
  11.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p.262-263, 1976.
  12. Wilhelm Reich, 윤수종 역, 성정치 Die Sexuelle Politik, 중원, p.58, 2011.
  13. Bruno Bettlheim, Psychanalyse des contes de fees, Pluriel, p.266, 1976.
  14. Paul Ricoeur, 양명수 역, 악의 상징, 문학과 지성사, pp.37-44, 2011.
  15. Peter Brooks, 이봉지 역, 육체와 예술, 문학과 지성사, pp.83-85, 2003.
  16. 류현주, "안젤라 카터의 피로 물든 방에 나타난 늑대 모티프," 신영어영문학, 제58집, pp.65-68, 2014.
  17. 김길훈, "영화 <부러진 화살>의 정서적 이중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67-69, 2013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