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ccessory-application as a Narrative Tool -Focusing on -

내러티브 도구로써의 소품 활용 연구 -영화 <그녀 her>를 중심으로-

  • 유수연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Received : 2015.09.07
  • Accepted : 2015.10.26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the props in movies can be used to communicate messages ans themes to the audience very usefully. I selected the movie "her" to investigate by the use of props. The props in the film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s without a dialogue and visual. At the same time, the props can make a audiences sympathy as a role playing like a main character. As a result, the props used in the movie were expla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narratives of the movie. The props in the movie is so useful and powerful, and then imag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in the movie as a narrative tool and storytelling.

소품의 적절한 선정은 공간의 완성도를 높여 주어 안락함과 쾌적함을 주는 동시에, 개개인의 캐릭터나 감각 등을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시지각적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소품의 역할이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특히 영화 미술 분야에서의 소품 활용은 하나의 시지각적 장치를 넘어서 캐릭터를 드러내고 이야기를 운반하는 하나의 내러티브 도구로 사용된다. 영화 는 여자 주인공의 얼굴이 등장하지 않는다. 여자 주인공의 비주얼을 대신 한 것이 바로 소품이었다. 이 소품들은 영화의 주제의식인 디질로그 정신을 공고히 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정운, 오혜경, "실내 소품의 분류와 주거공간에서의 적용 경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제70호, pp.106, 2004.
  2. 최임정, "영화 속 가구, 소품 및 패션디자인의 계획적 사용에 의한 국가 이미지 메이킹 사례연구: 영화 '카모메 식당'의 가구, 주방용품, 의류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제42호, p.385, 2014.
  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0&aid=0000004533
  4. 최병근, "각본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제24호, p.511, 2004.
  5. 김보경, 이정교, "자연을 모티브로 한 상업 공간의 벽 이미지에 관한 연구-나무를 소재로 한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3권, 제3호, 통권7호, pp.71-80, 2008.
  6. 오동준,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 관점에서 본 타블로이드판형 신문의 편집 디자인 사례 연구, 단국대 디자인 대학원, pp.16-17, 2005.
  7. 박혜령, 기하학적표현을 통한 금속조형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72, 2006.
  8. http://blog.naver.com/soheroine?Redirect=Log&logNo=220013881591
  9. 알라이다 아스만,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 백설자, 채연숙 역,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 출판부, pp.286-287, 1999.
  10.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977092
  11. Fredric Jameson, chapter 9 "Nostalgia for the Present," Post modernism, or The Cultural Logic of Late Capitalism, London;NewYork: Verso, 1991.
  12. C. Sedikides, T. Wildschut, and D. Baden, "Nostalgia: Conceptual issues and existential functions," Handbook of experimental existenti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04.
  13. 박선영, "향수(nostalgia), 기대 및 평가가 영화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써니>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623, 2013.
  14. 장민용, "영화적 공간의 확장에 대한 연구 실험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제43호, 2010.
  15.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2002675
  16. 최영진, "중앙대 유리창과 거울 사이에 대한 응시 : 영화 연구의 두 가지 기본 쟁점들을 통해 본 사유," 문학과 영상, p.234,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