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Framework

방재서비스디자인 프레임워크 연구

  • 하광수 (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
  • 반영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Received : 2016.01.21
  • Accepted : 2016.02.28
  • Published : 2016.03.28

Abstract

Many hidden aspects of society around the world that has been lurking as risk factors have been ultimately connected to disasters. Such connection did not just stop with massive damages to properties and loss of lives but became a serious social issue. Especially in the case for Korea, because the country has gone through abrupt economic growth which has resulted in rapid urbanization and expansion of economic scale, Korea has been caught in a vicious cycle of experiencing human and social calamities repeatedly. Due to the seriousness of such problem, there's been continu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for managing disasters, and the domain of knowledge has been expanding with complexity. The following study went beyond the perspectives of disaster prevention study,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and social sciences suggested from previous research directions in disaster and disaster prevention, and attempted an alternative research method by approaching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the paper looked over the summary on disaster and service design. By applying it on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the research sets forth and discusses effective and practical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Through specific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ology applied was verified,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perspective of real world applications different from textbook type discussions.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process and platform that were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result, defining and understanding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will be made apparent. Additionally, th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building block for building a visualized plan for tangible and intangible factors related to disasters before the disaster process through such proposed disaster prevention service design.

최근 세계 곳곳에서 사회 이면에 도사린 위험요소가 재해로 연결되면서 수많은 재산/인명 피해를 끼치는데 그치지 않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경제발전의 결과로 도시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경제의 규모도 커지면서, 여러 인적/사회적 재난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악순환에 빠져있다. 이런 심각성 때문에 오랜 시간동안 재난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가 지속되었으며 학문의 영역 또한 빠르게 복합화 되면서 확장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재난과 방재측면에서 그간의 연구방향 이었던 방재학적, 방재공학적, 사회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서비스디자인 관점으로 접근함으로서 대안적 연구를 시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재난과,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괄을 알아보고 방재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서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하고 논의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연구 방법론을 적용 검증함으로서 교과서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 적용측면에서의 논의를 진행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방재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 플랫폼을 통해 방재서비스디자인을 정의 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재서비스디자인을 통해 재난의 전후 전 단계에서 재난과 관련된 유/무형의 여러 요소를 디자인적으로 가시화시킬 수 있게 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카지 히데끼, 강양석, 도시방재학; 방재계획의 이론과 실천, 보성각, p.29, 2011.
  2. 한국방재학회, 재난관리론, 구미서관, p.9, 1990.
  3. 카지 히데끼, 강양석, 도시방재학; 방재계획의 이론과 실천, 보성각, p.14, 2011.
  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률 제12943호 3조, 2014.12.30.(일부개정)
  5. David M. Neal, "Reconsidering the Phases of Disa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pp.240-258, 1997.
  6. David M. Neal, "Reconsidering the Phases of Disa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Mass Emergencies and Disasters, p.245, 1997.
  7. William J. Petak,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stration Review, Vol.45(Special Issue), p.3, 1985. https://doi.org/10.2307/3134992
  8. Jared T. Brown, "Presidential Policy Directive 8 and the National Preparedness Syste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CRS Report for Congress, p.8, 2011.
  9.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법률 제12943호 3조, 2014.12.30.(일부개정)
  10. 정지범, 재난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현황과 대응 전략 마련, 한국행정연구원, pp.12-16, 2013.
  11. 유현정, 이재은, 노진철, 김겸훈 "수요자 관점에서 접근한 재난관리서비스의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5, pp.228-233, 2008.
  12. 정지범, 재난상황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현황과 대응 전략 마련, 한국행정연구원, pp.94-153, 2013.
  13. 한국디자인진흥원,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p.89, 2013.
  14. 유민호, 김은경, "서비스디자인 사례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ol.35, p.33, 2012.
  15. 한국디자인진흥원, Healthcare Design First Aid Kit;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p.99, 2013
  16. 마르크 스틱도른, 야코프 슈나이더 외, 서비스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p.132, 2012.
  17. The Design Council Double Diamond, http://www.designcouncil.org.uk
  18. 구미시, 불산, 구미를 바꾸다 (주)휴브글로벌 불산 누출사고 백서, 구미시, 2013.
  19. 감사원, "유해 화학물질 관리실태 감사 공개문," 감사원, 2014.
  20. 감사원, "구미 불산가스 유출사고 대응실태 공개문," 감사원, 2013.
  21. 환경안전건강 연구소,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대응 실태 정책보고서," 감사원, 2013.
  22. 현재순칼럼, "불산 누출 사고 3년, 구미를 찾다," http://www.vop.co.kr, 2015.
  23. 나무위키, "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 https://namu.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