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동석, 2015, 연해주 농업 진출의 전략적 접근, 한울.
- 강석오, 1971, 신한국지리, 새글사.
- 강창숙, 2008, "중학생들의 '북부지방'에 대한 이해 특성과 지역 이미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79-96.
- 강철성, 2004, "북한의 1월.8월 인체보온지수 분포의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1), 151-157.
- 강현창.리호, 1996, "우주사진에 의한 대동강하구일대의 옛 바닷물가선에 대한 연구," 김일성종합대학학보, 42(5), 97-101.
- 강환웅, 2002, 북한 지리교과서의 이데올로기적 특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공우석, 1995, "한반도 송백류의 시.공간적 분포역 복원," 대한지리학회지, 30(1), 1-15.
- 공우석, 2001, "북한의 자연 생태계의 이해와 보전," 북한 국토 이해와 개발에 관한 국제 학술세미나, 1-34, 대한지리학회.국토연구원.
- 공우석, 2002a, "북한 자연생태계의 생물지리적 특성," 환경영향평가, 11(3), 157-172.
- 공우석, 2002b, 북한의 산림생태계, 수문출판사.
- 공우석, 2006, 북한의 자연생태계, 아산재단연구총서 202, 집문당.
- 공우석, 2009, 북한 자연환경과 생태계 공동조사와 학술교류 필요성(2005년 6월), 북한과학기술네트워크 통일컬럼.
- 교수신문, 지리학은 통일 준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2015년 11월 16일자 806호.
- 구성훈, 2010, 남북한 초등 지리교육내용 비교연구-교과서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국토연구원, 2011, 접근불능지역 공간정보 통합체계 ISP 수립연구, 국토지리정보원.
- 국토지리정보원, 2013, 북한지도집, 국토부.
- 권동희, 1994, "한반도 통일 관광교통체계 구상," 관광지리학, 4, 373-390.
- 기상청, 2012,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기상청.
- 김경량.이광석.홍성규, 2005, 북한 농업의 개혁-전망과 과제, 한울.
- 김기혁, 2013,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4-30.
- 김기혁, 2015, "통일 준비를 위한 인문 지리학 연구의 동향과 과제," 2015년 지리학대회, 대한지리학회, 105-106.
- 김남신, 2011, "시뮬레이션에 의한 백두산 화산분출 영향범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3), 348-356.
- 김남신, 2012, "백두산 동사면 산지 초지분포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8(4), 364-373.
- 김동실, 1999, 인공위성(NOAA/AVHRR) 영상자료에 의한 한반도 식생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두일.한 욱.정상조, "1998, 위성 영상을 이용한 황해도 농촌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연구," 지리학연구, 32(4), 135-146.
- 김석주, 2010, "창춘-지린-두만강 지역 개발 개방선도구와 중국 두만강지역 합작개발 계획," 국토연구, 82, 96-104.
- 김석주.이민부.김남신.김애분.주철, 2010, "북한 혜산시 50년간 가뭄과 홍수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3), 216-223.
- 김성보, 2000,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북한 농업체제의 형성을 중심으로, 역사비평사.
- 김영국, 1977, "신북한 지리지1: 북한지역의 자연지리개관," 北韓, 67, 228-233.
- 김영기, 1994,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관광자원개발에 관한 연구," 관광지리학, 4, 417-436.
- 김옥란.김용삼.김문식, 2003, "제4기 현세의 조선 서해 해안선 변동에 대한 연구," 지질 및 지리과학, 210, 39-40.
- 김완배, 2001, 북한농업연구백서,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은덕, 2009, 1990년 이후 북한 지리교과서 내용 변화에 관한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일성종합대학, 1972, 지리용어사전(자연지리), 교육도서출판사(평양).
- 김일성종합대학, 1989, 조선자연지리-지리학부용, 김일성종합대학 출판사.
- 김재완, 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 김정락, 1993, 백두산총서(지질), 과학기술출판사.
- 김정민, 1995, 통일을 대비한 국토 공간의 재인식에 관한 연구: 북부지방의 지도 보완 및 남북한 지도 통합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수, 2005, 지리과목교수에서 백두산 3대장군의 불멸의 령도업적을 깊이 새겨주려면, 교원선전수첩, 2호.
- 김종연.김주용, 2005, "북한 학자들에 의한 북한 지형 연구 현황 -장기 지형 발달과 하천지형, 빙하지형, 산맥체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2), 11-26.
- 김진영, 1998, "남.북한 자연지리용어의 비교," 淸州地理, 13, 51-60.
- 김창환, 2007a, "DMZ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4), 454-460.
- 김창환, 2007b, "북한의 GIS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189-197.
- 김창환, 2009a, "DMZ 내 사라진 마을의 공간적 분포와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96-105.
- 김창환, 2009b, "DMZ와 그 인접 지역의 지형경관 조사와 활용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3), 317-327.
- 김창환, 2009c, "우리나라의 DMZ 및 접경지역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 3-8.
- 김창환, 2011, "강원도 DMZ 지리공원(Geopark)의 지오사이트 선정과 스토리텔링,"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1), 117-134.
- 남상준, 1993, "北韓 地理敎育의 定向," 社會科敎育, 26, 150-160.
- 농업기반공사, 2001, 북한의 서해안 지역 농업용수 체계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지리정보원.
- 대한토목공학회, 2009, 북한의 도시 및 지역개발, 보성각.
- 류우익, 1995, 통일국토의 공간구조 개편구상, 서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편 통일국토의 미래상과 국토관리 정책.
- 리만근.안해룡, 2005, 북녘 일상의 풍경, 현실문화연구.
- 리행호, 2014,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의 발전과 조선반도, 학보, 사회과학원(북한).
- 림현민, 2003, "수자지형모형에 의한 류역수문정보해석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김일성종합대학학보(자연과학), 49(12), 117-119.
- 명수정.홍현정.최현일.정주철, 2008, 북한의 자연재해 취약지 추정 및 남북협력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명응범, 2005, 지리교수과정의 최량화와 지능교육, 인민교육, 2호.
- 명응범.장정관, 2005, 지역지리교수에서 대비법을 통한 지리적 대상의 특징화 방법, 교원선전수첩, 2호.
- 박삼옥.허우긍.박기호.박수진, 2007, 북한 산업개발 및 남북협력방안, 서울대학교 출판부.
- 박성열, 2002, 북한 농촌, 농업실태와 인력자원개발 시스템을 통한 북한 농민의 구호방안, 집문당.
- 변병설.윤갑식, 2001,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부경생, 2001, 북한의 농업-실상과 발전방향, 서울대학교출판부.
- 북한 사회과학원, 2002, 고장이름사전(황해북도, 개성시), 과학백과사전출판사(평양).
- 사공호상.서기환, 2007,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지역 국토이용실태 조사: 평양시를 사례로," 국토연구, 54, 175-189.
- 서재천.강경원.최용규.최병모, 1999, 통일을 대비한 사회과 교육, 교과교육공동연구소, 한국교원대학교.
- 석현덕.김영훈.이요한.구자춘.박소희.이찬휘.윤택승, 2014, 북한 황폐산지 복구를 위한 협력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손용택, 1993, "북한의 조선지리 교과서 내용분석," 사회과교육, 26, 168-181.
- 신효숙, 2003, 소련군정기 북한의 교육, 교육과학사.
- 심혜숙.안승일, 1997, 백두산, 대원사.
- 안재섭, 2013, "북한 도시 연구를 위한 도시지리학의 주요 연구방법 검토,"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2), 21-33.
- 에쓰 웨 오브루제브.탁중일(역), 1958, 지리야외답사법 (대학용), 교육도서출판사, 평양.
- 오인혜, 2015, "북한의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성과 점화 효과: 재미교포를 대상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0(4), 407-430.
- 오창원, 1991, 우리나라 지리와 풍속, 금성청년출판사.
- 웨 웨 알료힌.홍리모(역), 1957, 식물지리, 종합대학용, 교육도서출판사.
- 유충걸, 1993, "두만강하류지역의 자연자원과 이용," 북한, 1, 25-148.
- 윤 웅, 1995, 북한의 지리여행, 문예산책.
- 윤옥경, 2004, "북한 지역에 대한 초중등학교 지리 학습자료 개선 방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27-341.
- 이간용, 2000, "북한지역의 인구지리적 고찰," 地理敎育論集, 44, 40-53.
- 이강원, 2007, "조선 초 기록 중 '豆滿' 및 '土門'의 개념과 국경인식," 문화역사지리, 19(2), 45-57.
- 이광률, 2007, "북한 소설에 나타난 북한의 지리와 국토개발," 統一敎育硏究, 6, 64-75.
- 이기석 등, 2001, 북한 개방지역에 관한 연구: 나진.선봉지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이기석, 1992, "러시아 극동 경제특구 지역의 입지 특색에 관한 연구," 러시아연구, 2, 77-96.
- 이기석.이옥희.최한성, 2002, "북한 지리학 연구 동향에 대하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24.
- 이기석.이옥희.최한성.김종범.남 영.안재섭, 1999, "두만강(도문강) 유역 토지자원 종합평가-수출자유지역단지개발을 중심으로," 지리.환경교육, 7(2), 429-476.
- 이기석, 2002, "북한 지리학 연구 동향에 대하여: 지질과 지리(1960-2000) 학술지를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6, 84-90.
- 이기석.이옥희.최한성.안재섭.남 영, 2012, 두만강 하구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이민부, 2004a, 북한의 지리학과 지리교육, 통일교육의 내용적 기초-북한의 인문.사회과학 교육을 중심으로, 83-98,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이민부, 2004b, "북한의 지리교육," 통일교육연구, 3, 119-141.
- 이민부, 2006, 한반도 지정학과 한반도 안정을 위한 한중 협력, 북한연구와 통일교육을 위한 한중 협력방안, 한국교원대학교 통일교육연구소.
- 이민부, 2007a, "북한 동.서 해안의 지형과 해안선 분류," 統一敎育硏究, 6, 55-63.
- 이민부, 2007b, "한국과 세계의 운하 사례 연구: 지리적 분석," '경부운하 대해부'쟁점별 전략 토론회, 생태지평연구소, 5-49.
- 이민부, 2010,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7(1), 1-14.
- 이민부, 2014, "재난대비 교육을 위한 국토교육 강화 방안 연구," 지리환경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집, 112-116.
- 이민부, 2015, "통일시대를 대비한 한국의 지리학 연구," 2015년 지리학대회, 대한지리학회, 107-108.
- 이민부.김남신.강철성.신근하.최한성.한 욱, 2003, "북한 회령지역의 농경지 변화에 따른 토양침식 추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3), 373-384.
-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a, "북한의 인구와 농업의 변화에 따른 환경문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709-717.
-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b,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북한의 경작지 확대에 따른 농경지 및 산림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85-388.
- 이민부.김남신.김석주, 2008c, "두만강 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환경변화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5(1), 27-35.
- 이민부.김남신.김석주.김항덕, 2008, "임진강유역의 토지이용에 따른 지표침식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3(3), 263-275.
- 이민부.김남신.이광률, 2005, "북한 서해안의 간척과 해안 변화 -평안북도 염주군과 철산군 해안을 사례 지역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2(3), 99-110.
-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2003a, "GIS와 RS를 이용한 토지피복 및 식생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 -평안북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8(5), 835-848.
-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2003b, "DEM과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북청-단천 지역의 식생분포와 지형요소의 공간적 관계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10(3), 441-451.
-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강철성.한 욱, 2003, "위성영상 분석에 의한 만포-강계 지역 경지확대에 따른 산림경관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4), 481-492.
- 이민부.김남신.한 욱.한주연.최한성.강철성.신근하, 2006, 북한의 환경 변화와 자연 재해, 한울.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2004,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대한지리학회지, 39(6), 833-944.
- 이민부.이광률.윤순옥.한주엽, 2001, "추가령 열곡 대광리 단층대의 구조운동과 지형 발달," 지질학회지, 37(2), 257-268.
- 이민부.주 철.김남신.김애분.김석주, 2012, "중국 단둥의 56년간 이상기온 변화 및 기상 특징," 기후연구, 7, 17-29.
- 이양우, 1993, "북한의 지리교육: 남북한 지리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사회과교육, 26, 129-149.
- 이영택, 1991, 2005(개정), 최신 북한 지도, 우진지도문화사.
- 이영희, 2008, 북한 개성특급시 역사문화 지명의 유래와 특성, 지명의 지리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편, 274-298, 한길사.
- 이옥희, 1995, "북한의 국토자원 이용과 개발에 관한 지리 적 연구," 이화지리총서, 6, 69-115.
- 이옥희, 2011, 북.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푸른길.
- 이옥희.이봉희, 1992, 북한의 도시 및 지역개발에 관한 연구, 92연구논문, 통일원.
- 이장춘, 1993, 통일시대의 관광전망과 대책, 교통개발연구원.
- 이장춘, 1996, "통일시 복지관광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국제경영논집, 15, 1-9.
- 이장춘, 1999, 북한관광연구, 북한연구학회 편, 분단반세기 북한 연구사, 234-261, 한울.
- 이희연, 2001, 지리학의 응용과 참여, 한국의 지리학과 지리학자, 348-390,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 편, 한울.
- 임덕순, 1972, "한국 휴전선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지리학, 7(1), 1-11.
- 임덕순, 1973, 정치지리학 원론, 일지사.
- 장재연, 2005, 북한의 환경,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 전성우.변병설.이병준, 2003, DMZ 일원의 환경보전 기본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전용철.김진석, 2002, 개성의 옛 자취를 더듬어, 문학예술출판사(평양).
- 전 웅, 1999, 지정학과 해양세력이론,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조한범.곽진오.김 면, 2006,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구술자료: 독일.일본, 통일연구원 편, 선인.
- 주 철, 2012, 도문강 하류 하안사구 지형경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진종헌, 2005, "금강산 관광의 경험과 담론분석:'관광객 시선'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 문화역사지리, 17(1), 31-46.
- 차승주, 2003, 남북한 지리교과서 단원내용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천현후, 2009, 남북한 중등학교 한국지리 용어 차이와 통합방안,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 희, 2015, "제국주의와 냉전의 이데올로기에 투영된 남북한 지리교과서 속의 프랑스,"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150-157.
- 최석주, 2003, "북한의 지명 연구-북한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27, 235-251.
- 최석진.남상준.류재명.손용택.이동엽, 2000, "북한 고등중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 연구," 社會科敎育, 33, 283-308.
- 최안기, 2004, 남북한 중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한성, 2004, "북한의 환경변화," 지리과교육, 7, 63-76.
- 콜린 플린트.한국지정학연구회(역), 2007,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도서출판 길.
- 크리스 마커.김무경(역), 2008, 북녘 사람들, 눈빛.
- 통일원, 1993, 북한지지요람. 통일원.
- 통일원, 1994,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 통일원.
- 평화문제연구소.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조선향토대백과(Encyclopedia of North Korean Geography and Culture).
- 한국관광공사, 2004, 북한 관광자원.
- 한국수자원공사, 1994, 북측 수자원 현황 및 개발 동향.
- 한균형, 1984, "人工衛星 寫眞을 이용한 北韓 쌀 生産量推定," 地理學論叢, 14, 311-320.
- 한균형, 2000, 북부지방의 핵심지역 평양과 남포, 한국지리, 370-382, 제29차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편, 교학사.
- 홍면기, 2006, 영토적 상상력과 통일의 지정학, 삼성경제연구소.
- 홍순익, 1989, 조선자연지리: 지리학부용, 김일성 종합대학출판사.
- 황희연, 1999, "통일대비 통합국토정비 정책방향에 대한 일고," 한국도시지리학회, 2(2), 95-105.
- Baklanov, P.Y., Lee, K.S., Ermoshin, V.V., Ganzei, S.S., Lee, O.H., Choe, H.S., and Ahn, J.S., 2004, Issu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wer Tumen River, Southeast Primorskii Krai of Russian Federation,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2), 229-240.
- Dormels, R., 2014, North Korea's Cities, Jimoondang.
- Kim, H.E., 1974, Rare look at North Korea, National Geographic, 146(2), National Geographic Society.
-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7, The National Atlas of Korea,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009, The National Atlas of Korea,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
- Lee, Seung-Ook., 2014a, The Production of Territory in North Korea: 'Security First, Economy Next', Geopolitics, 19, 206-226. https://doi.org/10.1080/14650045.2013.847432
- Lee, Seung-Ook., 2014b, China's new territrorial strateges towards North Korea: security, development, and inter-scalar politics, Eurasian Geography and Economics, 55(2), 175-200. https://doi.org/10.1080/15387216.2014.955868
- Lee, Seung-Ook., 2015, A Geo-Economic Object or an Object of Geo-Political Absorption? Competing Visions of North Korea in South Korean politics,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1-25.
- Li, Tie-Li., Jiang, H. and Gao, F., 2002, Ecinomy and Trade Cooperation between Dandong, China and D.P.R. Ko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5), 551-558.
- Yoon, Seung-Hyun. and Lee, Seung-Ook., 2013, From old comrades to new partnerships: dynamic development of econom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The Geopolitical Journal, 179(1), 19-31.
- Yu, W.I., 1993, The Northeast Asian Rim: A Geopol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8(4), 31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