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범죄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범죄학에 기반한 공간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x Crimes: Spatial Analysis based on Environmental Criminology

  • 이건학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및 국토문제연구소) ;
  • 진찬우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 김지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 김완희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Lee, Gunhak (Department of Geography and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Jin, Chanwoo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iwoo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Wanhe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6.12.15
  • 발행 : 2016.12.31

초록

성폭력 범죄로 인한 피해 사례가 증가하면서 성폭력 범죄에 대한 예방과 사회적 안전 장치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여러 가지 처벌적 조치들에도 불구하고 성폭력 범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법적, 제도적 장치에 대한 범죄 예방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최근 범죄학에서는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설계와 관리를 통해 범죄의 기회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환경범죄학적 접근이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범죄학적 맥락에서 성범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지역의 환경요인과 성폭력 범죄 발생의 상관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부에서 공개하는 성범죄자알림e의 성범죄 정보를 활용하여 거시적 스케일에서의 성폭력 범죄 지도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여러 공간 통계 기법을 통해 성폭력 범죄의 발생 분포와 공간 클러스터를 탐색하였다. 또한 지역의 다양한 환경 변수들과의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성폭력 범죄의 환경 특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성폭력 범죄의 현주소와 공간적 양상을 보다 실제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성범죄 예방과 치안 강화를 위한 지역 정책 수립 및 방안 설정에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sex crimes and social secure is growing as the number of cases by sexual offences becomes higher. Although various punishable ways have been introduced so far, increasing sex crime is still going on. Thus, effectiveness of legal systems for preventing crimes is questionable. More recently, the approach for environmental criminology has been paid attention for reducing criminal opportunities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and management of crimes. This study attempts to look ov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xual crimes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criminology,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occurrence of sexual crimes empirically. To do this, we visualized the map for sex crimes at the macro-scale and explor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exual crimes and spatial clusters based on various spatial statistics using sex crime data published online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lso, we deriv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xual crimes b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n a large number of explanatory variables of regional environment. Our results will help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spatial aspects of sex crimes in the nation more realistically. Further, it is respected that our results might be useful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regional policies and plans for the prevention of the sexual crime and enhanced public polic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진.이경훈, 2007, "도시주거지역에서의 근린관계 활성화를 통한 방범환경조성에 대한 연구: 수도권 P시 단독주택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3(7), 97-106.
  2. 강용길, 2006, CPTED의 사례분석을 통한 요율적 도입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준모.김현정, 2007, "도시 내 공원녹지공간이 범죄에 미치는 영향: 3대 강력범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1), 117-129.
  4. 곽병선, 2006, "성범죄에 대한 비판적 검토: 피해자의 관점에서," 피해자학연구, 14(1), 147-170.
  5. 김길섭, 2008, "안전한 도시를 위한 CPTED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럽행정학회보, 5(1), 33-58.
  6. 김종오.유영현, 2007, "연쇄성범죄자의 심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3(1), 29-59.
  7. 노용우.임창주, 2002, "상황적 범죄예방," 법학논총, 22(1), 41-64.
  8. 대검찰청, 2014, 2014 범죄분석.
  9. 박준휘.강용길.김도우.정진성, 2014, 범죄유발 지역.공간에 대한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적용 및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II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0. 박충기, 2009, "아동 성범죄의 지리적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지리학논총, 53, 65-96.
  11. 신상화, 2009, "연쇄 강간범에 대한 지리적 프로파일링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4(2), 125-160.
  12. 이은혜.강석진.이경훈, 2008,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 설계를 통한 범죄예방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 : 지구단위계획 요소별 CPTED기법 유형화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4(2), 129-138.
  13. 이현지.정성원, 2012, "아동.청소년 성범죄의 물리적 도시환경 영향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8(1), 217-226.
  14. 이현희, 1994, 범죄발생율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해체이론과 일상활동기회이론의 통합모델을 적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임준태, 2006,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통한 한국의 연쇄 강력범죄 분석," 한국경찰연구, 5(2), 161-188.
  16. 전용완.박윤환, 2008, "근린효과와 도시범죄의 공간적 패턴: 달라스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 85-99.
  17. 정소양, 2008, GIS와 공간통계를 이용한 도시범죄의 공간패턴 및 영향요인 분석: 서울시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일훈.양진석, 2010, "환경설계(CPTED)를 활용한 도시범죄 예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4), 434-446.
  19. 조일형.권기헌, 2013, "성범죄 예방 정책의 전략적 우선 순위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17(2), 49-74.
  20. 최인섭.진수명, 1998, 지역특성과 범죄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1. 홍동숙.김정준.강홍구.이기영.서종수.한기준, 2008, "시공간 분석 기반 연쇄 범죄 거점 위치 예측 알고리즘,"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10(2), 63-79.
  22. Brantingham, P. J. and Brantingham, P. L., 1981, Environmental criminology,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23. Canter, D. and Larkin, P., 1993, The environmental range of serial rapis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3(1), 63-69.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215-4
  24. Clarke, R. V., 1983,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Its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scope, Crime and Justice, 4, 225-256. https://doi.org/10.1086/449090
  25. Getis, A. and Ord, J.,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 189-206.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2.tb00261.x
  26. Jeffery, C. R., 1971,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Publications, Beverly Hills.
  27. Kuo, F. E. and Sullivan, W. C., 2001, Environment and crime in the inner city does vegetation reduce crime?, Environment and Behavior, 33(3), 343-367. https://doi.org/10.1177/0013916501333002
  28. LeBeau, J. L., 1987, Journey to rape: Geographic distance and the rapist's method of approaching the victim,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15(2),129-136.
  29. LeBeau, J. L., 1992, Four case studies illustrating the spatial-temporal analysis of serial rapists, Police Studies, 15(3), 124-145.
  30. Newman, O., 1972,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Macmillian, New York.
  31. Ord, J. and Getis, A., 1995,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27(4), 286-306.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5.tb00912.x
  32. Roncek, D. and Maier, P., 1991, Bars, blocks, and crimes revisited: Linking the theory of routine activities to the empiricism of "hot spots", Criminology, 29(4), 725-753. https://doi.org/10.1111/j.1745-9125.1991.tb01086.x
  33. Santtila, P., Laukkanen, M., and Zappala, A., 2007, Journal crime bahaviours and distance travelled in homicides and rapes, Journal of Investigative Psychology and Offender Profiling, 4(1), 1-15. https://doi.org/10.1002/jip.56
  34. Santtila, P., Zappala, A., Laukken, M., and Picozzi, M., 2003, Testing the utility of a geographical profiling approach in three rape series of a single offender: a case study,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131(1), 42-52. https://doi.org/10.1016/S0379-0738(02)00385-7
  35. Smith, W., Frazee, S., and Davison, E., 2000, Furthering the integration of routine activity and social disorganization theories: Small units of analysis and the study of street robbery as a diffusion process, Criminology, 38(2), 489-524. https://doi.org/10.1111/j.1745-9125.2000.tb00897.x
  36. UNODC, 2013, Crime and criminal justice statistics.
  37. Warren, J., Reboussin, R., Hazelwood, R. R., Cummings, A., Gibbs, N., and Trumbetta, S., 1998, Crime scene and distance correlates of serial rape,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4(1), 35-59. https://doi.org/10.1023/A:1023044408529
  38. 여성가족복지부 성범죄자알림e 웹페이지: http://www.sexoffende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