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중년남성의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5.08.03
  • Accepted : 2015.10.07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Data were collected from 188 middle aged men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0.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Levels of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ere moderat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average income, economic status, employment status, living arrangement, and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51.5% of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e considered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for promoting life satisfaction of middle aged men.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중년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거주하는 중년남성 188명이었으며, 자료는 2014년 7월 27일부터 8월 1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정도는 중간이상이었고, 이는 학력, 결혼상태, 직업, 평균소득, 경제수준, 고용형태, 동거형태, 건강상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를 51.5% 설명하였다. 따라서 중년 남성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계획 시에는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 가족지지, 사회적 지지를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인구보건복지협회, 세계인구현황 보고서, 2013. http://www.ppfk.or.kr
  2. 김미량, 송강영, "중년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변화,"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393-402,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9.393
  3. 이희윤, 박정윤,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69-192, 2011.
  4. 강모성, 전영주, 손태홍, "기혼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5-134, 2008.
  5. 안진석, 중년남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6. 장소라, 사회적 바람직성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성격과 주관적 안녕감을 통한 경로모형 탐색,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 한숙정, 권명순, 윤오순, "중년 여성과 남성의 삶의 질 비교," 가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83-194, 2012.
  8. 김미정, 김귀분, "중년과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9권, 제2호, pp.150-158, 2013,
  9. 김금자, 중년남성의 건강증진행위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0. 이영휘, "중년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4호, pp.539-549, 2002.
  11. 서정훈, "중년남성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 건강관련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2호, pp.177-185, 2005.
  12. 김정희, 이영주, "중년 남성의 갱년기 증상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6권, 제5호, pp.186-195, 2005.
  13. 신금미, 암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강은나, "은퇴전환기 중고령자 특성과 삶의 만족변화,"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236권, pp.1-8, 2014.
  15. 이영자,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불안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6. A. Campbell,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31, pp.117-124, 1981.
  17. 정혜영, 위험군 노인집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연구 : 대전지역 가정간호서비스 대상 노인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이경우, 박기수, 강윤식, 김록범, 김보경, 서애림, "일개 시지역의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가족 지지의 관련성,"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6권, 제3호, pp.15-23, 2009.
  19. 강경자, 이은진,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이 지각한 가족지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류마티스건강학회지, 제7권, 제1호, pp.5-24, 2000.
  20. 허제은, 태영숙,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81-190, 2014,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81
  21. 이희연, 전혜성 "중년기 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 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275-28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275
  22. 최명화, 조성숙, "중년 직장인의 퇴직 후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226-241,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226
  23. 김정엽,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복지행정논총, 제20권, 제2호, pp.29-62, 2010.
  24. 정순둘,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249-272, 2012.
  25. 김희숙, 유광자,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461-470, 2013.
  26. 이미애, "장기요양보호 대상노인과 수발자 간 장기요양보호 인식에 대한 견해 차이,"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1-72, 2007.

Cited by

  1. The Effect of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and Workplace Spirituality of Quality of Life on Middle Aged-male vol.4, pp.4, 2016, https://doi.org/10.15205/kschs.2016.12.31.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