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 무역항의 성장 패턴과 유형별 시사점

The Spatial Growth Pattern of Korean Small-Medium Size Port and its Implications

  • 이정윤 (부경대학교 국제통상학부) ;
  • 안재성 (경일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Lee, Jung-Yoo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Commer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Ahn, Jae-Seong (Department of Geoinformatics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 투고 : 2016.11.06
  • 심사 : 2016.11.25
  • 발행 : 2016.11.30

초록

국가 경제에서 대외무역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큰 까닭에 우리나라는 협소한 국토 규모에 비해 무역항으로 지정된 항만의 수가 많다. 그러나 일부 중소 무역항들은 저조한 이용실적으로 인해 SOC 중복 투자에 따른 재정 낭비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데, 이는 지역별로 무역항의 대외교역 특성과 비교우위가 세밀하게 분석되지 못한 상황에서 건설 운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시계열 군집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중소 무역항 19개를 대상으로 과거 20년 동안의 교역 규모, 취급화물 품목 수, 교역 대상국 수 증감 등의 변화 패턴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중소 무역항은 분석 지표에 따라 모두 5가지의 성장 패턴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유형별 특성과 시사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대외 무역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지역간 균형있는 발전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중소 무역항의 성장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금번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차원의 항만 개발 및 운영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high importance of foreign trade in the national economy, Korea has a lot of ports designated as trade ports compared to the small land size. However, because of the poor utilization results, some small trade ports have been criticized for wasteful financing due to redundant investment in SOC.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nd comparative advantage of foreign trade in trade ports have not been analyzed in detail by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and types of change in the size of trade, number of cargo items handled, and the number of trade target countries in the past 20 years for 19 domestic small trade ports using the time-series cluster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of analysis, Korean small trade port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wth pattern type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dex, and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each type could be derived. Today, as the foreign trade environment changes drastically and the importanc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emphasized,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growth types and implications of small trade por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regional port development and operation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세민.박지영.정현재.왕영.여기태, 2011, 지역항만 발전을 위한 항만운영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5(5), 439-444. https://doi.org/10.5394/KINPR.2011.35.5.439
  2. 김새로나.방희석, 2004, 평택항 발전을 위한 대중국 수출입화물의 기종점(O/D) 연구, 한국항만 경제학회지, 20(2), 53-71.
  3. 김태승.전병유, 2006, 대중국 화물처리에 따른 국내 항만의 품목별 경쟁력 및 상호 경합성.보완성 연구, 물류학회지, 16(4), 57-77.
  4. 김흥기.공덕암.강용수, 2011, 마산항의 발전방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7(3), 179-206.
  5. 김홍섭, 2003, 지방화시대의 항만공사 도입과 활 성화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19(2), 87-109.
  6. 노윤진.김승철, 2007, 평택항 경쟁력 분석을 통한 화물 유치방안 연구: 항만 활성화 대안의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중심으로, 유통경영학회지, 10(4), 5-26.
  7. 모수원, 2008, 목포항과 지역의 무역구조, 해운물류연구, 56, 85-104.
  8. 박광서.구종순, 2010, 충청 지역권 항만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26(4), 857-883.
  9. 박석호, 2007, 목포항 물동량 변화에 따른 항만개발 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3(4), 177-194.
  10. 여기태.박은보.강래영, 2004, 중소형 항만의 화주 유인증대를 위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군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20(1), 141-151.
  11. 오가영, 2008, 군산항 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물류학회지, 18(3), 209-234.
  12. 오가영.최경숙.김정순, 2009, 소규모 항만 선택의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19(5), 81-102.
  13. 이면수.임동석.곽규석.최훈도, 2010, 국내 중소형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전라도 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4(10), 817-821. https://doi.org/10.5394/KINPR.2010.34.10.817
  14. 이정윤, 2013, 시각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국내 수출관문 유형화, 국제상학, 28(4), 109-131.
  15. 이정윤.안재성, 2007, 시각적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지역별 수출화물 발생패턴 유형화, 한국GIS학회지, 15(3), 311-322.
  16. 조찬혁, 2011, 국제물류에서 신설항만에 대한 배후지 화주의 평가와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평택항에 대한 배후지별 비교를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33, 131-150
  17. 이홍걸, 2011, 마산항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5(8), 677-682. https://doi.org/10.5394/KINPR.2011.35.8.677
  18. 최동오, 2007, 중소형 항만 이용 화주의 목포항선택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0(5), 2119-2134.
  19. 국토해양부, 2011,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2011 -2020),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402호)
  20. 한국무역협회 종합무역정보 http://db.kita.net/
  21. Ahn, J. S., Kim, H, W., and Lee, Y, W., 2009, Classification of changing regions using a temporal signature of local spatial associ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36(5), 854-864. https://doi.org/10.1068/b34131t
  22. Britton, J.N.H., 1965, The external relations of seaport: some new consideration,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56, 109-121.
  23. Fleming, D.K. and Baird, A.J., 1999, Some reflections on port competi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western Europe,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26(4), 383-394. https://doi.org/10.1080/030888399286817
  24. Guerrero, D. and Rodrigue, J-P, 2014, The Waves of Containerization: Shifts in Global Maritime Transportat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5, 151-164.
  25. Hall, P.V., 2004, Mutual specialisation: Seaport and the geography of automobile imports,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95, 135-146. https://doi.org/10.1111/j.0040-747X.2004.t01-1-00296.x
  26. Joh, C.H, Arentze, T., Hofman, F., and Timmermans, H., 2002, Activity pattern similarity: A multidimensional sequece alignment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6, 385-403. https://doi.org/10.1016/S0191-2615(01)00009-1
  27. Weigend, G.G., 1958, Some elements in the study of port geography, Geographical Review, 48(2), 185-200. https://doi.org/10.2307/21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