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구좌읍 하도리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 Perceptions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 강성기 (제주 신광초등학교) ;
  • 정광중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사회과교육전공)
  • 투고 : 2016.10.21
  • 심사 : 2016.11.25
  • 발행 : 2016.11.30

초록

본 연구는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를 사례로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리 밭담은 대부분 외담이면서 곡선형이 많고, 최근에 시멘트 밭담이 출현하고 있다. 둘째, 밭담의 높이는 입지에 따른 특징이 있고, 밭담의 길이는 현장조사와 수치지적도를 통해서 16.514km(두 농업 지구)로 산출되었다. 셋째, 하도리 농가들은 현재까지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데 이는 급격한 사회변화에서도 밭담의 지속가능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밭담의 지속가능한 보전 방안은 밭담 친환경적인 농업환경 개선, 마을별 밭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밭담의 변형과 축조 시 지정된 조례에 의한 시행, 지역주민에게 밭담의 가치 인식을 위한 홍보 및 교육 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existing forms and farmers'perception of the agricultural dry stonewalls under agricultural environment, based on the case of Hado-ri, Gujwa-eup, Jeju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 Hado-ri are most external walls, many of which are curvy. Concrete walls have recently shown up to enclose fields. Second, the height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var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ir length was calculated 16.514km(two farming region) based on a field survey and numerical cadastral maps. Third, farmers in Hado-ri perceive a great need for agricultural dry stonewalls. This means that agricultural dry stonewalls have a sustainable value despite rapid social change. Fourth, the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dry stonewalls involve improving eco-friendly agricultural environment for the stonewalls, building database by village about them, carrying out their transformation and building according to promulgated ordinances, promoting the value of the stonewalls to Jeju citizens, and educating them to perceive the value of the stonewall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성기, 2010,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비교 지역 관점을 위한 문화경관 이해의 유용성-제주 돌담경관과 유럽 보카쥬경관의 사례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성기, 2011, 문화경관으로서 제주 밭담의 의미 탐색,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223-233.
  3. 강성기, 2012, 제주도 서부지역의 농업환경 변화에 대한 지리적 해석 -한경면 고산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3), 99-118.
  4. 고광민, 2004,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대원사.
  5. 고성보, 2007a, 제주밭담의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경관자원 평가시스템 구축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3), 123-133.
  6. 고성보, 2007b, 경관보전직불제 도입을 위한 제주 밭담의 경관가치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4), 1-8.
  7. 국립민속박물관, 200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민속지, 국립민속박물관.
  8. 김유정, 2012, 제주의 돌문화, 서귀포문화원.
  9. 김종석, 1998, 제주도 전통사회의 돌(石)문화,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서윤석, 2005, 친환경농업에 대한 올바른 이해, 토양과 비료, 22, 63-70.
  11. 오성찬, 1990, 제주의 마을 (시리즈 6, 애월리), 도서출판 반석.
  12. 윤봉택, 1998, 제주돌이 깨어지는 소리 -서귀포시 강정마을을 중심으로-, 서귀포문화 2, 서귀포문화원.
  13. 이상영, 2006, 제주 전통돌담의 가치평가 및 보전 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2), 27-35.
  14. 이상영, 2007, 제주 전통돌담의 유지보전에 관한 의식조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1), 33-40.
  15. 이준선, 1999, 프랑스와 한국의 농경지 풍경의 비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7(2), 825-848.
  16. 임근욱, 2015, 청산도 구들장 논과 제주 밭담 농업시스템의 농업관광에 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2), 37-49.
  17. 장덕지, 2007, 濟州馬이야기, 도서출판 제주문화.
  18. 정광중.강성기, 2013, 장소자산으로서 제주 돌담의 가치와 활용방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99-117.
  19. 정광중.김은석, 2008, 북촌리 주민들의 거주환경에 따른 돌문화 관련자원의 형성과 배경,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8(1), 7-26.
  20. 정승훈, 2014, 제주밭담 농업 시스템의 세계중요 농업유산 등재에 따른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지지도, 관광연구저널, 28(11), 5-23.
  21. 제주특별자치도, 2009, 개정증보 제주어사전.
  22. 제주특별자치도, 2012, 2011년 제주특별자치도 지적통계.
  23. 제주특별자치도.한국농어촌공사, 2014, 농어촌다원적자원활용사업 제주밭담 보전관리 종합계획.
  24. 제주특별자치도 해녀박물관, 2009, 제주해녀의 생업과 문화, 하나CNC.
  25. 최용복, 2006, 제주도 농촌지역 내 돌담 문화자원의 활용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57-65.
  26. 최용복.정문섭, 2006, GIS를 활용한 농촌경관 분석 사례연구-제주도 돌담경관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14(3), 349-361.
  27. 홍경모, 2008, 과학교육 학습 자료로서의 제주 전통 돌담에 대한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제주지방기상청 www.jeju.kma.go.kr
  29. 세계농업기구 www.fao.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