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Boys'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Focused on Mediation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남자 중학생의 게임중독과 공격성의 관계: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5.10.26
  • Accepted : 2015.12.01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For this study, 578 middle school boys in Chungcheong area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gam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vert narcissism and aggression. In addition, covert narciss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 Seco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size that sub-factors of game addiction and covert narcissism explained aggression. It could be known that three factors of game addiction(tolerance, disregard of everyday life, damage of control) and two factors of covert narcissism(exploitation/self-centeredness, oversensitivity/vulnerability) showe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aggression.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signed in which factors of game addiction and covert narcissism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aggression were included. Covert narcissism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boys' game addiction on aggression.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게임중독 예방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게임중독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게임중독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남자 중학생 578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중독은 공격성 및 내현적 자기애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고, 내현적 자기애는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게임중독과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들이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게임중독 요인들 중에서는 내성, 일상생활무시, 조절손상, 내현적 자기애 요인들 중에서는 착취/자기중심성, 과민/취약성이 공격성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공격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낸 게임중독과 내현적 자기애 하위요인들을 포함시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 검증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게임중독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옥영, 김재현, "고등학생 대상 인터넷 중독 유발요인간 영향력,"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3-31, 2012.
  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경기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2014.
  3. 김교헌, 최훈석, 권선중, 용정순,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4권, 제3호, pp.511-529, 2009.
  4. 조성훈, 권정혜, "정서조절이 인터넷 게임 과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34권, 제2호, pp.411-428, 2015.
  5. 강희양, 손정락, "인터넷 및 게임 중독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2권, 제4호, pp.733-744, 2007.
  6. 손지향, 송현주, "청소년의 충동성과 게임중독과의 관계:외톨이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심리치료, 제7권, 제2호, pp.91-106, 2007.
  7. 이만제, "대학생 인터넷게임 중독 집단의 의사소통유형 및 문제해결능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108-119, 2009.
  8. 이성대, 염동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8호, pp.229-239,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8.229
  9. 김옥태, "게임중독과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pp.54-62, 2011.
  10. 최원희, 손정우, 김영랑, 이상익, 신철진, 김시경, 주가원,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서의 내현적 자기애에 관한 연구,"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22권, 제2호, pp.103-111, 2011. https://doi.org/10.5765/JKACAP.2011.22.2.103
  11. 양선미, 박경,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이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제18권, 제12호, pp.79-100, 2011.
  12. P. Wink,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2, No.4, pp.590-597, 1991.
  13. 백승혜, 현명호,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7권, 제4호, pp.1001-1017, 2008.
  14.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4권, 제2호, pp.255-266, 2005.
  15.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6권, 제2호, pp.463-477, 2007.
  16. E. W. Kim, K. Namkoong, T. Ku, and S.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game addiction and aggression, self-control and narcissitic personality tratis," Eurepean Psychiatry, Vol.23, pp.212-218, 2008. https://doi.org/10.1016/j.eurpsy.2007.10.010
  17. 권재환, 심리적, 환경적 변인과 인터넷 게임중독간의 관계: 대인관계 기술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8. 황순길, 두진영,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청소년인터넷중독 기숙형 치료학교의 효과성 평가," 정신보건 사회사업, 제37권, pp.145-188, 2011.
  19. 김희자, "고학력 부모를 문 청소년의 게임중독성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184-297, 2013.
  20. 박원배, 중학생의 역기능적 신념, 우울, 공격성과 인터넷 게임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1. C. L. Lasch, The culture of narcissism, New York: Norton, 1976.
  22. 차타순,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심리적 특성과 비행성향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23. H. M. Hendin and J. M. Cheek,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31, pp.588-599, 1997. https://doi.org/10.1006/jrpe.1997.2204
  24. 한수정,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과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25. 심상홍, 이장한,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의 요인 구조: 외현적 자기애 및 내현적 자기애와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26권, 제2호, pp.87-100, 2012.
  26.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0-990, 2002.
  27. P. Rose, "The happy and unhappy faces of narcissism," Per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3, pp.379-391,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162-3
  28. 정남운,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3권, 제2호, pp.221-237, 2001.
  29. 김정균, 장석진,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상담학 연구, 제15권, 제2권, pp.791-810, 2014.
  30. 김주영,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반추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1. 최혜정, 장문선,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 성향집단의 MMPI-2 프로파일 유형과 자아방어기제 특징," 상담학 연구, 제11권, 제2호, pp.539-554, 2010.
  32. C. G. Morris, Psychology: An Introduction (6th Ed.), New Jersy:Prentice Hall, 1988.
  33. A. Buss and M. Perry,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3, pp.452-459,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3.3.452
  34. M. S. Atkins and D. M. Stoff, "Instrumental and hostile aggression in childhoo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Vol.21, pp.165-178, 1993. https://doi.org/10.1007/BF00911314
  35. C. A. Anderson and B. J. Bushman, "Human aggress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5, pp.494-503, 2002.
  36. 김아름, 남자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이 공격성 및 분노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7. 김은정, 김하나, "폭력적 대 비폭력적 게임이 인터넷 게임 중독성향 청소년의 공격적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4권, 제5호, pp.375-405, 2007.
  38. 김은정, "폭력적 컴퓨터 게임과 공격적 비행, 인터넷 비행 및 인터넷 게임중독과의 관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4권, 제2호, pp.359-377, 2005.
  39. F. Eksi, "Examination of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Predicting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Cyber Bullying,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Vol.12, No.3, pp.1694-1706, 2012.
  40. 김효주, 자기애 성향자들의 명시적, 암묵적,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1. 서수균, 권석만,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1권, 제4호, pp.809-826, 2002.
  42. T. S. Stucke and S. L. Sporer, "When a Grandiose Self-Image is Threatened:Narcissism and Self-Concept Clarity as Predictors of Negative Emotions and Aggression Following Ego-Threat," Journal of Personality, Vol.70, pp.509-532, 2002. https://doi.org/10.1111/1467-6494.05015
  43. 강진옥, 청소년의 내, 외현적 자기애와 자기개념 명료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4. M. A. Marsee, E. R. Kimonis, and P. J. Frick, Peer Conflict Scale, Unpublished rating scale, University of New Orleans, 2004.
  45.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6.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Guilford Press, 2010.
  47. P. E.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https://doi.org/10.1037/1082-989X.7.4.422
  48. 홍세희, "구조 방정식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1호, pp.161-177, 2000.
  49.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원리와 응용, 경영학 연구조사방법 뉴트랜드, 이화여자대학교 경영연구소, 2003.
  50. S. Akhtar and J. A. Thomson,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9, pp.12-20, 1982. https://doi.org/10.1176/ajp.139.1.12
  51. 이진숙, 현명호,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161-181, 2012.
  52. 강연우, 자기애와 방어유형 및 대인관계 특성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53. G. F. Barrett-Lennard, "The empathy sscale:Refinement of a nuclear concep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9, pp.91-100, 1981.
  54. 김보형, 인터넷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인터넷게임중독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55. 김치형,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