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Ways to Improve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문화영향평가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기창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안동대학교 창조산업연구소)
  • Received : 2015.11.11
  • Accepted : 2015.12.22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is a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fe by minimizing the negative effects and maximizing the positive effects on the cultural environment when a centr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implement policies or plans. It was introduced in 2013 by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Now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s promoting a pilot project for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to reduce trial and error and settle it as a successful system.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various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s in oder to successfully seated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s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evaluations regarding objects, index, process, scale of objects, and evaluation agency. For the system to run smoothly in the future, additional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scale of evaluation objects, setting up detailed evaluation index, the composition of evaluation committee and its ope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impact evaluators.

문화영향평가는 중앙정부나 지방자치 단체가 각종 정책이나 계획 또는 사업을 수행할 때 국민의 문화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소는 최소화 시키고 긍정적 요소는 극대화 시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로 2013년 문화기본법에 의해 도입되었다. 따라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성공적인 제도로 안착시키기 위해 문화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영향평가 제도의 성공적 안착을 위하여 선행연구, 해외 사례조사, 기타 영향평가제도 분석 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도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전문가 조사를 통해 평가대상, 평가지표, 평가절차, 평가기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완벽한 제도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평가대상의 규모, 세부 평가지표의 설정, 평가 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법, 문화영향평가사 제도 도입 등에 관한 추가적인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기본법 제5조 4항.
  2.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영향평가 추진계획, 2014.
  3.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영향평가 추진계획, 2015.
  4. 이종열, 도운섭, 박병일, 주효진, "문화영향평가 (Cultiral Impact Assessment CIA)도입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8권, 제1호, pp.198-214, 2004.
  5. 이병인, "역사문화환경의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환경학회지, 제5권, 제2호, pp.57-67, 2005.
  6. 김효정, 문화영향평가 실행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3.
  7. C. H. Eccleston, Enviromental Impact Statements, John Wiley & Sons Inc, 2000.
  8. D. Wilson and B. J. McCay, Social and Cultural Impact Assessment of the Highly Migratory Species Fisheries Management Plan And the Amendment to the Atlantic Billfish Fisheries Management Plan, 2002.
  9. 정정숙, 김규원, 김효정, 정성호, 문화영향평가 실행에 관한 연구, 2014.
  10. 김인순, 송철우, 한상욱, 정성언, 신강수, 유현석, 정종관,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 제20권, 제3호, pp.411-424, 2011.
  11. 서미경, "건강영향평가 제도화의 과제 :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복지포럼, 제214호, pp.15-24, 2014.
  12. 김경희, 김돌순, '지방자치단체 성별영향평가의 제도화와 정책과제, 지방정부연구, 제14권, 제2호, pp.55-81, 2010.
  13. 송수종, 홍준현, "고용영향평가제도에 대한 메타평가모형의 설계 및 적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2권, 제3호, pp.259-293, 2012.
  14. 문화기본법 시행령 제2조.
  15. T.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16. S. C. Sim and Y. K. Kim, "A Study on the Evaluation & Selection of Multimedia Authoring Tools using the AHP,"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Vol.21, No.2, pp.191-213,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