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Based Instruction for Adult Learner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증강현실을 활용한 IT 교육 콘텐츠가 성인 학습자의 학업 성취와 학습 흥미 및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이희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 차상안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 권해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Received : 2015.07.20
  • Accepted : 2015.08.19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instruction for adult learners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in learning. The subject populations were 80 students randomly sampled from an IT institute and they were evenly placed into two groups. One cell as an experimental group studied with augmented reality based contents and the other cell as a control group studied under textbook based instruction for two week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is study was the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 group studied with augmented reality based cont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learning than textbook based instruction group.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ow in learning between two groups. The augment reality based instruction group showed higher scores of flow than the other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ugmented reality contents may have different effects for adult learners in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with younger learners.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학습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이 성인 학습자의 학업 성취, 학습 흥미,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증강현실은 학습의 효과를 향상시키기는 유용한 도구로 인정되어 왔으나, 관련 선행 연구의 대부분은 저 연령의 피험자만을 대상으로 학습 결과를 비교하는 형태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 학습자의 학습 효과 향상을 목적으로 증강현실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증강현실 기술이 지닌 교육적 효용성의 논의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문 IT 교육을 이수중인 성인 8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두 개 집단(각 40명)으로 나누어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과 기존 텍스트 형태의 교육을 각각 2주 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학업 성취도 측면에서 증강현실 기반의 학습과 기존 교재 위주의 학습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둘째, 학습 흥미의 경우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의 학습 집단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 몰입에 있어서 증강현실 콘텐츠를 활용한 집단은 기존 교재 위주의 학습 집단보다 더 높은 수준의 몰입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가 성인 학습자 대상의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한 실증적 검증임을 고려할 때, 이는 증강현실 기반 교육 콘텐츠의 효용성에 대한 논의 대상을 보다 다양한 연령대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미란, 김정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아동교육프로그램 모델제안,"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866-871,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2.866
  2. 김경현, "증강현실 콘텐츠 활용수업의 효과성 분석: 초등학교 영어과목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359-370, 2009.
  3. 김정태, 윤형섭, 강임성, 강희흔, 김형택, 김상균, 권종산, 권영준, 이정현, 최재호, 문성훈, 정진용, 이찬우, 전충훈, 류임상, 정진영, 현웅재, 게이미피케이션-세상을 플레이하다,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2014.
  4. 김희수, "웹기반 지구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술의 활용," 한국지구과학회지, 제23권, 제7호, pp.531-542, 2002.
  5. 김희영, 신창옥, "증강현실 콘텐츠 산업기술의 스마트폰 환경 모바일 아트 활용 가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48-5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048
  6. 노경희, 지형근, 임석현, "증강현실 콘텐츠 기반수업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몰입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1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2.001
  7. 박은하, 전진우,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459-468,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459
  8. 서희전,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3호, pp.137-165, 2008.
  9. 성유정, 증강현실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개념이해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0. 윤미선, 김성일, "중고생의 교과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7권, 제3호, pp.271-290, 2003.
  11. 이기천, "3차원 웹기반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골프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코칭능력개발지, 제9권, 제4호, pp.353-367, 2007.
  12. 이용걸, 학습의 기술, 서울: 배영사, 1997.
  13. 이은경, 조윤록, 이영준, "게임형태의 가정학습과 제가 초등학생의 사회과 과제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4권, 제1호, pp.31-49, 2008.
  14. 이지수, 심현애, 김경연, 이강성, "증강현실 기반 학습프로그램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Keller의 동기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과학 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5권, 제1호, pp.99-119, 2010.
  15. 임규혁, 임웅,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2007.
  16. 장상현, 계보경,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학회지, 제5권, 제2호, pp.79-85, 2007. https://doi.org/10.20924/CCTHBL.2007.5.2.079
  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형 e-러닝 기반 개인맞춤형 학습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연구개발사업 연구보고서, 2007.
  18. 황재인, "모바일 증강현실 연구 및 동향,"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1권, 제2호, pp.85-90, 2013.
  19. M. Billinghurst, R. Grasset, and J. Looser, "Designing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SIGGRAPH Computer Graphics, Vol.39, No.1, pp.17-22, 2005. https://doi.org/10.1145/1057792.1057803
  20. Cai Su, Wang Xu, and F. K. Chiang, "A case study of augmented reality simulation system application in a chemistry cour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7, pp.31-40, 2014. https://doi.org/10.1016/j.chb.2014.04.018
  21.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Vol.16, No.1, pp.75-77, 1990.
  22. R. E. Clark, "Reconsidering research on learning from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53, No.4, pp.445-459, 1983. https://doi.org/10.3102/00346543053004445
  23. S. Cuendet, Q. Bonnard, S. Do-Lenh, and P. Dillenbourg, "Designing augmented reality for the classroom," Computers & Education, Vol.68, pp.557-569, 2013. https://doi.org/10.1016/j.compedu.2013.02.015
  24. A. Dunser and E. Hornecker, "Lessons from an AR book study," Proceedings of Tangible and Embedded Interaction(TEI 2007), February, Baton Rouge, Louisiana, USA, TEI-Lessons From AR Book, pp.179-182, February 2007.
  25. P. L. Gardner and P. Tamir, "Interest in biology. Part I: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ol.26, No.5, pp.409-423, 1989. https://doi.org/10.1002/tea.3660260506
  26. S. A. Jackson and H. W. Mar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Vol.18, pp.17-35, 1996. https://doi.org/10.1123/jsep.18.1.17
  27. H. Kafumann and D. Schmalstieg, "Mathematics and geometry education with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Comptuers & Graphics, Vol.27, No.3, pp.339-345, 2003. https://doi.org/10.1016/S0097-8493(03)00028-1
  28. T. P. Novak, D. L. Hoffman, and Y. F. Yung,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s: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Vol.19, No.1, pp.22-42, 2000. https://doi.org/10.1287/mksc.19.1.22.15184
  29. B. Shelton and N. Hedley, "Using augmented reality for teaching earth-sun relationships to undergraduate geography students," Proceedings of First IEEE International Augmented Reality Toolkit Workshop, Darmstadt, Germany, pp.8-15, 2002.
  30. M. J. Stiles, "Effective Learning and the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Paper presented at European Universities Information Systems Congress (EUNIS), Towards virtual universities, In Poznan, Poland on April 2000. Retrieved December 12, 2008. (http://www.staffs.ac.uk/COSE/cose10/posnan.html)

Cited by

  1. Effects of a New Clinical Training Simulator for Dental Radiography using Augmented Reality on Self-efficacy, Interest in Learning, Flow, and Practice Satisfaction vol.19, pp.9, 2018, https://doi.org/10.9728/dcs.2018.19.9.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