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uicidal Impulse of Senior Citize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justment Resilience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 김숙향 (경기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황경란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
  • Received : 2015.11.15
  • Accepted : 2015.12.15
  • Published : 2016.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at adjustment resilience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regarding suicide in senior citizen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sociological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mpulse have been shown to be age, education level, marriage status, and child co-residence. Senior citizens between the ages of 75 and 80 have been shown to have the most suicidal impulses, whereas the tendency to have such suicidal impulses increases as the level of education decreases. Furthermore, those seniors who are unmarried or single due to divorce, death, or separation and those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tended to have stronger, more frequent suicidal impulses. Second, seniors have been shown to suffer stronger suicidal impulse when subjected to more serious social exclusion. Third, it has been verified that adjustment resilience has a strong moder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regarding the suicidal impulses of senior citizens. Last, the results of the inclination test (Hypothesis Test for Slope of Inclination) have shown that adjustment resilience tends to be lower in the group that is more socially exclud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ocial policy creation in order to prevent suicide by senior citizens and set forth the practical implication regarding adjustment resilience as a protection factor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자녀와의 동거유무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75세 이상 80세 미만이 자살 생각을 가장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은 학력이 낮아질수록 자살 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혼, 사별, 별거 등으로 혼자된 노인과 자녀와 비 동거 상태인 노인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울기 검정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높은 집단의 적응유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이 자살행위로 이전되기 전 예방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보호요인인 적응유연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후속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욱, 사회적 배제 개념의 정책적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2. 강철희, 송인한, 이상철, "사회복지기관 이용자의 사회에 대한 냉소주의에 대한 탐색 : 사회적 배제, 경제적 수준, 우울감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11권, 제3호, pp.161-188, 2009.
  3. 강초록, 조여태, "사회적 차별이 자상생각에 미치는 영향 : 성.연령.경제상황에 따른 차별인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35권, pp.1-27, 2012.
  4. 김기원, 김한곤,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회, 제34권, 제3호, pp.31-54, 2011.
  5. 김신열, 김순규, 서효정,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과 적응유연성 : 사회적 지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3호, pp.165-196, 2011.
  6. 김숙향,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복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2.
  8. 김태준, 사회적 배제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김창진, 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0. 김형태, "학교환경인식이 학교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 빈곤 청소년과 비 빈곤 청소년의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제26권, 제1호, pp.269-291, 2015.
  11. 김기원, 김한곤, "노인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한국인구학회, 제34권, 제3호, pp.31-54, 2011.
  12. 김형수,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 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13. 서인균, 고민석, "학대경험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보건사회 연구, 제31권, 제1호, pp.127-157, 2011.
  14. 안지혜, 이자연, 장보형, 한창수, 사망원인으로 분석한 우리나라 노인 자살자의 특성,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4.
  15. 이민숙,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지지의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3권, 제3호, pp.191-208, 2005.
  16. 이현아, 노인 자살 예방서비스 성과에 관한 사례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7. 이현정, "노인 자살위험 집단의 삶의 태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거주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제67권, pp.249-276, 2015.
  18. 이현경, 김미선, 최승순, 최만규,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노인의 자살 생각 유발변인," 보건사회연구, 제34호, 제3권, pp.430-451, 2014.
  19. 이호선, 노인상담, 학지사, 2006.
  20. 이정화,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정신건강 : 우울과 자살 생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자료집, pp.7-37, 2015.
  21. 오영란, "일본의 노인자살예방정책 고찰 : 사회적 배제와 포섭의 관계," 한국사회정책, 제20권, pp.9-47, 2013.
  22. 김충선 옮김, 에밀뒤드겜 자살론, 청아출판사, 1897.
  23. 정미경, 노년기 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을 중심으로, 아주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4. 한삼성, 강성옥, 유왕근, 피영규, "노인의 자살생각 결정요인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 제29권, 제1호, pp.192-212, 2009.
  25. 박현정, 박종익, "자살예방을 위한 법적․제도적 연구 :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조성을 위한 법률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제57권, pp.85-118, 2012.
  26. http://kosis.kr/
  27. 보건복지부, 독거노인이 마음을 터놓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 만들기 : 1차년도 시범사업 보고서, 2015.
  28. 遠藤由美, "자존감정이 사회적 배제.거부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 사회학부개요, 제37권, 제2호, pp.29-4, 2006.
  29. 阿部彩, "일본에 있어서 사회적배제의 실태와 그원인," 계간.사회보장연구, 제43권, 제1호, pp.27-40, 2007.
  30. 橋本 英樹, 사회격차와 건강; 고립사와 사회적 배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시민공개 심포지움@동경대학, 2013.
  31. http://www.peoplepower21.org/Welfare/1181631.
  32. H. Cattell, "The healthier nation and elderly suicide rates some predictive factors," Aging and Mental, Health, Vol.3, No.2, 1998.
  33. Jos Berghman, Social Exclusion in Europe : Policy Context and Analytical Rramework, in Room ed. Beyond the Threshold, Bristol: Policy Press., 1995,
  34. B. Y. Kim and J. S. Lee, A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9, pp.651-661,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51
  35. K. Lewis, "Grief in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49, No.3, pp.8-11,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