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Lower-income Group Participating Self-sufficiency Program in Gangwon Province, Korea

저소득층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원도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 김정유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 이동하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 황정우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
  • 이강욱 (강원도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10.26
  • Accepted : 2016.11.14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Using 1,419 lower-income group participating self-sufficiency program in Gangwon Province,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would affect suicidal ideation of low-income. For the purpo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e ideation, as living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friends neighbors contact frequency, using social services, chronic disease or not, drinking frequency, depression, the suicide of a family or someone close, suicide attempt by set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neighbors contact frequency, depression, the suicide of a family or someone close, suicide attempts affect suicidal ideation. It was an unusual result in lower-income group participating self-sufficiency program do not appear as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to prevent suicide of lower-income and future research agenda.

본 연구는 저소득층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강원도 내에서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1,4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이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차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독거 여부, 주관적 경제상태, 가족 친구 이웃과의 연락빈도, 사회서비스 이용 여부, 만성질환 유무, 음주빈도, 우울 여부, 지인자살 여부, 자살시도 여부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이웃과의 연락빈도, 우울여부, 지인자살 여부, 자살시도 여부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인 자활근로자에 대한 연구에서 주관적 경제상태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것이 특이한 결과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자살에 취약한 저소득층 대상 자살예방과 관련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2015.
  2. OECD, Suicide rates in Health status Data, 2013.
  3. H. O'Connell, A. V. Chin, C. Cunningham, and B. A. Lawlor, "Recent developments: Suicide in older people,"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9, No.16, pp.895-899, 2004. https://doi.org/10.1136/bmj.329.7471.895
  4. 윤병철, "에밀 뒤르켐 자살론의 방법론적 논의," 연구논문집, 제32권, 제1호, pp.161-176, 2003.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 2016.
  6. http://www.spckorea.or.kr/index.php
  7.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pp.159-172, 2002.
  8. 권중돈, 김유진, 엄태영,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1권, pp.297-320, 2011.
  9. 신복기, 이성진, "한국 노인들의 은퇴이후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2호, pp.1-33, 2016.
  10. 오인근, "저소득 노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무망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관 서비스이용의 조절효과," 노인복지연구 제44권, pp.111-130, 2009.
  11. 김숙향, 황경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263-273, 2016.
  12. 서인균, 이연실, "독거노인의 사회적 자원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농촌과 도시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1권, 제2호, pp.219-247, 2016.
  13. 이용찬, 독거노인들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노인돌봄서비스 대상자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4. 김보욱, 사회관계망이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5. 한인영, 이은진, 김소영, "정신건강증진세터 이용자 중 자살시도 유경험자와 무경험자 비교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산업, 제41권, 제4호, pp.201-226, 2013.
  16. 박선희, 양정남, 최은정, "저소득층 밀집지역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살생각 간의 관계-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제22권, 제5호, pp.301-323, 2015.
  17. 홍영수, 전선영,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9권, pp.125-149, 2005.
  18. 장은진, "한국에서의 청소년 자살연구 개관과 향후방향성," 미래청소년학회지, 제8권, 제4호, pp.171-195, 2011.
  19. 조인숙, 채철균, "대도시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청소년 정신건강관련 시설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4권, 제2호, pp.45-55, 2016.
  20. 임영식, "청소년 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평가 그리고 예방,"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권, 제1호, pp.81-109, 2004.
  21. 김현주, "청소년 자살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제27권, pp.69-93, 2008.
  22. 김선영, 정미영, 김경나, "한국 성인의 연령계층별 자살생각 관련 요인-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2012) 자료를 이용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1권, 제2호, pp.1-14, 2014.
  23. 이소영, "성인의 성별에 따른 자살생각과 우울경험 관련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8권, 제1호, pp.71-86,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71
  24. 최희아, 이동숙, 김영주, "한국 성인여성들의 우울증과 자살생각에 대한 분석: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자료분석학회지, 제13권, 제2호, pp.709-720, 2011.
  25. 전현규, 심재문, 이건창, "국내 성인에 있어서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2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64-28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64
  26. 통계청, 사화조사보고서, 2014.
  27. 도문학, 노인자살의 생태체계요인에 대한 탐색연구: 자살고위험군 노인선별을 위한 ROC Curve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8. 우혜경, 조영태,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보건과 사회과학, 제34집, pp.5-35, 2013.
  29. 최윤정, 박지연, "생활고와 복지증진이 한국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1권, 제3호, pp.155-182, 2014.
  30. 최명식, "대학 내 자살에 관한 연구," 인문이해, 제28권, pp.1-49, 2007.
  31. 신상수, 신영전,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 분석," 비판사회정책, 제45호, pp.230-266, 2014.
  32. 김명길, 신혜리,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 간 관계에서 사회 참여와 과거 노후 준비가 가지는 조절효과,"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4호, pp.185-201, 2013.
  33. 박상규, 이병하, "빈곤층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및심리치료학회지, 제16권, 제4호, pp.813-824, 2004.
  34. C. Bagley, "Poverty and Suicide among Native-Canadian - a replic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69, No.1, pp.149-150, 1991. https://doi.org/10.2466/pr0.1991.69.1.149
  35. 주석진, "도시 저소득층 가정 자녀의 우울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생태학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36권, pp.93-120, 2012.
  36. 조맹제, 김계희,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회지, 제32권, 제3호, pp.381-399, 1993.
  37. 박준혁, 김기웅, "한국의 우울증 역학에 대한 고찰," 대한의사협회지, 제54권, 제4호, pp.362-369, 2011.
  38.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2 국민건강통계, 2013.
  39. D. Gunnell, R. Harbord, N. Singleton, R. Jenkins, and G. Lewis,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and amelioration of suicidal thoughts in the general population Cohort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85, No.5, pp.385-393, 2004. https://doi.org/10.1192/bjp.185.5.385
  40. 이주현, 김민지, 이병희, 노진원, "공공부조 수급자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366-374,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366
  41. 강은정, "연령계층별 자살생각과 관련된 요인,"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07호, pp.81-86, 2005.
  42. 엄현주, 전혜정, "중년기 남녀의 자살생각에 관한 예측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2호, pp.35-62, 2014.
  43. 정호영, 노승현,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우울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27권, 제4호, pp.789-805, 2007.
  44. 한보영, 강정한, "한국사회의 고밀도 생활권과 이웃관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한국종합사회조사(KGSS)와 시군구 단위 자료를 결합한 다수준 분석," 한국인구학, 제38권, 제3호, pp.75-111, 2015.
  45. R. K. Vanderhorst and S. McLaren, "Social relationships as predictor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Aging Mental Health, Vol.9, pp.517-525, 2005. https://doi.org/10.1080/13607860500193062
  46. D. Benjamin and P. Harold,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n General Medical Illness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60, pp.1522-1526, 2000. https://doi.org/10.1001/archinte.160.10.1522
  47. 최혜금, 이현경,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문제음주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대한보건연구, 제42권, 제1호, pp.29-40, 2016.
  48. R. Vilhjalmsson, E. Sveinbjarnardottir, and G. Kristjansdottir,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in adult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33, pp.97-103, 1998. https://doi.org/10.1007/s001270050028
  49. 중앙심리부검센터, 2015년 심리부검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