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Building Area per Student for the Revision of School Facility Standard

학교시설 면적기준 개정을 위한 학생 1인당 시설면적 비교 분석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8.14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existing school facility recommendations enacted in 1997 has not been suitable for current school curriculum. The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present the school building area reflecting the current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um. This paper firstly reviewed previous school facility recommend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ly, the statistical approach was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school building area by using statistical database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he paper did the field investigation and questionnaire. And, the final step proposed the school building area standards(minimum, optimum, maximum) by space program using Nelson model. The contents of analyzing space organization are 'entry and placement, outdoor space', 'space program' and 'phas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unit space'.

1997년 제정된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설립 운영규정"에 명시된 학교시설 면적기준은 현행 교육과정과 갈수록 다양해지는 교육정책들을 그 목적과 기능에 맞게 구현하기에는 그 수준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학교시설 면적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의 학교시설 면적기준 및 관련 문헌을 조사, 분석한다. 둘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통계 DB를 활용하여 학교급별 교지면적, 연면적, 학생 1인당 면적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셋째, 도면분석, 현장실태 및 설문조사를 통해 기존 학교시설의 실태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Nelson의 자기수정모형 방식을 활용하여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급별 시설 면적기준(안)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교육청, 교육시설 설계매뉴얼, 2008.
  2.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사연면적 관련 내부자료, 2010.
  3.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설립.운영규정", 대통령령 제22234호.
  4. 대구광역시교육청, 교사연면적 관련 내부자료, 2010.
  5.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사연면적 관련 내부자료, 2010.
  6. (사)한국교육환경연구원, 학교건축계획, 2009.
  7. 이화룡 외, 초.중등학교 시설기준 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8. 전북교육청, 교사연면적 관련 내부자료, 2010.
  9. 조진일 외, 학교시설기준 개정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
  10. (사)한국교육환경연구원, 초, 중, 고등학교 기본계획연구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