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extbooks for Women and the Formation and Origin of Modern

근대계몽기 여성용 교과서, 근대적 ‘여성(女性)’의 기원과 형성

  • Published : 2015000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a concept of modern womanbeing born and changing in Joseon with four types of textbooks forwomen published during Korea's enlightenment period. Being called invarious similar concepts, "women" during Korea's enlightenment periodstarted to garner the spotlight with the new possibility as "modernsubjects" in line with the social situations of nationalism andcolonialism. The new concept of women was under the influence oftraditional family concepts and patriarchal authority. The words thatconnoted the values sought after by the discourse most strongly werethe higher norms of the times such as nationalism and patriotism, andthey stitched up women's realistic lives and issues. The textbooks forwomen offered combinations of such similar words of women as"womenfolk," "ladies," and "female" and their sub-contexts including"wise mothers," "good wives," "wise wives," and "modesty" as valuenorms and behavior language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modernwomen influenced by the Confucian ideas and the modern Japanese andChinese ideologies created a discourse on women in close relations withthe people and family. The textbooks put an emphasis on women's rolesas the heroines to save the nation, wise mothers, and wise wives ratherthan women's attempts to be independent in claiming their social rightsand gender identity. New women of modern self-awareness were not the beings of social identity and individual independence but themembers of nation contributing to the liberation of people as "wisemothers and good wives." The textbooks for women generalized andtaught a new discourse on women but had their limitation of combiningthe traditional female images with those of modern women. Thosediscourses on women, however, developed in various ways and becamehistorical grounds for the emergence of "the modern girl" in the 1920sand 1930s.

이 글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여 근대계몽기에 발간된 네 종의 교과서를 텍스트로 삼아 당시 부녀자, 여자, 부인 등으로 불리던 집단이 ‘여성’이라는 추상적 층위로 구성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 과정에서 형성된 ‘여성 담론’ 및 관련 하위개념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근대적 지식의 전달과 교육에 역점을 둔 교과서는 새로운 지식과 문물의 본격적인 교육 장(場)으로서 ‘사회적 재교육’ 역할을 수행한다. 여성들에게 있어서도 교과서는 새로운 국민으로서의 여성성 ‘형성’과, 관련된 하위 맥락 및 개념의 지속적인 생산을 주동한 인식적 토대였다. 이 시기 ‘여성’ 담론의 보편적 주제였던 여성해방, 여성권리 확보, 여성의 근대적 교육론, 현모양처론 등은 근대적 ‘국민국가’ 기획과 ‘문명’ 담론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 여성용 교과서의 언설들 역시 근대적 ‘교육’ 담론 하에서 ‘국민국가’, ‘민족’ 담론과 연동하여 구성되었다. 여성 관련 담론과 언표들은 여성 혹은 여성성이 표상하는 고유의 가치와 그에 따른 개별적 자질을 보유하며 독자적으로 구성되지 못하고 오히려 국가, 애국, 민족, 국민, 독립 등 시대가 요구한 추상적, 상상적, 보편적 이념들에 의해 규제받는다. 교과서 내 여성 담론과 언표들은 근대계몽기 민족주의 형성과정에서 ‘여성’이 민족의 정체성과 재현을 구현하는 대표적 상징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교적 여성 개념에서 파생한 행위윤리, 국가와 민족으로 추상화된 집단적 여성 등을 내용으로 하여 정체성을 갖추기 시작한 근대적 여성성은 이후 ‘신여성’ 개념으로 이어지며 본격적 여성주의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