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연구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25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and expectation effect to organize and operat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ty subject teachers about support plans for effective operation of the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86 specialty subject teachers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pecialty subject teachers in the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recognized that the positive expectation effec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very much be applied to the school curriculum but it is impractical to organize and operate the NCS-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s the school curriculum from 2016. Second, the specialty subject teachers in the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recognized that industrial education needs can be analyzed, industry duties-based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s can be set up, industrial duties-based education can be done, the capability to develop and operate teachers' curriculum can be improved, and the NCS-based curriculum will be effective for industrial and academic cooperation and connection with communities by applying it but the realistic possibility will relatively be low. Third, the specialty subject teachers in the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recognized that tools for practice should be reorganized and expanded, the number of students targeting practical classes should be reduced by 15 to 20 persons, teachers' field education capability should be strengthened,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industrial and academic cooperation-based field-centered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and support of the NCS-based teaching materials to be textbooks should be required in terms of operating schools to operate the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effectively. Support of finding jobs and field education which correspond with the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field instruction by ability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should be supported, field practice education projects about the NCS-based vo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nd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e industrial employe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should be required in terms of the support plans of relevant organizations.

본 연구에서는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에서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가능성과 기대 효과, 그리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의 전문교과 교원 2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를 기반으로한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이 긍정적인 기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이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될 필요성이 크다고 인식한 반면, 2016학년도부터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학교 교육과정으로 편성 운영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무리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적용함으로써 산업체 교육 요구 분석, 산업체 직무 기반의 교육목표 및 내용 설정, 산업체 직무 기반의 평가, 교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역량 향상, 산학협력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측면에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식한 반면,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공업계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들은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학교 운영 측면에서는 실습기자재 재정비 및 확충, 실습수업의 대상 학생을 15~20명 수준으로 감축, 교원의 현장 교육 역량 강화, 교원 수급 지원, 산학협력에 기반한 현장 중심 교육의 내실화, 학습모듈 등 NCS 기반 교재의 정규 교과서화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유관기관의 지원 방안 측면에서는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취업 지원 및 현장 교육의 제공, NCS 능력단위별 현장 교수 지원,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에 터한 현장 실무 교육프로젝트의 제공, 산업체의 직무능력 평가제 도입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태(2015). 특성화고 NCS 기반 직무능력평가에 대한 산업체 요구. KRIVET Issue Brief, 2015년 71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교육부(2013).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교육부 업무보고.
  3. 교육부(2014).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인재. 교육부 업무보고.
  4. 교육부(2015). 모두가 함께하는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2015년 교육부 업무보고. 교육부 업무보고.
  5. 교육부.고용노동부(2014). 스펙.학력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조성방안 발표. 2014년 12월 18일자 보도자료.
  6. 교육부.충남대학교(2015). NCS 기반 교육과정 핵심 요원 양성 및 역량 강화 연수 자료집. 대전: 충남대학교.
  7. 교육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능력중심사회구축을 위한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교원임용체제 체제 개선 공청회 자료.
  8. 박동열(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역량교육 추진 실태와 과제. The HRD review, 2013년 5월, 52-71
  9. 장명희 외(2013).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장명희 외(2014a).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장명희 외(2014b).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중등직업교육 교원의 양성.임용.연수 개선 요구분석. 직업교육연구, 33(6), 159-182
  12. 정향진(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따른 실행 과제 및 추진 전략. The HRD review, 2013년 5월, 51-71
  13. 주인중 외(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The HRD review, 2010년 9월, 21-39
  14. 최동선 외(2013). 실전.창의인재 양성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고용노동부.
  15.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