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영계 (2010). 행복한 강의. 서울: 새문사.
- 강영욱 (2009). 유아의 행복감과 행복개념에 대한 인식. 한영논집, 13, 451-477.
- 구재선 (2005).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구재선, 김의철 (2006).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1-18.
- 구재선, 서은국 (2011). 한국인, 누가 언제 행복한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143-166.
- 권연희 (2013). 유아의 행복에 대한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행동의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2(3), 525-537.
- 권현정 (2001). 재생산의 위기와 페미니즘적 경제학의 재구성-'사회적 재생산'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명주 (2009). '욕망'개념을 통해서 본 들뢰즈 철학의 의미: 탈주와 생성. 철학논총, 57, 31-50.
- 김성숙 (2013). 유아가 인식하는 행복의 의미탐색. 유아교육연구, 33(3), 377-400.
- 김세서리아 (2009). 한국 가족에서 모성과 여성의 일에 대한 철학적 고찰-자녀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 12, 31-58.
- 김세영, 정태연 (2013). 한국어머니에게 자녀가 갖는 삶의 의미.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149.
- 김영기 (1997). 노자의 천인관 연구. 범한철학, 15, 63-88.
- 김영희 (2008). 욕망에 관한 모색: '욕망의 생성'에 관한 연구. 대동철학, 43, 29-57.
- 김의철, 박영신, 권용은 (2005). 한국세대별 어머니 집단의 가족관련 가치의식 비교: 자녀가치와 양육 태도 및 부모부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09-142.
- 김주후, 김경란, 유윤영 (2011). 조기교육 실시에 따른 취학전 유아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의 신념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1), 99-116.
- 김지영 (2010). 사회적 재생산-생산하는 재생산의 역학. 사회적재생산연구회(편), 여성 노동 가치를 15-38).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 김진경 (2015).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취업여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4), 63-80.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63
- 김진혁 (2011). KBS 다큐멘터리:행복해지는 법-만성불행증후군을 앓고 있는 한국인을 위한 행복취재보고서. 서울: 리더스 북.
- 김현수 (2004). 도덕경의 '욕'에 관한 고찰. 도교문화연구, 21, 227-234.
- 나윤경, 태희원, 장인자 (2007). 자녀 사교육을 통한 모성 구성과정-평생학습자로서의 성인 여성에 대한 이해의 한 방식. 평생교육학연구, 13(4), 55-87.
- 노자 (1995). 도덕경. (오강남 역). 서울: 현암사
- 목영혜 (2010).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교육철학, 48, 49-67.
- 박삼열 (2012). 스피노자의 욕망 윤리학과 정신분석. 근대철학, 7(1), 167-188.
- 박영신, 김의철 (2002).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교육심리연구, 16(4), 325-351.
-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 관계-자기개념과 가족 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 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
- 박영신, 김의철, 김미숙 (2012). 유아 어머니와 외할머니 세대의 자녀관련 인식 비교: 이상적 자녀수, 자녀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노후부양에 대한 기대, 긍정적 자녀가치와 부정적 자녀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127-152.
-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2004). 한국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와 성취에 대한 종단연구. 자기 효능감과 성취동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37-59.
-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02). IMF 시대 이후 한국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1), 103-139.
- 박재국, 서보순, 최은실, 박희경 (2012). 발달지체 유아의 행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유아특수교육연구, 12(2), 79-107.
- 박재국, 정계숙, 서보순, 김은라 (2013).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4(2), 199-223.
- 박찬국 (2011). 에리히 프롬과의 대화. 서울: 철학과 현실사
- 박희경, 윤갑정 (2012).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자녀관계와 결혼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3(2), 243-261. https://doi.org/10.5723/KJCS.2012.33.2.243
- 방영준 (2008). 한국인의 행복관. 도성달 등(편). 웰빙문화시대의 행복론 (pp.283-316). 서울: 경인문화사
- 손민호 (2005). 구성주의와 학습의 사회이론. 서울: 문음사.
- 손소영 (2013). 시대별 모성역할이미지에 관한 TV광고 내용 분석. 한국디자인포럼, 41, 227-240.
- 송명숙, 옥선화 (2010). 취학직전 유아기 자녀의 학업 교육에 대한 부모 신념과 참여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361-384.
- 송인숙, 제미경 (2006) 기혼여성의 물질주의 성향과 비윤리적 상거래행동. 소비문화연구, 9(3),185-206.
- 스포츠한국 (2012.08.26). '빚내서 사교육' 305만명 교육가구 중 교육빈곤층 13%... 중산층 붕괴 우려. http://sports.hankooki.com 에서 2012년 8월 29일에 인출함.
- 안광복 (2007).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 안외순 (2010). 공자의 행복관: 論語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41, 303-332.
- 안지영 (2003). 유아기 자녀의 조기교육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신념, 양육 스트레스 및 성취압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1(11), 95-111.
- 양미선 (2013). 보육료 교육비 지원 확대에 따른 유아 사교육비 지출규모 변화. 육아정책연구소이슈페이퍼 2013-16, http://www.kicce.re.kr 에서 2014년 4월 18일 출력함.
-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 (2013). "돈에 대한 태도" 및 "물질소유"에 관한 20대 vs 50대 인식비교. 리서치보고서, 2, 216-265.
- 연효숙 (2009). 헤겔과 들뢰즈에서의 욕망의 형이상학과 그 사회철학적 함축. 대동철학, 49, 325-346.
- 염유식 (2014). 2014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한국방정환재단.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http://korsofa.org에서 2015년 6월 26일 출력함
- 우갑정 (1999). 한국인의 사회문화가치관 분석. 산업개발연구, 5(1), 1-12.
- 우남희, 김영심, 이은정, 김현신 (2010). 한국 어머니들의 아동발달에 대한 인식과 자녀 사교육의 실제. 생태유아교육연구, 9(2), 81-104.
- 육아정책연구소 (2011). 어린이집 이용 만 2살 아이들의 특별활동 프로그램. http://www.kicce.re.kr 에서 2013년 5월 6일에 인출함.
- 윤소정, 김정섭 (2012). 한국형 Zimbardo 시간관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 587-606.
- 이경숙, 김종혁, 손종현, 윤선진 (2010). 자녀교육과 구속적 가족의 삶.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67-292.
- 이두휴 (2008).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 135-165.
- 이명숙 (2000). 구성주의의 심리학적 근저. 김종문 외(편). 구성주의 교육학(pp.35-63). 서울: 교육과학사.
- 이병래, 엄은나 (2008). 어머니와 예비 어머니의 부모관 및 자녀관. 유아교육학논집, 12(3), 175-194.
- 이보영, 천혜정 (2012). 30, 40대 어머니의 자녀 가치관 및 수입유명브랜드 가치관이 수업유명브랜드 육아용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정책교육연구, 8(3), 27-46.
- 이봉범 (2011). 한국전쟁 후 풍속과 자유민주주의의 동태. 한국어문학연구, 56, 335-387.
- 이수정, 안신호 (2005).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개관. 심리과학연구, 4, 123-143.
- 이재경 (2004). 노동자계급 여성의 어머니노릇(mothering)의 구성과 갈등: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2(1), 82-117.
- 이진남 (2009). 지성과의 화해: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욕구개념. 범한철학, 54,169-194.
- 장자 (1999). 壯者. (오강남 역). 서울: 현암사.
- 전병욱 (2010). 仁과 恕 : 욕망의 호혜적 공감능력. 철학연구, 41, 1-34.
- 정계숙, 문혁준, 김명애, 김혜금, 심희옥, 안효진 등 (2013).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 정계숙, 박수홍, 유미숙, 최은실 (2013). 유아-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 영향 변인: 자녀의 연령, 자녀수 및 어머니 행복 조건에 대한 인식. 아동학회지, 34(4), 105-123. https://doi.org/10.5723/KJCS.2013.34.4.105
- 정계숙, 유미숙, 박수홍, 최은실 (2012). 자녀 생애 주기별 어머니의 행복조건에 대한 인식 경향. 아동학회지, 33(4), 69-89. https://doi.org/10.5723/KJCS.2012.33.4.69
- 정계숙, 최은아, 강인설 (2008). 아동의 행복 상황 및 판단에 대한 조사 연구: 문화적 특수성 접근. 아동학회지, 29(6), 207-223.
- 정미라, 강수경, 최은지 (2013). 영유아기 어머니의 원가족 양육경험과 생활만족도가 자녀가치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2), 193-215.
- 정연재 (2008). 윤리학과 해석학. 서울: 아카데미.
- 정정희 (2012). 저출산시대 우리나라 부모들의 자녀 양육관에 대한 내용분석: 2000년 - 2010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아동교육, 21(1), 109-124.
- 조상식 (2003). 가족이데올로기와 교육문제. 교육비평, 11, 96-110.
- 조성연, 신혜영, 최혜영 (2009). 한국 초등학교 아동의 행복감 실태 조사. 아동학회지, 30(2), 129-144.
- 조 은 (2003). 사회이동에 대한 참을 수 없는 욕망: 세계화, 교육열 그리고 학부모. 제20차 KEDI 교육정책 포럼 자료집, pp.32-46.
- 조준호 (2010). 평상심과 도-욕망의 질적 전환을 통한 삶의 대긍정. 철학연구, 41, 133-165.
- 차경호 (2004).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1(3), 321-337.
- 차용준 (2002). 전통문화의 이해. 4권. 경기도: 한굴학술정보(주)
- 채성주 (2009). 근대교육 형성기의 모성 담론. 서울: 학지사.
- 최말옥, 문유석 (2011). 부산지역주민의 행복감 영향요인분석. 지방정부연구, 15(1), 277-299.
- 최희철, 황매향 (2011).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 삶의 만족의 종단적 관계. 한국초등교육, 22(2), 75-90.
- 한국교육개발원 (2012). 2012년 OECD 교육지표. http://cesi.kedi.re.kr에서 2015년 10월 15일 출력함.
- 한겨레 (2015.03.23.). 한국인 행복감 '바닥권'... 팔레스타인과 같은 수준. http://www.hani.co.kr에서 2015년 9월 28일 출력함.
- 한경혜, 장미나 (2011).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들의 행복감. 한국가족복지학, 16(4), 5-27.
- 한덕웅 (2004). 한국인의 중요한 가치.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3-140
- 한명숙 (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자아분화와 어머니-자녀 상호작용과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1(3), 57-76.
- 황경아, 홍지아 (2011). TV매체에 재현된 한국사회의 모성실천: 리얼다큐멘터리 <슈퍼맘 다이어리>의 슈퍼맘 노릇하기를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19, 213-262.
- 황순향 (2014). 탈구조주의 이론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 철학논총, 76, 649-677.
-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 (2013).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2(4), 93-122.
- 홍병선 (2011). 행복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시민문학, 21, 93-123.
- 후쿠타 세이지 (2009). 핀란드 교실 혁명. (박재원, 윤지은 역). 서울: 비아북. (원전 2008년 출판)
- Bigner, J. J. (2006). Parent-child relations: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7th ed.). NJ: Pearson Education, Inc.
- Boinwell, I., & Linley, P. A. (2007). Time perspective and well-being. London: University of East London.
- Boyd, J., & Zimbardo, P. (2010) 타임 패러독스: 시간이란 무엇인가? (오정아 역). 서울: 미디어윌. (원전 2008년 출판)
- Boyd- Wilson, B. M., Walkey, F. H., & McClure, J. (2002). "Present and correct: We kid ourselves less when we live in the moment."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5), 691-7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183-0
- Bronfenbrenner, U. (1998). The ecology of developmental process. In R. M. Lerner(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5th ed.,993-1028). New York: Wiley.
- Burr, V. (2003). Social constructionism. New York: Routledge.
- Deleuze, G., & Guattari, F. (2002). 천개의 고원. (김재인 역). 서울: 새물결. (원전 1980년 출판)
- Diener, E., Scollon, C. N., & Lucas, R.E.(2003). The evolving concept of subjective well-being:The multifaced nature of happiness. Advances in Cell Aging and Gerontology, 15, 187-219. https://doi.org/10.1016/S1566-3124(03)15007-9
- EBS 마더쇼크 제작팀 (2012). 마더쇼크-EBS 다큐프라임: 엄마의 행복한 자아를 찾기 위한 모성의 대반전. 서울: 중앙북스.
- Foley, M. (2011). 행복할 권리. (김병화 역). 서울: 어크로스. (원전 2010년 출판)
- Fromm, E. (2012). 소유냐 존재냐. (최혁순 역). 파주: 범우사. (원건 1978년 출판)
- Gadamer, H. G. (2000). 진리와 방법 1. (이길우, 임호일, 이선관, 한동원 역). 서울: 문학동네. (원전 1960년 출판)
- Guba, E. G. & Lincoln, Y. S. (1989).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London: Sage.
- Haver, K. D., Boyd, J. N., & Zimbardo, P. G. (2003). Participant self-selection biases as a func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ime perspectiv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5(3), 255-264. https://doi.org/10.1207/S15324834BASP2503_08
- Karniol, R. (1996). The motivational impact of temporal focus: Thinking about the future and the pas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 593-620.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7.1.593
- Korthgen, F. A.(1999). Linking reflection and technical competence: The logbook as an instrument in teac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3(3), 191-207.
- Laghi, F., Baiocco, R., D'Alessio, M., & Gurrieri, G. (2009). Suicidal ideation and time perspective in high school students. European Psychiatry, 24(1), 41-46. https://doi.org/10.1016/j.eurpsy.2008.08.006
- Lewin, K. (1942). "Time Perspective and Morale"in Resolving Social Conflicts. G. W. Lewin, ed.
- Lyubomirsky, S. (2008). How to be happy :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오혜경 역). 서울: (주)지식노마드. (원전 2007년 출판)
- Ryan, R. M., & Dici, E. L. (2001). On happiness and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 Ryff, C. D. (1997). Experience and well-being: Exploration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2), 193-206. https://doi.org/10.1080/016502597385289
- Schreiber, R. S. & Stern, P. N.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신경림, 김미영 역). 서울: 현문사. (원전 1999년 출판)
- Seligman, M. (2008). 완전한 행복. (곽명단 역). 경기도: 도서출판 물푸레. (원전 2004년 출판)
- Strauss, A., & Corbin, J. (2001). 질적 연구: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 1998년 출판)
- Snyder, C. R. (2000). The past and possible futures of hope.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1), 11-28. https://doi.org/10.1521/jscp.2000.19.1.11
- Willing, C. (1999). Discourse analysis and sex education. In C. Willing (Ed.), Applied discourse analysis: Social and psychological intervent- ions.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피인용 문헌
- Research Trends on Young Children’s Happiness: Focusing on Young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vol.39, pp.1, 2018, https://doi.org/10.5723/kjcs.2018.39.1.1
- Structural Relationships of Related Variables Affect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cusing on Mother's Happiness , Parenting behavior and Family Interaction vol.27, pp.4, 2017, https://doi.org/10.21024/pnuedi.27.4.20171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