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의 관점에서 본 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 근거이론적 접근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Process of Conflict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arent o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 투고 : 2015.08.14
  • 심사 : 2015.10.17
  • 발행 : 2015.10.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학부모 간에 발생하는 갈등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7개 사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100명으로부터 학부모와의 갈등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2001)이 제시한 절차에 따라 수집한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75개 개념과 15개 하위범주, 그리고 '갈등의 원인', '갈등의 조건', '갈등 사태', '갈등의 증폭', '갈등의 해결전략', '갈등의 종료'의 6개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축코딩을 통해서 패러다임에 따라 범주를 통합하고 '갈등의 주 원인제공자'와 같은 범주의 속성과 차원을 도출하였다.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조율되지 않은 악기들의 전주', '불협화음과 협화음의 이중주', '아름다운 피날레 대 기약 없는 인터미션'의 3가지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의 윤곽을 기술하였으며, 연구결과 전체를 통합하는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이 실제 경험한 사례들에 근거하여 구축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갈등과정 이론의 특징을 기술하는 한편, 갈등의 사회적 배경으로 신자유주의적 교육패러다임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제기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process of conflict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parent (T-P conflict) and was guided by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a) how does a T-P conflict begin? (b) how does a T-P conflict develop over time? and (c) how does a T-P conflict end? One hundred cases were provided by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ith experiences of T-P conflict. A qualitative grounded theory design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data.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resulted in six categories: (a) "causes of conflict" (b) "conditional context of conflict" (c) "state of conflict" (d) "amplification of conflict" (e)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conflict", and (f) "cease of conflict". The stage of selective coding drew out three core categories: (a) "prelude with tuneless instruments" (b) "duet for discords and concords, and (c) "splendid finale vs. unplanned intermission". Additionally the study raised the doubts about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policies based on neo-liberalism and their impacts o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병만 (2014). 유아교육정책 평가준거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신영 (2005). 교육실습직후 그리고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25(4), 211-234.
  3. 김영희 (2000). 유아의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희태 (2004). 유아교사의 갈등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8(2), 5-34.
  5. 박소라 (2001). 형제갈등의 해결과정과 어머니의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향아, 제경숙 (2003). 유아교사와 학부모와의 관계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교육이론과 실천, 12(3), 67-80.
  7. 서정림 (2005). 유아교사의 초임 교직원 적응 경험의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송경섭 (2007).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송연숙, 유수경 (2008). 유아교사용 역할갈등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유아교육연구, 28(4), 189-214.
  10. 안지혜 (2012). 교사-부모 의사소통에서 교사가 경험한 어려움과 극복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2(2), 21-46.
  11. 연혜민 (2007). 창작그림에 나타난 갈등관계 및 갈등구조분석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유희정 (2002). 동화를 활용한 갈등해결 교수전략이 3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양상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경화 (2001). 부모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교육인류학연구, 4(3), 179-199.
  14. 이경화, 손유진 (2015). 유아교사의 부모에 대한 메타포 의미 분석. 유아교육연구, 35(3), 5-25.
  15. 이승희 (2012). 유치원 교사의 발단단계에 따른 원장과의 갈등수준과 갈등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찬주 (2002). 어머니-유아교사 관계에 대한 상호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조용현 (2011). 보육교사 간의 갈등수준과 갈등해결 방법 및 직무만족도.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지용근 (2004). 인간관계론. 서울: 박영사.
  19. 한지현 (2014). 유아교사가 학부모에게 느끼는 갈등수준과 교사효능감 사이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Cresswell, J. W. (2005). 질적 연구방법론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원본발간일 1998)
  21.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Hawthorne, NY: Aldine de Gruyter.
  22. Holton, J. A. (2006). Rehumanising knowledge work through fluctuating support networks: A grounded theory.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Northampton, UK.
  23. Micklo, S. J. (1993). Perceived problems of public school pre-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8, 57-68. https://doi.org/10.1080/02568549309594855
  24. Rubin, A., & Babbie, E. (2008). Research methods in social work (7th ed.). Belmont, CA:Brooks/Cole Pub.
  25. Strauss, A. L., & Corbin, J. M. (2001). 근거이론의 이해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신경림, 김수지 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원본발간일 1998)

피인용 문헌

  1.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 책임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 차이 vol.15, pp.6,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