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학생의 시험선발과 자동진급방법에 따른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fted Students Academic Emotion, Metacognit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Selection Methods between the examination selection and the automatic promotion

  • 투고 : 2015.06.10
  • 심사 : 2015.08.20
  • 발행 : 2015.08.31

초록

연구의 목적은 영재교육대상자의 선발 방법이다. 즉, 시험 선발과 자동 진급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발 방법에 따른 영재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및 선발에 있어서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선발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 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연구에서는 시험 선발 영재학생과 자동 진급 영재 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라는 동질 집단 조건에서는 선발방법의 차이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동일한 선발된 방법에 따른 비교에서, 영재학생의 학업정서를 살펴보면, 시험선발의 경우 초등과 중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동진급에서는 중등의 영재교육기관별 분석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 학생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5). 메타인지능력에서 있어서는 초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중등의 경우 시험선발에서 남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고(p<.05), 자동진급에서는 영재교육원 학생이 높았음을 알았다(p<.05). 또한 자기효능감에서는 선발 방식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단지 자동진급에서 영재교육원 학생이 영재학급학생보다 높았음을 알았다(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ection methods of gifted stu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methods, i.e. the examination selection and automatic promotion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ademic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between gifted student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methods. Moreover, for the purpose of the effective gif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rrange a reasonable basis for the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selected by an examination and promoted automatically in view of academic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selection methods under the condition of the same group of gifted students. Second, regarding the academic emotion of gifted student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in case of examination selection. However, in case of the automatic promotion, the academic emotion of gifted students promoted automatically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ifted students in the gifted class (p < .05). Regarding the meta-cognitive skill,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between the selection methods. In case of the examination selection in the middle school, the meta-cognitive skill of male students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and gifted class students (p < .05). In case of the automatic promotion in the middle school, the meta-cognitive skill of students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p < .05). As for the case of self-efficac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selection methods. In the automatic promotion, self-efficacy of students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of the gifted class (p < .05).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영재교육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 김아영 (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 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3. 김아영, 차정은 (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1-64.
  4. 김은진 (2013). 학업상황의 정서조절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와 학습전략을 매개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은애 (2013). 정서지능과 학업정서의 관계구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아, 정옥분, 정순화 (2007). 아동의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관계 :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학회지, 38(2), 23-47.
  7.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양명희, 김은진 (2010). 정서조절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 정서를 매개로 하는 관계 검증. 교육심리연구, 24(2), 449-467.
  9. 유소라 (2012). 초중학생의 메타인지능력과 어머니의 학습관여가 자기주도적학습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점형 (2013). 정서지능, 학급풍토 및 사회적 지지가 교우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정운 (2013). 초등학교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 교육원 학생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학습 전략의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종민 (2012). 영재 선발방법에 따른 과학영재들의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과학학습 동기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현규 (2014). 영재교육프로그램의 장기적인 적용이 영재교육원, 영재학급, 일반학급 학생의 수학적 학습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장낙한, 유진우, 류해일 (2006).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학생 선발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16(2), 101-122.
  15. 전연진 (2011). 초등영재 판별방법으로서 동료추천의 효용성 탐색.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조승우, 김아영 (1997).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학회지, 27, 71-88.
  17. 최정은 (2011). 중학교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 비교분석.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최정인 (2010). 중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메타인지와의 상관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하만종 (2005). 영재 판별의 쟁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함의.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1. Schraw, G,. & Dennison, R.S.(1994).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9(4), 460-475. https://doi.org/10.1006/ceps.1994.1033
  22. VanTassel-Baska, J., Bass, G., Reis, R., Poland, D., & Avery, L. D.(1998). A national study of science curriculum effectiveness with high abilit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2(4), 200-211. https://doi.org/10.1177/00169862980420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