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oundary-Spanning Roles in Strategic Approach to Coping with Environmental Uncertainty in the Area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환경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공연예술 콘텐츠 조직의 경계탐색 전략

  • 박문식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 Received : 2015.07.13
  • Accepted : 2015.08.19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how to cope with and manage environmental uncertainty to be effectiv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omplexity and change create a greater need to gather information and to respond based on that information. Despite of the governmental campaign 'creative economy, flourishing culture', governmental subsidies are becoming more unstable. The prosperity of culture means that artists can create great works and people can enjoy them without boundari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Boundary-spanning roles through the strategic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Key factors of strategy are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Boundary-spanning roles link and coordinate an organization with important element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exchange of information to detect and bring into the organization information about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send information into the environment that presents the organization in a favorable light. Two themes in this article are that organizations can learn and adapt to the environment and that organizations can change and control the environment.

본 논문은 공연예술 콘텐츠 조직이 공공 지원 축소라는 환경 불확실성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지속적인 콘텐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창조경제, 문화융성'의 실현이 문화예술진흥기금의 고갈로 어려움에 처하고, 예술 콘텐츠 환경의 불확실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 진흥이란 훌륭한 콘텐츠가 원활하게 창조되고 매개되어 모두가 공연예술 콘텐츠를 풍부하게 향유하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다. 영역과 경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정보 분석과 지식활동의 확산을 통해 환경에 대응하는 통합된 콘텐츠 진흥 전략이 필요하다. 외부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여 불확실성에 대처하고, 내부 약점을 보완하여 혁신을 추진하면, 지속적인 공연예술 콘텐츠 활동이 가능하다. 경계탐색 전략은 환경 변화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지식활동의 방법으로 불확실성에 대처할 뿐 아니라 조직 내부의 강점들을 외부 환경에 노출시키는 방법으로 조직 활동의 정당성이 외부로 확산되는 혁신 전략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체육관광부, 2012문화예술인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pp.1-44, 2012.
  2. Y. Michaud, La crise de l'art contemporain -Utopie, democratie et comedie, PUF, 1997, 하태환 譯, 예술의 위기, 동문선, pp.43-72, 1999.
  3. 김형수, "문화적 가치의 발원지로서의 기초예술", 문화정책연구소 기초예술연구자료집-기초예술의 가치에 대한 연구, pp.3-26, 2005.
  4. 김주호, 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pp.30-35, pp.100-108, pp.234-239, pp.251-259, pp.276-296, 2002.
  5. T. L. Wheelen and J. D. Hunger, Strategic Management & Business Policy: entering 21st Century Global Society, 7th ed., Prentice Hall, pp.53-80, pp.305-318, 2000.
  6. R. L. Daft,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7th ed., South Western, pp.128-163, 2001.
  7. 김문환, 문화경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3-22, pp.103-120, 1997.
  8. W. J. Baumol and W. G. Bowen, Performing Arts-the Economic Dilemma: A Study of Problems Common to Theatre, Opera, Music and Dance, MIT Press, pp.161-180, pp.369-386, 1966.
  9. 이혜경, "공공예술지원과 예술의 공공성-영국의 경험", 문화정책논총, 제13집, pp.255-278, 2001.
  10. 임학순, "문화예술진흥기금 운영 28년의 성과와 한계 :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지원체계", 문화예술위원회 문화예술, 2001년 8월호, pp.15-21, 2001.
  11. 배기형, "공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147-15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147
  12. 채경진, 박양우, "공공기금의 고갈과 재원조성 방안", 예술경영연구, 제33집, pp.5-24, 2015.
  13. 김진, "문화예술진흥기금 존치평가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17권, 제1집, pp.57-82, 2014.
  14. 고정민, 산업화에 접어든 공연예술, 삼성경제연구소, pp.35-56, 2003.
  15. 전병태, 문화예술회관의 전략적 프로그램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pp.34-74, 2004.
  16. J. Pick and M. Anderton, Arts Administration. 2nd. ed., E&FN Spon Press, pp.27-38, 1996.
  17. 기획취재팀 고종관, 정재왈, 김태진 기자, 중앙일보 기획취재, "공연예술 흥행 거품투성이 순수 有料관객 10% 안팎", 중앙일보, 1-2면, 1999.1.15.
  18. R. L. Daft,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7th ed., South Western, pp.128-163, 2001.
  19. 김주호, 용호성, 예술경영, 김영사, pp.23-24, 2002.
  20. 佐佐木晃彦, 藝術經營學講座, 東海大學出版部, p.10, 1994.
  21. P. F. Drucker, Post-capitalist Society, Harper Collins, pp.17-42, pp.165-198, 1993.
  22. 윤순봉, "통합적 관점으로 보는 지식경영", 지식 경영 심포지엄-지식경영과 한국의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pp.1-23, 1999.
  23. 김상헌, 김나윤,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식 정보체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711-72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711
  24. I. Nonaka and H. Takeuchi, The Knowledge-Creating Company: How Japanese Companies Create the Dynamic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pp.20-55, 1995.
  25. 김영수, 김영수, 노재범, "한국기업의 지식경영모델", 지식경영 심포지엄-지식경영과 한국의 미래, 삼성경제연구소, pp.354-447, 1999.
  26. P. Kotler and J. Sheff, Standing room only: Strategies for marketing the performing arts, Harvard business press, pp.299-320, 1997.
  27. J. W. Meyer and B. Rowan,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No.83, pp.340-363, 1977.
  28. 현선해, "비영리조직의 제도적 동형화와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생산성논집, 제13권, 제1호, (Productivity Review, Vol.13 No.1), pp.63-79, 1999(2).
  29. W. W. Powell and P. J. Dimaggio,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1-40, pp.63-82, 2012.
  30. P. J. Dimaggio and W. W. Powell,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No.48, pp.147-160, 1983.
  31. M. E. Porter, On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pp.75-98, 1998.
  32. 류준호, 윤승금, "생태계 관점에서의 문화콘텐츠 산업 구성 및 구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327-339,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327
  33. M. E. Porter, On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pp.155-196,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