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간 교실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여 지구과학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의 담화 유형 차이를 확인하고,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3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4명의 과학 교사 수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두 단계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Mortimer & Scott(2003)의 틀을 사용하여 담화 유형을 범주화 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교사의 질문 유형과 담화 양상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McNeill & Pimentel(2009)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사의 질문을 4가지 유형의 질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모든 교사가 상호작용적이며 권위적인 담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담화 양상은 교사의 질문 유형 보다는 학생의 반응에 대한 피드백과 더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가 학생의 반응에 긍정적인 수용의 태도로 지연 피드백을 사용할 때 대화적 담화가 더 잘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teractive patter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earthh science classroom, identify difference of discourse types between earthh science classes taught by majored and non-majored teacher,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urse pattern and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s. For that purpos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d four teachers and their students of three middle schools in Seoul. The data consisted of two parts. First, we categorized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into the types of discourses by the use of Mortimer and Scott's analytical framework(2003). Second, we classified teachers' questions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question based on MNeill & Pimentel's classification scheme(2009) to examin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ourse pattern and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s. As a result, all teachers used interactive/authoritative discourse most in middle school earth science class. Therefore, there was more authoritative discourse to non-majored teacher in comparison with majored teacher. And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iscourse pattern was more related to feedback about student's response rather than the type of teachers' question. In other words, the dialogic discourse showed up more frequently when the teacher used delayed feedback with positive and accepting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