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Knowledge and Power Expressed in the Movie : Focused on the structure of 'binary oppositions'

영화<장미의 이름>에 나타난 '지식과 권력'의 속성 탐색 : 기호학의 '이항적 대립' 구조를 중심으로

  • 이서라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정의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5.06.29
  • Accepted : 2015.08.13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e Power and Knowledge are attractive materials that could be used in all of cultural content genre with storytelling. Because he, whether or not own knowledge, could be an important tool of narrative strategy for popularity keeping with a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wer and knowledge appearing in . For this purpose, it used the structuralistic methodologies of Saussure and Levi-Strauss, analyzing binary oppositions between the characters mainly connected with the knowledge and power. Three categories was analytic object, 'Place(abbey, book repository)' 'Debate on laughter', 'The argument for heresy.' As a result, we found the three materials had narrative strategy fully following binary oppositional structure. In that movie, which was deployed in a basis with knowledge and power, we eventually found that contemporary reality veiled the truth was paradoxically revealed with these narrative strategy. And we confirm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the attribute of knowledge and power in narrative processing.

'지식과 권력'의 문제는 이야기 구조를 가진 모든 문화콘텐츠장르에서 쓰일 수 있는 매력적인 소재다. 지식을 소유한 자와 소유하지 않은 자는 서로 대립과 갈등의 구도를 가지면서 대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서사전략의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영화<장미의 이름>에 나타난 지식과 권력의 속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소쉬르와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적 방법론을 활용해 지식과 권력을 중심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인물들 간 이항대립의 관계를 중심으로 풀어봤다. 분석대상은 '장소(수도원과 장서관)', '웃음논쟁', '이단논쟁'으로 세 가지이다. 연구결과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 세 가지 소재가 이항대립구조에 충실한 서사전략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했다. 영화는 지식과 권력의 문제를 토대로 이야기가 전개됐는데, 세 가지 소재의 심층적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진리가 은폐됐던 당시의 현실이 역설적 서사전략으로 폭로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서사 과정에서 지식과 권력의 속성이 매우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안, "기호와 진실 -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기호학연구, 제1권, pp.283-284, 1995.
  2. 기독교사상 편집부, "장미의 이름과 지식", 권력, 기독교사상, 통권 제556호, p.271, 2005.
  3.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p.115, 2005.
  4.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3, 2004.
  5. J. Boggs, The Art of Watching Films, 이용관 역, 영화 보기와 영화 읽기, 제3문학사, p.251, 1991.
  6. 신원선, "팩션사극 <뿌리깊은 나무>의 대중화 전략", 인문연구, 제64호, p.339.
  7. P. Young Won, "Interpreting Medieval Christianity through Literature: Beowulf, Gunnar's Daughter, and The Name of the Rose,"문학과 종교, 제18권, 제2호, pp.161-162, 2013.
  8.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72, 2009.
  9.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69, 1980
  10.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p.172-173, 2009.
  11. 김시무, "영화이론의 흐름 개관", 씨네포럼, Vol.4.0, pp.35-36, 2001.
  12.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4, 2002.
  13. R. Barthes, Mythologies. Paris, Editions du Seuil, 1957.
  14.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18, 2003.
  15.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5, 2002.
  16. F. D. Saussure,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London : Fontana, 1974.
  17. 한국기호학회, "기호학의 고전, 교육, 그리고 실천", 한국기호학회, p.10, 2015.
  18. 김시무, "영화이론의 흐름 개관", 씨네포럼, Vol.4.0, p.36, 2001.
  19.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76, 2002.
  20.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p.76-77, 2002.
  21. W. Wright, Sixguns and Society,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23, 1975.
  22. J. Storey, Cultural Studies and the Study of Popular Culture : Theories and Methods, 1996. 박만준 역, 문화연구의 이론과 방법들, 경문사, pp.78-80, 2002
  23. C.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New York : Basic Books, 1968.
  24. 원용진,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pp.290-291, 2010.
  25. A. A. Berger, Media Analysis Techniques, (1982), 한국사회언론연구회 매체비평분과 역 (1990), 대중 매체 비평의 기초, 이론과 실천, pp.30-32, 1990.
  26. 김은영, "어린이 텔레비전 단편영화의 서사구조 분석 : EBS의 2009 ABU 어린이 드라마 시리즈 5개국 편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4호, p.14, 2010.
  27. 이서라, 정의준, "역사드라마의 콘텐츠 재목적화에 관한 연구 :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3호, pp.131-132, 2014.
  28. 안상혁, 주용성, "훈민정음 창제에 나타난 세종의 이상 :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와 원전 해례본과의 비교를 통해", 인문과학, 제49권, p.117, 2012.
  29. 원용진, 새로 쓴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p.300, 2010.
  30.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 2003.
  31.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53-154, 2003.
  32. 최용호, 서사로 읽는 서사학-인지주의 시학의 관점에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p.111, 2009.
  33. 김정희, 스토리텔링이랑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34. P. C. Hogan, The mind and its story Narrative Universals and Human Emo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6, 2003.
  35. 김영성, "한국 추리서사의 서사성과 대중성에 관한 연구(1) - 추리서사의 사적(史的) 개념과 적용범주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 제29집, pp.185-188, 2006.
  36. 김영성, "한국 추리서사의 서사성과 대중성에 관 한 연구(1) - 추리서사의 사적(史的) 개념과 적용 범주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화, 제29집, p.188, 2006.
  37. 송명진, "서사 전략과 대중문화 콘텐츠 - 방송오디션 프로그램 '슈퍼스타 K'와 '위대한 탄생'을 중심으로 -", 대중서사연구, 제25호, pp.206-207, 2011.
  38. 최혜실,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삼성경제연구소, p.5, 2006.
  39.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60, 2009.
  40. M. Foucault,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39, 1980.
  41. M. Foucault,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93, 1980.
  42.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55, 2009.
  43.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489, 2003.
  44. L. Althusser, "Ideology and Ideological Apparatus,"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New York: Monthly Review, 1971.
  45.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24, 2004.
  46.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4, 2004.
  47. 강유원, 장미의 이름 읽기 - 텍스트 해석의 한계를 에코에게 묻다 -, 미토, 2004.
  48.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133, 1980.
  49. M.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ed. by C. Gordon, New York: Pantheon Books, p.131, 1980.
  50. S. D. Brookfield,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for Adult Learning and Teaching, 2005. 기영화.김선주.조윤정 공역, 성인학습을 위한 비판이론, 학지사, p.173, 2009.
  51.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6, 2004.
  52.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7, 2004.
  53.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15, 2004.
  54. 박인철, 파리학파의 기호학, 민음사, p.480, 2003.
  55. 신영헌, "문학적 영화읽기와 문화연구적 영화읽기: 영화 <장미의 이름>을 중심으로", 문학과 영상, 가을.겨울호, p.228, 2004.
  56. J. Boggs, The Art of Watching Films, 이용관 역, 영화 보기와 영화 읽기, 제3문학사, p.96, 1991.
  57. 미디어문화교육연구회, 문화콘텐츠학의 탄생, 다할미디어, p.113, 2005.
  58. P. Young Won, "Interpreting Medieval Christianity through Literature: Beowulf, Gunnar's Daughter, and The Name of the Rose," 문학과 종교, 제18권, 제2호, p.162,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