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gabion on road cut-slopes, and analyze the scenic view preference for the gabion in Korea. 97 gabion sites from road cut-slopes were selected and were classified into 10 application types of gabion. The classification types of gabion were mostly related to the erosion and collapse prevention across road cut-slope. Gabion work sites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into 30 sites (31%) for below 10% gradient, followed by 31 sites (32%) for 11~30% gradient, 20 sites (21%) for 31~50% gradient, and 16 sites (16%) for 51~80% gradient. Gabion works were constructed mostly in low gradient than in high gradient. 34 gabion sites (35%) among 97 sites were not covered by vegetation and 52 gabion sites (54%) showed vegetation cover rates of 1~30%. On the scenic preference analysis, public groups understood that the scenic view of gabion in cutting slope can be improved by vegetation cover, whereas expert groups prefer to scenic view of gabion only. However, expert groups encouraged subsequently vegetation covering to improve scenic view during gabion works in cutting slope.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도로비탈면에 주고 적용하고 있는 돌망태공법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경관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임도 및 도로비탈면에 시공한 97개소의 돌망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비탈면 경사도에 따른 돌망태 시공지를 분석한 결과, 비탈면 경사 10% 이하지역에서는 돌망태가 30개소(31%), 11~30%의 경사에서는 31개소(32%), 31~50%의 경사에서는 20개소(21%), 51~80%에서는 16개소(16%)로 비탈면의 경사가 낮을수록 돌망태를 많이 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조사지 중 돌망태에 식생이 피복되지 않은 개소수는 34개소(35%)로 나타났으며, 1~30% 정도의 식생피복을 나타낸 개소수는 52개소(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한 경관분석 결과 일반인집단은 비탈면에 돌망태를 시공할 때 식생으로 피복되는 것이 경관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의식하고 있었다. 전문가집단은 비탈면에 돌망태만 처리한 경관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비탈면에 돌망태를 시공할 때 식생으로 피복되는 것이 경관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