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edia Representation as the Historical Communication -Focusing on Korea Film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2000s-

역사적 소통 공간으로써 미디어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 -2000년대 한국 영화 속 광주 민주화 운동을 중심으로-

  •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
  • 김유례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 Received : 2015.05.28
  • Accepted : 2015.06.22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Korea films of historical communication. Nar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films in 2000s including , and <26 Years> that mainly have dealt with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yntagmatic analysis, these films try to stabilize 'social imbalances' in the aspect of individuals and conceals issues of social structure. In addition, the result of paradigmatic analysis reveals that textual factors of 'active involvement of female characters', 'continuity of history through the survivors' demonstrate its strategies to publicize the historical truth. Consequently these films show its limitations that weakens historical meaning by placing unsolved problems of social structure as well as the love story. But rather than describing it as a history of the past, these films act as a catalyst to bring thins specific historical issue to our present lives and publicize it as a current issue. Therefore, the historical film not only allows current generation to remind to history but also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ublicize the important issues of social structure in the present society.

본 연구는 역사적 소통 공간으로써 역사 영화에 주목하여 광주 민주화 운동을 주요 주제로 다룬 2000년대 영화 <오래된 정원>, <화려한 휴가>, <26년> 세 편을 중심으로 미디어가 재현하는 역사적 담론이 무엇인지 서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스토리의 통합체 분석은 '균형-불균형-균형'의 시퀀스를 공통적으로 나타내면서 사회적 불균형을 개인과 가족이라는 개인적 측면으로 안정화 하여 사회구조적 문제를 감추는 정치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인물 관계의 계열체 분석은 여성 주인공의 적극적인 현실 참여 전략, 극중 살아남은 자들을 통한 역사의 연속성 강조 전략 등을 통해 광주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진실과 의미를 공론화시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광주 민주화 운동의 재현은 사회구조적 문제의 해결 부재나 러브 스토리 배치를 통해 역사적 의미의 약화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광주 민주화 운동을 과거의 역사로 남기지 않고 현재적 차원으로 끌어올려 공적 영역으로 소환시키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역사 영화가 우리의 역사를 끊임없이 현재화하고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있는 사회구조적 문제를 환기시킨다는 측면에서 역사적 소통 공간으로써 의의가 존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훈순, "텔레비전 서사연구의 메타분석", 방송통신연구, 제59호, pp.266-301, 2004.
  2. H. Newcomb and P. Hirsch, "Television as cultural forum: Implication for research," Quarterly Review of Film Studies, Summer, pp.44-55, 1983.
  3. 김훈순, 김미선, "여성 담론 생산의 장으로써 텔레비전 드라마: 30대 미혼여성의 일과 사랑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1호, pp.244-270, 2008.
  4. 이현진, 5.18영화의 전개와 재현양상 연구: 영화의 역사서술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5. 전평국, "영화의 역사화 범주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35호, pp.11-41, 2008.
  6. H. Carr, What is History?, Macmillan Press, 1987.
  7. A. Rosenstone, Revisioning History: Film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P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8.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진흥 위원회 통합 전산망, http://www.kobis.or.kr/kobis/
  9. 최장집, "한국 민주주의와 광주항쟁의 세 가지 의미", 아세아연구, 제50호, pp.144-171, 2007.
  10. 이자혜, "드라마 <인생은 아름다워>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555-566,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555
  11. 김미라, "TV 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 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88-9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088
  12. S. Chatman,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서울: 믿음사, 1990.
  13. J. Fiske, Television Culture, NY: Routledge, 1987.
  14. T. Todorov, The poetics of prose (Howard, R., Trans.),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77.
  15. C.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Jacobson, C & Schoeph, B. G. Trans.), New York: Basic Books, 1963.
  16. 홍지아, "TV 드라마에 나타난 모성재현의 서사 전략과 상징적 경계의 구축",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6호, pp.284-32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