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 태도 분석

  • 최윤선 (서울기독대학교 무용학과)
  • Received : 2015.05.14
  • Accepted : 2015.06.29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gender, majors, and grades. Attitudes-towards-dance inventory(Jadranka et al., 2004) which covered affective, cognitive, and action aspects of attitudes, as well as to reflect, in a similar number of item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ttitude towards dance was used to investigate dance attitude for 483 dancers who are collegian. Male students were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among dance attitudes than female students(p<.05). Dancers who major practical dances reveale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than dancers majoring ballet and Korean treditional dance(p<.05). In addition, freshmen have a more positive dance attitude in the affective area compared with seniors. It was suggested that more subjects should be studied from considering major, local university as future study.

이 연구는 무용전공자들의 무용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전공별, 남녀별, 학년별로 구분해 분석했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하는 전공자 남녀 각각 126명, 357명을 대상으로 Jadranka et al.(2014)가 고안한 무용 태도 질문지법을 이용해 정의영역, 인지 영역, 행동 영역별로 구분해 조사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 여간 무용에 대한 태도 분석결과 정의적 태도 영역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p<.05), 전공 간 분석결과는 실용 무용 전공자들이 발레나 한국 무용 전공자들보다 무용에 대한 정의적 반응이 보다 긍정적이었다(p<.05). 학년별 무용 태도는 저 학년인 1 학년이 고 학년인 4 학년보다 정의적 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p<.05). 향후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보다 많은 조사 대상자와 남녀, 전공, 학년별 균등한 조사 대상자 선정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선정 대상자 또한 수도권에 국한하지 말고 전국에 걸쳐 선정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 Vlasic, G. Oreb, and Katovic, "Dance Attitud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Ovidius University Annals," Serie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cience, Movement and Health, Vol.12, No.2, pp.417-421, 2014.
  2. V. Jadranka, O. Goran, and B. Ksennija, "Metric Properties of Attitudes-towards-dance Inventory," Acta Kinesiolosica, Vol.8, No.2, pp.20-24, 2012.
  3. 최윤선, "무용참여가 대학생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251-258, 1999.
  4. 강화경, 예술고등학교 창작 무용 학습자의 학습태도와 자기 효능감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8.
  5. 양경남, 학습 스트레스 대처 훈련이 스트레스 경감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1993.
  6. 김종희, 5분 명상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1.
  7. 장윤정, 무용과 대학생의 학습 동기, 학습 태도, 진로자기 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인과모형 검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6.
  8. 백정희, 대학무용전공자의 신체 자신감과 학습태도 및 전공만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9. 채희경, 여자중고등학생의 무용수업 참가 형태에 따른 무용 인식도 및 태도의 관계, 국민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2001.
  10. 박지경, 무용교사의 자질과 학생의 무용태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7.
  11. 이예순, 김종필, "대학 무용전공자의 무용 선행 경험에 다른 학습태도와 자기실현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53-162, 2003.
  12. 전향원, 창작무용의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학습태도와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4.
  13. 주진희, 고등학생의 무용교육에 대한 태도와 무용참여의 관계,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 논문, 2005.
  14. 김혜정, 조진희, "대학교양무용경험이 무용태도와 무용개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 45권, 제4호, pp.339-348, 2006.
  15. 전정우, 박지아, "무용교사의 수업유형이 학생들 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5권, 제4호, pp.439-457, 2006.
  16. 문영철, "무용과 여대생의 학년 및 전공에 따른 학습동기와 학습태도 차이 검증", 한국스포츠 심리학회, 제17권, 제4호, pp.229-243, 2006.
  17. 이지혜, 김선정, "무용전공 대학생의 전문화 수준에 다른무용태도 및 진로 성숙도", 대한무용학회지, 제58권, pp.213-228, 2009.
  18. 박영호, "무용지도자의 접촉 유형과 학습 태도,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11-322, 2013.
  19. 이화석, "대학 교양무용 참여동기와 수업 만족 및 학습 태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3권, 제3호, pp.1147-1163, 2014.
  20. 오진숙, 강은주, "무용 수업 참여에 다른 여중생의 무용태도와 또래 관계 및 학교 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제31권, 제2호, pp.35-50, 2014.
  21. 채지훈,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무용태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2001.
  22. 김주영, 무용에 관한 태도 조사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 대학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1.
  23. 이지혜, 무용과 학생들의 전문화 수준이 무용태도 및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7.
  24. 최윤선, "시장 중심 무용학과 교과과정 모형 개발 제안",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54-264, 2012.